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그는 누구인가?
해마다 7월이 오면
잊히지 않고 떠오르는
시가 하나 있습니다.
'청포도'란 시의 배경은
경북 영일군 동해면 도구리
청포도 - 이육사(李陸史)
내 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던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집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이육사가 이 시를 지은 것은 1930년대,
그의 나이 30대 초반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 고장'이라 일컫는 곳이
그가 태어나 16세까지 자랐던 고향인
경북 '안동'인지,
아니면 형무소에서 나와
친척 형 집에 잠시 머물렀던
'포항'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시에 나오는 '하늘 밑 푸른 바다'와
'흰 돛단배'로 미루어
경북 포항이 아니었을까
짐작이됩니다.
안동에서는
바다를 볼 수 없기 때문이지요.
다른 시들에 비해 시 '청포도'가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은
이 시가 지닌 독특한 시각적 효과
때문이기도 합니다.
마을에 전해오는 오랜 전설처럼,
푸른 포도가 주저리주저리 열린
바닷가 언덕에서 바다를 바라보면,
하늘과 맞닿은 먼 곳에
수평선이 길게 펼쳐져 있고,
그 수평선을 넘어 흰 돛단배 하나가
바람을 안고 곱게 밀려 옵니다.
그 배에는
시인이 그토록 애타게 기다려 왔던
손님이 타고있을 것이고,
청포를 입고 고달픈 몸을 이끌며
그가 찾아오면
시인은 그와 함께
식탁의 은쟁반에 놓인 청포도를
두 손이 함뿍 젖도록
따먹을 꿈을 꿉니다.
이 시가 지닌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아름답게 돋보이게 하는 것은
'푸른 색'과 '흰 색'의 조화입니다.
'청포도', '하늘',
'푸른 바다', '청포(靑袍)'가
나타내는 푸른 색과,
'흰 돛단배', '은쟁반',
'하이얀 모시 수건'이
상징하는 흰 색의 대비는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시를 읽는 이들에게
한 폭의 수채화처럼
맑고 아름다운 '순수(純粹)'를
안겨줍니다.
이 시로서 이육사 시인을
오직 순수한 서정(抒情)을 추구하는
낭만파 시인으로만 여길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실제로 그는 '낭만'과는
거리가 먼
열렬한 행동파 독립운동가였습니다.
그는 '의열단(義烈團)'의
열혈 단원이었습니다.
일본 제국주의에 가장 적극적이고
치열하게 맞섰던 독립운동 단체의
행동대원이었지요.
이육사가 39년의
짧은 생애 동안
17번이나 감옥을 출입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이육사'라는 이름이,
1927년
대구은행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대구형무소에서 복역할 때,
수인번호 '264'에서 따온 것이라는 사실은
비교적 많은 이들이 알고 있지요.
1927년 일본 경찰이
장진홍 의거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의
범인을 잡지 못하자
고문으로 진범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육사 시인을 비롯
시인의 4형제도 검거되었습니다.
그때 투옥된 시인의 수인번호가
264였던 것입니다.
23세 때의 일이네요.
독립운동을 하는 동안에도
그의 생활은 아무런 외부의 지원없이
궁핍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형제가 서로 의지하여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고 있으나,
보잘 것 없어서
아침에는 끼니거리가 없고,
저녁에는 잠잘 곳이 마땅치 않으니
한탄스럽기 짝이 없을 뿐입니다"
대구에서 동생과 살며
신문기자로 일할 때
친구에게 쓴 편지 내용입니다.
독립운동을 위해
1943년
베이징에 건너갔던 이육사는
그 해 돌아가신 어머니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귀국했다가
동대문경찰서
형사에게 체포되지요.
피체(被逮) 후
중국 베이징 형무소로 이감되어
대나무로 살점을 도려내는
등의 참혹한 고문을 받다,
결국 1944년 1월 16일
39세를 일기로
그곳에서 순국(殉國)하고 맙니다.
죽는 날까지
이육사가 꿈꾸었던 것은
오직 하나,
조국의 독립이었고,
이에 대한 열정은
그의 시들에 '기다림'의 표현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시 청포도의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올 손님'이라든지,
광야(曠野)의
'백마 타고 올 초인(超人)'은
그가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애타게 기다려 온
독립된 조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덧붙여,
다른 시 '꽃'에도
조국의 독립에 대한 기다림이
절절한 비원(悲願)으로
잘 나타나 있지요.
'북쪽 툰드라에도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망아리가 옴작거려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한 약속이여.'
