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이어 단국대 약대 추진에 지역大 반감
“수도권에 본교 둔 대학보단 지역대에 배정해야”
“천안서 개교 31년, 굴러들어온 돌 아냐” 반박
연세대가 인천지역에서 약대 신설을 추진하면 촉발된 ‘지역 연고 논란’이 충남지역에서도 빚어지고 있다. 수도권에 본교를 둔 단국대 천안캠퍼스가 약대 신설을 추진하자 지역대학들이 반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 때문에 총 6개 대학이 50명의 약대정원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충남지역에 미묘한 신경전이 감돌고 있다. 이 지역은 단국대 천안캠퍼스를 비롯해 건양대·공주대·선문대·순천향대·호서대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단국대 관계자는 1일 “이 지역 대학들이 삼삼오오 모인 자리에서 ‘본교를 수도권에 둔 단국대 천안캠퍼스가 지역에 약대신설을 한다’며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며 “충남지역에 약대 정원 50명이 배정됐으면 당연히 지역에 있는 대학이 선정돼야 한다는 논리인데 이는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밝혔다.
실제로 충남지역의 A대학 교무처장은 “단국대는 분교 아닌가. 충남지역의 학교가 아니다”라며 단국대의 약대 신설에 반감을 드러냈다. 이 지역의 B대학 기획처장도 “연세대가 인천 송도에 약대를 추진하면서 인천지역의 반발을 사는 것과 같다”며 “충남에 약대정원이 배정됐으면 본래의 충남지역 대학에 배정되는 게 맞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국대는 천안지역에선 최초의 4년제 종합대학으로 개교해 31년간 지역에서 터를 잡아온 점을 들어 이에 반박한다. 조인호 천안부총장은 “1978년 개교할 당시에 천안 지역에는 전문대학 2곳밖에 없었고 4년제 종합대학은 단국대가 최초”라며 “31년째 지역에서 틀을 잡고 있는데 단국대가 서울에서 내려온 학교라는 얘긴 말도 안된다”고 밝혔다. 단국대 천안캠퍼스가 개교한 1978년엔 순천향대와 호서대가 같은 해 개교했다. 당시 순천향대는 순천향의과대학으로, 호서대는 천원공업전문대학으로 문을 열었다.
다른 단국대 관계자는 “지역에 세워진지 30년이 넘은 대학을 마치 굴러온 대학인양 말하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니냐”며 “의과대학과 치과대학을 두고 지역민에 봉사해 왔는데 마치 서울에 약대 배정이 안 돼 지역으로 내려오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지역의 이같은 정서를 의식한 단국대는 지난 8월 약대설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직후 지역 여론화 작업에 나섰다. 천안시민 1만5000명에게 약대설립 찬성 동의서를 받은 것. 단국대 관계자는 “지역 여론화 작업인 동시에 홍보작업”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단국대는 약대 신설 시 지역할당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교를 수도권에 둔 분교’란 인식을 불식시키겠다는 것이다. 입학정원의 13%를 지역할당으로 인원으로 뽑고 있는 의과대학처럼 약대에도 이를 적용할지 여부를 놓고 논의 중이다. 단국대 의과대학 졸업생 중에선 약 35%가 졸업 후 지역에 남아 활동하고 있다.
인천지역에서도 연세대 약대 설립을 막기 위해 인천지역 3개 대학이 손을 잡았다. 인하대·인천대 총동문회, 지역 시민단체, 인천시의회에 이어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인하대·인천대·가천의과학대학 3개 대학 총장들은 28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인천지역에 배정된 약학대학 정원 50명은 보건복지가족부가 지역별 인구대비 약사 비율에 따라 할당한 것으로, 인천지역 대학들이 선의의 경쟁을 통해 배정받아야 마땅하다”며 “정부의 지역균형 배정기준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서울에 있는 대학이 인천지역에서 대학신설 인가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약대 배정을 모색한다는 소문이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며 “인천에 할당된 신설 약대 인원이 인천지역 대학에 배정되도록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8월 말부터 이달 초까지 인하대·인천대 총동문회와 지역 시민단체가 잇따라 연세대 약대 신설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지난달 21일에는 인천시의회가 ‘지역대학의 약학대학 신설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