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 두릅순 이미지는 토방님께서 야생화와 화초들 모임방에 올려주신 이미지 입니다만,
두릅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효능에 대해 함게 올리려고 이방에도 올려봅니다.^-^
이자릴빌어 토방님께 감사드립니다.^-^
[두릅순 내용과 효능]
한자
두릅
영어 음역
dureup
영어 의미역
fatsia shoots / edible shoots of fatsia
이칭/별칭
목말채, 모두채, 독활,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윤성재
유사검색어
성격
식물
생물학적분류
동식물/식물/속씨식물/쌍떡잎식물/산형목
용도구분
식용|약용
[정의]
두릅나무의 새 순.
[개설]
목말채·모두채라고도 한다. 독특한 향이 있어서 산나물로 먹으며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다. 땅두릅과 나무두릅을 모두 두릅이라고 하지만 두 가지는 다르게 사용된다.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형태]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3∼4m이다. 줄기는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억센 가시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0∼100㎝로 홀수 2회 깃꼴겹잎(奇數二回羽狀複葉)이며 잎자루와 작은 잎에 가시가 있다. 작은 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잎 길이는 5∼12㎝, 나비 2∼7㎝로 큰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색이다.
[생태]
땅두릅은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이라고 부르며,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1,500m까지의 산야, 계곡, 산기슭 등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한다. 일본, 중국, 동아시아의 온대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나무두릅(Aralia elata SEEM)은 약재로 쓰일 때는 총목피, 총근피라고 부른다. 전국적으로 산의 양지쪽 계곡, 또는 자갈 쌓인 곳에서 자란다.
[용도]
땅두릅은 다른 산채와 달리 생채로도 먹을 수 있고 삶아서 무침, 부침, 튀김, 저림 등으로 이용하며 염장하면 장기 저장도 가능하다. 잎, 줄기, 뿌리 등을 약재을 이용한다.
나무두릅(Aralia elata SEEM)은 나무껍질과 뿌리는 약재로 쓰며, 나무순은 데침, 튀김, 나물로 먹는다. 붉은색을 띠는 목재는 가볍고 부드러워 낚시의 부표나 성냥개비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참고문헌]
• 『강릉시사(江陵市史)』(강릉문화원, 1996)
[두릅순 내용과 효능]
다년생으로 줄기는 곧게서고 침이 많이 나 있으며 잎은 호생으로 잎에도 가시가 달려있다.
꽃은 7-9월 연한황색의 핀다.
열매는 검은 색으로 가을에 익는다.
번식은 땅속 뿌리로 번식한다.
목말채·모두채라고도 한다.
독특한 향이 있어서 산나물로 먹으며,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다.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자연산 나무두릅의 채취량이 적어 가지를 잘라다가 하우스 온상에 꽂아 재배하기도 한다.
나무두릅은 강원도, 땅두릅은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단백질이 많고 지방·당질·섬유질·인·칼슘·철분·비타민(B1·B2·C)과 사포닌 등이 들어 있어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주므로 당뇨병·신장병·위장병에 좋다.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치거나 찍어 먹는다. 데친 나물을 쇠고기와 함께 꿰어 두릅적을 만들거나 김치·튀김·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
오래 보관하기 위해 소금에 절이거나 얼리기도 한다.
두릅은 단백질과 회분이 많고 비타민 C도 많으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조성이 좋아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다.
뿌리줄기는 감기로 인해 전신이 쑤시고 아프면서 땀이 안나는 증상에
발한, 이뇨를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생강보다는 못하다.
두릅에는 사포닌이 들어있어 혈당강하 및 혈중지질 저하 효과가 있다.
두릅을 먹으면 혈당치를 낮춰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두릅은 냉한 식물이므로 많이 먹으면 설사나 배탈이 나기 쉽다.
민간에서는 두릅나무 가시를 달여 먹으면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살짝 데친후 초고추장에 찍어먹어야 비타민이 파괴되지 않느다.
◆ 두룹의 쓴 맛을 나게 하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줘 피로회복에 좋다.
◆ 나무 껍질은 당뇨병과 신장병의 약재로 쓰여왔고, 잎과 뿌리, 과실은 건위제로 이용된다.
◆ 두릅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총목피는 당뇨병을 다스리고 위를 튼튼히 할 뿐만 아니라 신장병에도 좋다.
※ 영양성분 함량 : 수분 85.8%, 단백질 5.6g, 탄수화물 5.9g, 칼슘 50mg, 인 150mg, 철 5.2mg, 비타민 A 3240I.U, C 5mg.
두릅보관법
모든 식물(채소)은 건조를 하던 냉돈을 한 후 다음에 먹을 때는 방금 채취해서 먹는 맛은 찰을 수가 없다.
두릅을 오래 두고 먹으려면 냉동보관을 해야 한다.
두릅을 데쳐서 물기를 완전 건조시킨 후 비닐봉지나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보관할 때 물기가 완전히 마른 다음 그릇에 담아 냉동실에 넣고 최대한 급속 냉동을 시킨다.
냉동이 되었다 싶으면 그릇을 흔들어 따로따로 분산시키면 꺼낼때 한 덩어리로 뭉치지를 않는다.
비니봉투에 한 때 먹을 양 만큼씩만 담아 냉동시키면 꺼내 먹기가 편리하다.
보관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봉해야 변질이 되지 않는다.
삶은 두릅을 양념하여 팬에 지진 쇠고기와 꼬챙이에 꿴다.
양념한 두릅과 쇠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밀가루와 달걀을 전체적으로 입혀서 팬에 노릇하게 지진다.
글출처:http://blog.daum.net/crewtop2001/2067
|
첫댓글 좋아하는 ....나물이라 해야하나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올봄에 산행길에 마
니 꺽어다 드세요.
차향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