'맑게 갠 날 만이 아름다운 노을을 남긴다'고 하듯이
청량산 육육봉(六六峰;12봉우리)의 수려한 풍광에다
꽃 피워 향기롭게 계절을 열었고, 싱그러운 녹음으로 한 여름의 열기를 식혀온 수목들이,
계절따라 순리대로 선하게 살아온 저마다의 삶의 자취를
고운 노을처럼 화려하게 산자락에 물들이는 이맘때쯤이면,
수 많은 인파에 등 떠밀리고 발길에 채이며 장날 같은 소란과 허세로 북쩍거림이 있어도,
산으로 향하는 내 발길은 청량산 암봉길의 매혹적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입석 등산로를 기점으로 - 응진전과 금탑봉 - 김생굴 전 오른쪽 길로 올라서 경일봉 -
자소봉 - 뽑아든 붓 형상의 탁필봉 - 연적봉 - 하늘다리 - 청량산 최고봉 장인봉 -
하늘다리 - 뒷실고개 - 청량사 - 선학정으로 하산하는 7Km에 4시간 정도를 소요한
경북 봉화의 소금강 청량산의 2013년 가을을 소개합니다.

(산행 기점인 입석 앞에 있는 청량산 등산 안내도; 기존 코스를 버리고 경일봉으로 올랐다가 청량사로 하산하는 길을 택함)

(어느듯 입석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길이 까마득해 보이고...)

(아름다운 금탑봉과 그 아래 응진전 원경)

(응진전 가는 길의 사랑을 성사시켜 준다는 '사랑의 미로' 들어가서 왼쪽으로 빠져나가는 좁은 바위 틈새 길)

(아찔한 금탑봉 아래 응진전)

(맞은 편 산의 형상도 덩달아 예사롭지 않아 보이고...)

(암봉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청량산)

(깍아지른 청량산 암봉 아래 아늑히 들어 앉은 청량사 원경)

(지난 번에 본 김생굴전 오른쪽으로 가파르게 치고 올라 만난 750고지 경일봉 정상석)

(840m 자소봉 위용과 그 아래 정상석)

(청량산 암봉너머 멀리 높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봉화군 명호리 산간마을

(서서히 가을 옷으로 갈아 입고 있는 청량산 자락)

(뽑아 든 붓 형상이라는 820m 탁필봉 위용)

(846.2고지 연적봉 정상석)

(수려한 청량산 암봉과 공민왕당 및 산성이 있는 건너편 축융산)

(연적봉 정상에서 본 탁필봉과 자소봉)

(연적봉에서 멀리 푸른색의 하늘다리 지주와 장인봉 조망)

(암봉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자란봉과 장인봉 원경)

(아찔한 높이의 청량산 하늘다리와 건너편 선학봉)

(신라 명필 김생의 집자로 더 멋진 청량산 최고봉 870고지 장인봉 정상석)

(장인봉 아래 밥먹은 곳에서 건너 보이는 아름다운 선학봉 뒷태)

(장인봉에서 청량사로 하산하는 뒷실고개 갈림길)

(약사여래불을 봉안하고 있는 청량사 유리보전)

(하산길에 들린 청량사에는 야단법석이 아닌 탑하단법석이 펼쳐지고 있었음)

(풍수의 대가 원효의 혜안이 돋보이는 청량사 전경)

(하산을 완료하며 청량산 청량사 일주문)

(청량산 산행후 돌아오는 길에 들른 도산서원 앞을 휘돌아 나가는 녹조가 심한 낙동강)

(도산서원 전경)

(도산서원 전교당에 걸린 석봉 한호의 명품 글씨)

(도산서원 앞 세월의 무게로 휘늘어진 고목)

(도산서원 앞 퇴계를 흠모한 정조가 과거를 열었다는 강건너 시사단과 강변의 풍경) -끝-
첫댓글 지난 여름 무성했던 신록들의 변화를 청량산 곳곳의 절경을 통해 전해 받습니다.
돌아 오시는 길 도산서원 정경과 휘호에 대한 선배님의 상세한 덧붙임등
산을 찾고 유젹을 답사하시면서 보내 주시는 사진과 글들이 유홍준 교수의 맛깔스런 답사기에 버금 갑니다.
가을새벽에 맞는 산행소회들로 추수한 한아름 과실을 전해 받은 듯 그 흡족함이 깊습니다...
후배님의 과찬으로 고래가 아닌 중년의 일상에도 활기가 넘칩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읍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