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개쉬땅나무
장 소 : 충북 청주시 미원면 미원리 110-6 미동산 수목원내 2020년 9월30일 오후3시30분 경
사 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740335F7FDFCD1C)
2020년 9월30일 오후3시30분 전경사진
종 명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서식주소지
충북 청주시 미원면 미원리 110-6 미동산 수목원내
외형적특징
높이가 2m에 달하며 많은 줄기가 한군데에서 총생하고 털이 없거나 성모가 있다.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뻗는다.
분류학적정보
학명 ;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지방명 ;쉬땅나무, 밥쉬나무
한약명 ;진주매(珍珠梅)
서식처 ;산기슭 숲 속
분포 ;한국(전역), 만주, 일본, 시베리아
성분
sorbifolin, astragalin 등이 들어있다.
생물학적특징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총생
잎은 호생, 우상복엽, 소엽은 13-23개, 장타원형, 점첨두, 원저, 복거치연, 표면은 무모, 이면은 성모가 있음
꽃은 6-7월 백색 개화, 총상화서, 꽃받침과 꽃잎은 5개, 수술은 40-50개, 암술은 5개
열매는 5개의 골돌, 유두상 털이 존재
종자는 원형, 길이 12㎜
[네이버 지식백과] 개쉬땅나무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장미목
분포지역 ;한국과 동아시아의 북동부
한국과 동아시아의 북동부
서식장소/자생지 ;산기슭 계곡이나 습지
크기 ; 높이 약 2m
[네이버 지식백과] 쉬땅나무 (두산백과)
서식환경의특징/
생리생태학적특징
(사진첨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172415F7FE01E1D)
* 미동산 수목원내 2020년 9월30일 오후3시30분 경 잎 사진
잎
어긋나고 13~2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댓잎피침형 또는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고 잎맥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
6~7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5~6mm의 잔꽃들이 가지 끝에서 겹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다닥다닥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40~50개이며 꽃잎보다 길게 나온다. 암술은 5개인데 서로 떨어져 있다. 씨방은 5개이고 털이 없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E92365F7FE0641D)
* 미동산 수목원내 2020년 9월30일 오후3시35분 경 열매의 변화모습.
열매
9월에 길이 6mm쯤 되는 긴 타원형의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젖꼭지 모양의 갈색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열매가 익으면 벌어져서 날개가 없는 씨가 나온다.
소재에 대한 스토리테링
특징 및 사용 방법
개쉬땅나무·밥쉬나무라고도 한다.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뻗고 많은 줄기가 한군데에서 모여나는데 줄기는 흑갈색이며 별 모양의 털이 나 있으나 털이 없는 것도 있다. 어린가지는 녹색이다. 평안·함경 지방에서는 수수깡(수숫대)을 쉬땅이라는 사투리로 부르는데 이 나무의 꽃 모양이 마치 수수 이삭처럼 보이기 때문에 쉬땅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멀리서 보면 흰 꽃무더기가 구름이 피어 오른 듯 백설이 내린 듯 장관을 이룬다.
글 ;권혁세
유사종
이용가치 및 유사종
이용 가치 및 용도 : 어린 순은 식용한다. 조경으로서의 가치가 놓다. 6-7월 꽃이 흔치 않을 때 흰 꽃송이가 가지 끝에 매달려 아름답다. 관상용, 산울타리, 경계식재용, 군식용, 피복용 등으로 이용된다. 밀원 소의 고무도치에도 쓰며, 경피를 진주매라 하며 약용한다.
유사종 : 점쉬땅나무( 앞 뒷면에 선점이 있다.), 청쉬땅나무(꽃이 필때 잎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강원도 및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유사종으로 잎 뒷면에 털이 많은 것을 털쉬땅나무라 한다. 관상용·울타리용·밀원·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데 쓰고 떫은 맛이 강하므로 데친 다음 찬물에 담가 우려 내야 한다. 열매를 진주매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통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골절번통(골연풍), 종독, 진통, 행혈
출처: 애기나무둥지 원문보기 글쓴이: 애기나무
영상첨부
조사된 자료에 대한 출처:
출처: 애기나무둥지 원문보기 글쓴이: 애기나무
글 ;권혁세
[네이버 지식백과] 개쉬땅나무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첫댓글 뿌리가 번지고 맹아가 많이 돋으므로 절개지의 사면을 붙잡는데는 아주 유용한 조경식물로 쓰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