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기 비전공자 32살 남자 입니다.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전기의 '전' 자도 모르고 살았던 사람입니다.
회사 현장직에서 기계조립을 해온지 어느덧 6년이 지났구요.
올해부터 전기분야에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왕이면 전기를 많이 아는 상황에서 일을 배우게 되면 이해도 빠르고 일의 능률이 생길거 같아서
전기기능사도 없지만 욕심을 내어 전기기능장 필기공부를 2달정도 했었구요.
이번 4월 4일 필기시험을 친 결과 가답안 34개가 나왔습니다. 2문제 미달로 불합격이었구요.
하루가 지나고 이틀이 지나니 일단 제 자신에게 화가 났었고, 두 번째는 전기가 많이 어렵다고 하던데 전기이론이니 전기기기,
전력공학 과목들에 대해서 흥미가 생기는겁니다. ( 계산기를 두들기면서 답을 맞추는게 신기했습니다.)
아마도 전기기능장은 전기기능사 정도 레벨로 봐서 쉽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전기기사를 공부를 하게되면 전기기능장 시험에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아서 이번에 도전해볼려고 합니다.
1. 다산에듀에서 전기기사 인강과 교재는 전기초보가 공부하기에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전기기능장은 엔트미디어 출판사책을 구입했었습니다.)
2. 기능장 시험은 7월 19일이구요. 전기기사 3회 시험은 8월 16일 인데요. 3회 시험까지 응시할 수 있는 수준이 될까요?
( 원장님께서 인강 500시간만 투자하면 합격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초보도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3. 이번 기능장시험 불합격으로 완전 뿔이난 상태입니다. 내친김에 전기공사기사, 소방설비기사(전기)도 차후에 도전해볼 생각입니다. 시험 난이도는 어떤순으로 어려운지 궁금합니다.
4. 전기기사랑 전기산업기사는 수준이 비슷한지요? 둘 다 시험을 치게되면 중복되는 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많이 나오나요?
첫댓글 공사기사 산업기사쪽이 기능장하고 관련성이 많은거 같습니다
회원님..회원님의 확고한 신념으로 한가지 방향으로 쭉 가셔야지됩니다..
32 이시면 , 아직 안늦었으므로 ,잘 선택을 하셔서 독서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기능장은 필기는 3~6개월정도 공부를 하면 합격가능
기능장 실기는 1년~2년 정도 꾸준히 실기 공부를 해야지만 합격으로 갈수있습니다..( 기능장 실기공부하시면 실력 은 많이 향상되실것입니다..) ; 학원 다니시면서 꾸준히 실습하셔야지 됩니다..; 기능을 향상시키셔야지만 합격합니다..기능장 실기 출제기준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문제가 출제된다고 합니다..
권하고 싶은것은 ,
우선 전기 기능사 를 먼저취득을 하신후에 , 기능장 또는 산업기사 시험에 도전하세요..
무지개님 의견에 저도 동감합니다 .. 솔직히 필기는 문답식이고 과목마다 과락이 없으니 왠만하면 필기는 통과하실꺼고 문제는 실기인데, 비전공자이시니 전기기능사부터 취득하란 이유는 실기가 전기기능사실기의 업그레이드버전 이기 때문에 시퀀스에대한 기본적인것을 아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전기기능장실기에서 plc가1시간 정류회로1시간 시퀀스작업을 4시간인데 각작업마다 통과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때문에 숙련여부가 관건이죠 ... plc는 그쪽분야에 종사자가 아닌이상 일반 전기종사자분들도 어려워 하는 코스입니다.. 그러니 장기적으로 계획을 잘짜셔서 도전하시기를 바랍니다 ^^
전기기사랑 전기산기는 전체적으로 보면(필기+실기) 당연히 전기기사가 난이도가 훨씬 높습니다 .. 그러나 열심히 하신다면 합격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