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꼬마리 령(笭)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영 령(令)자는 명령을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라,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명령은 대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상대로 내는 것이기에, 모일 집(亼)자 아래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영저(笭箸) 영상(笭床) 토복령(土茯笭) 복령(茯笭) 영성(笭箵) 백령(白笭) 영계제(笭桂劑)
영양 령(羚)자는 의부(義符)로 양 양(羊)자에 성부(聲符)로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영 령(令)자는 명령을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라,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명령은 대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상대로 내는 것이기에, 모일 집(亼)자 아래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영양’이란 1. 포유류 소목 솟과에 속한 소, 양, 염소를 제외한 한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2. 염소, 산양 따위의 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도 사용합니다. 3. 체형이 사슴과 비슷하고 초식성이며, 네 다리가 가늘고 길어 매우 빨리 달리는 짐승을 뜻합니다. 영우(羚牛) 영양(羚羊) 영양피(羚羊皮) 영양도(羚羊跳) 소문영(蘇門羚) 염각령(捻角羚)
깃 령(翎)자는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에 성부(聲符)로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영 령(令)자는 명령을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라,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명령은 대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상대로 내는 것이기에, 모일 집(亼)자 아래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영자(翎子) 영선(翎扇) 영모(翎毛) 영우(翎羽) 공작령(孔雀翎) 영지(翎只) 백령도(白翎島)
들을 령(聆)자는 의부(義符)로 귀 이(耳)자에 성부(聲符)로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영 령(令)자는 명령을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라,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명령은 대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상대로 내는 것이기에, 모일 집(亼)자 아래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명령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표시한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영취(聆取) 영청(聆聽) 영교(聆敎) 영청대사(聆聽大師) 영신(聆訊) 출석영신(出席聆訊)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