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파열로 빨간불이라면
어깨 관절을 고정시켜 주고,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4개의 힘줄(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인
회전근개에 변형과 파열이 생겨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입니다.
회전근개파열은
노화로 인해 힘줄에 혈액공급이 줄고
탄력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나
격렬한 운동이나
과도한 어깨 관절 사용,
심각한 외상, 체질적 특징 등으로 인해
회전근개에 손상이 생겨
어깨통증이 수반되는 질환입니다.
최근들어
회전근개파열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퇴행성 변화, 과사용, 외상 외에도
스마트폰, 컴퓨터의 과다한 사용과 관련된
습관화된 잘못된 자세가 있습니다.
구부정한 자세가 되면서
어깨가 앞으로 기울고
상대적으로 밑에 있는
상완골에 닿기 쉬워
회전근개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50대가 아닌 40대에서도
회전근개파열이 종종 발생하게 됩니다.
젊은 환자에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50대를 전후하여 많이 발생하며,
반복적으로 팔을 많이 사용하거나
머리 위로 자주 올리는
야구 선수나 목수 등에 많이 생깁니다.
4군데 전체 파열이 생기기 보다는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극상근에
문제가 많이 생기며
일단 문제가 생기게 되면
염증과 통증이 생기면서
증상이 발전하게 됩니다.
회전근개파열은
1cm 정도 파열된 것을 소파열,
손상된 크기에 따라
중파열, 대파열로 나눈다.
아무리 작은 파열이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커지기에
무엇보다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하고
남의 도움으로 팔을 들어 올릴 수는 있지만
혼자 힘으로는 팔을 들어올릴 수 없거나
팔을 들어 올려도
힘없이 툭 떨어지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가 파열돼도
주변 근육의 균형이 잘 잡혀져 있고
급성 염증이나 통증이 없으면
환자의 20% 전후로 별다른 증상이 없고,
힘줄이 파열돼 말려 들어갈 때까지
큰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어깨가 자주 아프거나
만성적인 어깨통증이 있는 경우
세심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부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어깨 사용이 제한되면서
2차적으로 오십견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일단 발생하면
아래 주의사항을 지키는게 좋습니다.
1. 술을 삼간다.
2. 아픈 어깨로 자지 않는다.
3. 불필요한 스트레칭을 하지 않는다.
4.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힘쓰는 일을 하지 않는다.
특히 급작스럽게 과한 힘 사용을 조심한다.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나 화장실 청소
5. 한팔이나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자지 않는다.
6. 어깨너머로 팔을 올리거나
과도한 어깨 사용을 줄인다.
7.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한다.
8. 과도한 어깨 사용을 자제한다.
9. 지속적인 반복 동작을 피한다.
10. 운전시 핸들의 아래쪽을 잡는다.
핸들의 위쪽을 잡으면
회전근개가 견봉에 충돌하는
어깨 충돌 각도에 이르기에
핸들의 아래쪽을 잡는다.
어깨한의원 견우한의원에서는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도침이나 침,
상하좌우로 밀고 당겨
어깨 근육을 이완시키면서
교정치료하는 경근이완추나,
통증을 줄여주고
가동 범위 제한의 회복을 도와
관절 기능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도인 운동 요법,
국소적인 염증을 제거하는 봉약침,
회전근개의 정상화를 도와주는
치료 한약 등을 써서
효과적인 치료를 돕고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카페 게시글
어깨통증
회전근개파열로 빨간불이라면
견우
추천 0
조회 490
21.12.08 17:58
댓글 62
다음검색
회전근개파열 잘배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초기 치료가 중요 하네요
감사합니다.
한방치료가 좋긴 좋은거 같네요.
제대로 배운거 같네요.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원장님도 건강하십시오
건강한 한방정보 감사합니다
알찬 정보 잘보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