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낙산사는 신라의 고승 의상(義相)이 창건했다. 중국 당나라의 지엄(智儼) 문하에서 화엄교학(華嚴敎學)을 공부한 의상이 신라로 돌아온 해는 문무왕 10년(670)이었다. 그 후 어느 해에 의상은 낙산의 관음굴(觀音窟)을 찾았다. 그는 지심으로 기도하여 관음보살을 친견했고, 그리고는 낙산사를 창건했다.
낙산사의 창건 연기설화는 『삼국유사』에 전한다. 이 책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조에 전하는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전에 의상법사가 처음 당나라에서 돌아와서 대비진신(大悲眞身)이 이 해변의 굴 속에 계시기 때문에 낙산(洛山)이라고 했다는 말을 들었다. 대개 서역에 보타낙가산(寶陀洛伽山)이 있는데, 여기서는 소백화(小白華)라고 하고 백의대사(白衣大士)의 진신이 머무는 곳이기에 이를 빌려서 이름한 것이다.
의상은 재계(齋戒)한 지 7일 만에 좌구(座具)를 물 위에 띄웠는데, 천룡팔부(天龍八部)의 시종이 그를 굴 속으로 인도하여 들어가서 참례함에 공중에서 수정염주(水精念珠) 한 벌을 주기에 의상은 이를 받아서 물러 나왔다. 동해룡(東海龍)이 또한 여의보주(如意寶珠) 한 벌을 주기에 의상은 이를 받아서 물러 나왔다. 다시 7일 동안 재계하고서 이에 진용(眞容)을 뵈니, “이 자리 위의 꼭대기에 대나무가 쌍(雙)으로 돋아날 것이니, 그곳에 불전(佛殿)을 짓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법사가 그 말을 듣고 굴에서 나오니 과연 땅에서 대나무가 솟아났다. 이에 금당을 짓고 소상(塑像)을 봉안하니, 그 원만한 모습과 아름다운 자질이 엄연히 하늘에서 난듯했다. 대나무는 다시없어졌으므로 바로 진신이 거주함을 알았다.
이로 인하여 그 절을 낙산사라 하고서 법사는 그가 받은 구슬을 성전에 모셔두고 떠나갔다.
낙산사 일주문
낙산사 오르는 길
낙산사 홍예문
낙산사 원장
원통보전 주위에는 그 둘레를 네모 낳게 사각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담장인 원장(垣墻)이 있다. 축조된 시기는 세조가 절을 중건할 때 처음 쌓았다고 전한다. 이 원장은 법당을 둘러싼 성역(聖域) 공간임을 구분하면서 공간 조형물로서의 효과도 아울러 겸비하고 있다. 사찰 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우리 나라의 대표적 담장이며, 담장 안쪽의 담벽은 기와로 쌓고 담장 바깥쪽은 막돌로 쌓았다. 법당을 향한 담장 안쪽에는 밑부분에 2단의 장대석 기단을 조성하고, 그 위에 다시 1단의 장대석 받침돌을 놓았다. 담벽은 강회진흙과 평와(平瓦)를 차례로 다져 쌓아 담벽 앞면에 기와로 가로 세로의 줄을 맞추고,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둥근 화강암을 배치함으로써 단조로운 벽면을 장식했다. 담장 바깥쪽 벽면은 막돌로 벽면을 고르게 쌓고 돌과 돌 사이는 강화진흙으로 메웠다. 담장 위는 기와로 지붕을 이어 담벽을 보호하고 있다.
낙산사 원통보전
『양주지밀기낙산사사적(襄州地密記洛山寺事跡)』에서 보듯이 신라시대 의상스님이 관음굴에서 관음대성을 친견하고 수정(水精)을 건네 받은 뒤 관음의 계시로 흙으로 빚은 관음상을 관음전에 봉안하면서 낙산사를 창건했는데, 관음전은 곧 원통보전의 다른 이름이므로 낙산사 창건부터 원통보전이 주된 금당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창건이후 858년(헌안왕 2)에는 사굴산파(淞堀山派)의 개산조(開山祖)인 범일(梵日, 810∼889)스님이 이곳에서 정취보살(正趣菩薩)을 친견한 뒤 그 모습을 상(像)으로 만들어 불전에 봉안했는데, 아마도 관음보살상과 함께 봉안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낙산사 건칠 관음보살좌상
보물 제1362호
낙산사 원통보전에 모셔져 있는 건칠불상
금속으로 만든 8각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채 앉아 있는데, 적당한 크기로 허리를 곧추 세우고 고개만을 앞으로 약간 숙여 마치 굽어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머리에는 화려하기 이를 데 없는 높은 보관을 썼으며, 네모꼴에 가까우면서도 각지지 않은 둥글고 탄력적인 얼굴에는 귀·눈·입·코 등이 단정하게 묘사되어 있다.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가슴 부분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가슴에 올리고 왼손은 배에 두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양을 하고 있는데, 가냘픈 듯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양 어깨를 덮은 옷은 옷주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는데, 내의 깃이 가슴 밑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온몸에는 화려한 구슬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표현수법으로 보아 고려 후반의 전통양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초기의 작품임을 짐작케 해준다. 전체적으로 각 부분의 비례가 좋고 특히 얼굴표정이 빼어날 뿐만 아니라,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은 고대 이래의 형식에 원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보관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낙산사 칠층석탑
보물 제499호
원통보전 앞에 세워진 조선시대 석탑으로서,낙산사는 조선 세조 대(재위, 1455∼1468)에 중창되었는데 이 탑도 그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비록 부분적으로 파손된 곳이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탑의 상륜(相輪) 부분까지 비교적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불탑 연구에 훌륭한 자료가 된다.
