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_protectAndRun("render_ads.js::google_render_ad", google_handleError, google_render_ad);
|
원자력발전소 부품 납품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처장급 간부 2명을 조만간 소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지검 특수부는 29일 구속된 월성원전 부장급 간부 정모(49) 씨의 차명계좌에서 10억 원의 뭉칫돈이 발견(본지 지난 28일 자 1·3면 보도)됨에 따라 이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이 돈이 차명계좌로 관리돼온 점을 미뤄 여러 납품업체들로부터 받아 윗선이나 조직에 상납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검찰은 또 보랭재 납품업체로부터 5억 원을 차명계좌로 입금받아 사용한 혐의(변호사법 위반)로 지난 13일 구속된 원전업계 로비스트 윤모(56) 씨가 이 외에도 각종 납품계약에 개입한 정황이 있는 점도 중시하고 있다. 검찰은 윤 씨가 한수원 고위층과 오래전부터 상당한 친분을 유지해온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납품계약 성사 과정에 임원급 간부들이 개입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구속된 간부들의 해당 원전본부뿐 아니라 최상급 기관인 한수원으로까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주 한수원 처장급 임원 2명에 대해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을 통보했다가 기일을 늦췄다. 이들 중 1명은 윤 씨를 한수원 다른 임원들에게 소개시켜준 당사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 처장급(1직급 갑·을)은 본사 임원과 부서별 처장, 고리 등 각 지방사업본부의 처·소장까지 해당된다. 이번 사건으로 검찰에 구속된 원전 직원들 중 가장 높은 직위는 2직급이다.
검찰 관계자는 "납품업체의 원전 로비가 특정인이나 부서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위로 이뤄져 왔고 액수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어느 선까지일지 모르지만 검은 돈이 수뇌부로도 올라갔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