이토록 애달프게 기다리던
조국의 독립을 못 본채
먼 이역땅에서 외롭게 숨져간
이육사의 유해는 1960년
그의 고향 안동에 이장되어
비로소 독립된 조국에서의
안식을 얻게 됩니다.
많은 이들은 이육사를
낭만적인 시인으로서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표작인 '청포도'가 지닌
아름다운 서정성 때문에 말이지요.
그러나 '시인'으로서의 역할은
그의 전 생애의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7월을 맞으며,
일제에 맞서 처절하게 싸웠던
독립운동가로서의 이육사에 대해
많은 분들이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그의 생애를 짧게나마
되짚어 보았습니다.
- 윤여선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청포도를 통해
풍요롭고 평화로운
미래 세계에 대한 소망을 노래하고 있다.
‘청포도’라는 사물 속에는
화자의 꿈과 소망이 담겨 있으며,
선명한 색채감도 드러나 있다.
‘이 마을 전설’은
잊혀진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미래에 찾아올 청포도와 같은
세계를 상징한다.
그리고 화자는 청포도를
푸른 바다와 연결 지으면서
미래의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화자가 바라는 손님은
그가 기다리는 대상으로,
미래 세계를 상징하는 소재이다.
역사적으로는 광복을,
일반적으로는 평화로운
세계를 상징한다.
희망한 평화의 세계가 찾아온다면
화자는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을 만큼
기쁨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청포도’의 의미
이 시에서 ‘청포도’는
단순한 과일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화자 자신의 현실 여건과
대비되는 것으로
풍성한 결실을 뜻하기도 하고,
2연에서처럼 역사적, 사회적 운명을 같이한
공동체의 원형적 연대 의식으로 볼 수도 있다.
이런 시인의 정서가
‘청포도’와 ‘하늘’이라는
푸른 색감의 시각적 표현을 통하여
선명히 드러나고,
‘주절이주절이’와 ‘알알이’와 같은
첩어적 부사로 강조되어 나타나 있다.
'청포도가 익어가는 것처럼
우리 민족이 익어간다'
시인은 35세 때인 1939년
시 '청포도'를 「문장」에 발표했고,
1943년 경주 남산의 옥룡암으로
요양차 들렀을 때
먼저 와서 요양하고 있던
이식우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육사는 스스로
"어떻게 내가 이런 시를
쓸 수 있었을까?"하면서,
"'내 고장'은 '조선'이고,
'청포도'는 '우리 민족'인데,
청포도가 익어가는 것처럼
우리 민족이 익어간다.
그리고 곧 일본도 끝장난다"고
이식우에게 말했다고 한다.
- 「새로 쓰는 이육사 평전」
(김희곤 지음, 지영사) 중에서
'청포도가 익어가는 것처럼
우리 민족이 익어간다'라고 했네요.
'곧 일본도 끝장난다'라고 했네요.
그리고 시인은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스스로 몸과 마음을 움직였네요.
그해 4월에 베이징으로 가서
국내 무기 반입계획을 세웠고,
7월 모친과 맏형 소상
(小祥: 1주기 제사)에 참여하기 위해
귀국했다가 붙잡혀 베이징으로 압송됩니다.
이듬해 1944년 1월 16일
시인은 새벽
베이징의 차가운 감옥에서
병으로 돌아가십니다.
그토록 바라던 조국 광복을
코앞에 둔 채 말입니다.
억압을 벗어난 해방의 세상에서
포도를 따면서
두 손 함뿍 적시지도 못하고 말입니다.
얼마나 가슴 아리고 아픈 일인지,
얼마나 고맙고 미안한 일인지요?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육우당 - 이육사 생가
작자 소개
이육사(李陸史, 1904 ~ 1944)
시인, 독립운동가.
경북 안동 출생.
본명은 원록(源綠).
육사라는 이름은
형무소 수인번호 264에서 따온 것이다.
1933년
‘황혼’으로 등단하여
1937년 '자오선' 동인으로
잠시 활약했다.
상징적이면서도
서정이 풍부한 시풍으로
일제 강점기 민족의 비극과
저항 의지를 노래하였다.
대표작으로 ‘절정’, ‘광야’,
‘꽃’, ‘청포도’ 등이 있으며,
유고 시집으로
'육사 시집'(1946)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rAlxoFwKBw
在京九鳩會(附中十二回, 附高九回)
戶當(호당) 김건우(개명전 김철조)가
단톡방에 올린 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