탑의 양식을 살펴보면, 평면은 방형(方形)으로서 기단석 위에 탑신이 놓이고 그 위에 상륜부가 마련된 구조를 하고 있다. 기단석(基壇石)은 지면에 2단의 층을 이룬 지복석(地覆石)과 그 위의 복련(伏蓮)이 조각된 지대석(地臺石)으로 구성되었다. 기단은 단층기단으로서 우주(隅柱)가 새겨지지 않았고, 그 위에 얹은 뚜껑돌인 갑석(甲石)은 아래 위가 수평인 하나의 돌로 된 판석(板石)인데, 그 밑에 부연(副椽)과 2단의 각형(角形) 고임이 있다. 기단 상면에는 겹잎[複蓮]의 복련(覆蓮) 24잎이 조각되었다.
원통전에서 바라다본 보타전과 해수관음상
낙산사 범종각
낙산사 사천왕문
낙산사 사천왕상
낙산사 사천왕상
낙산사 해수관음상
해수관음상에서 바라다본 의상대
낙산사앞 동해바다
보타전 가는 길
낙산사 요사채
낙산사 보타전
보타전(寶陀硯)은 해수관음상과 더불어 낙산사가 관음신앙의 성지요 우리 나라의 대표적 관음도량임을 상징하는 전각으로서, 1991년 7월 짓기 시작해서 1993년 4월 10일에 완공했다.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이며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안에는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천수관음(千手觀音) · 성관음(聖觀音) ·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 마두관음(馬頭觀音) · 준제관음(准堤觀音) · 불공견색관음(不空寇索觀音) 등 7관음상과 천오백관음상이 봉안되어 있다. 앞면 중앙에 천수관음을 비롯해서 좌우로 6관음, 그리고 뒤쪽으로 천오백관음상이 있다. 천수관음은 입상이며, 나머지 6관음은 좌상이다. 낙산사 천수관음은 32관음신상으로도 불려지는데, 그 뒤쪽으로는 목각 후불탱이 조성되었다. 보타전 안에는 그밖에 동종과 금고(金鼓)가 있다.
낙산사 보타전
낙산사 공중사리탑과 탑비
강원도유형문화재 제75호
해수관음상 앞에 있는 관음전 옆의 숲속 길로 들어가서 약 100 미터 가량 내려가면 숲 속에 공중사리탑(空中舍利塔)이 있다. 이 공중사리탑은 스님의 사리를 봉안한 부도탑(浮屠塔)으로서, 조선시대 중기인 1692년(숙종 18)에 석겸(釋謙)스님 등이 대원(大願)을 발하여 세웠다고 전한다.
탑의 양식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유행했던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구조는 지대석(地臺石) 및 하대석(下臺石)·중대석(中臺石)·상대석(上臺石)으로 구성된 기단부, 탑신(塔身)과 옥개석(屋蓋石)의 탑신부, 그리고 탑신부 위에 놓인 상륜부(相輪部)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먼저 지반(地盤) 위에 장대석(長臺石)으로 지대석을 깔고 그 위에 팔각으로 구성된 기단(基壇)을 얹었다. 하대석은 팔각으로서 옆면에 안상(眼象)을 마련하고 그 안에 태극무늬를 새겼으며, 그 윗부분에다 16잎의 복련(覆蓮)을 조각했다. 중대석은 각 면을 아래 위로 연결된 연주문(連珠紋)으로 구획했으며, 그 안에 무늬가 새겨져 있다. 상대석은 밑부분을 앙련(仰蓮)으로 장식하고 그 위의 옆면에 안상을 새겼다. 안상 안에는 범자(梵字)를 음각으로 새겨넣었다. 탑신은 둥근 구형(球形)인 것이 특색이며, 그 위에 올려진 옥개석은 팔각으로 되어 있다. 옥개석의 처마는 길이가 짧으며 끝에서 살짝 위로 솟아 반전(反轉)되었는데, 낙수면(落水面)에 기와골은 표현되지 않았다. 상륜부는 앙련·복발·보륜·보주를 각각 따로 만들지 않고 한 돌에 큼직하게 조각했다.
이 공중사리탑을 조성한 인연은, 1683년에 홍련암에서 도금불사를 거행할 때 문득 방안이 서기(瑞氣)로 가득 차더니 공중에서 영롱한 구슬이 탁자 위에 떨어졌다고 한다. 스님들이 그것을 들어보니 유리처럼 광채를 내었다. 스님들이 기뻐 말하기를 “이 같은 상서로움이 옛날에도 두 번이나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까지 세 번째니 얼마나 반가운가”라고 말했다. 이에 석겸스님 등이 이 탑을 쌓고 그 구슬을 봉안했는데 그 공사가 무려 9년이나 걸렸다. 그리고는 탑이 완성된 이듬해 수춘거사(壽春居士)라는 문사(文士)를 초빙하여 그 유래를 탑비(塔碑)에 적었는데, 이 탑비는 현재 홍련암 옆에 있다. 한편 이 공중사리탑이 자리한 곳은 풍수에서 말하는 이른바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으로서 길지(吉地)
낙산사 보타락
낙산사 연지에 조성된 관음지
각자의 소망이 담긴 기와글
의상대에서 바라다본 해수관세음
의상대 전경
길 에서 길을 묻다.
낙산사 의상기념관
첫댓글 좋은 곳이지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