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 머리 상투
상투는 성인 남자가 머리털을 끌어올려서 정수리 위에 틀어 감아 삐죽하게 올려 맨 것이다. 대개 망건을 쓰고 동곳을 꽂아 맨다. 상투는 삼국시대에 등장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시대 26대 고종32(1895년) 11월에 단발령이 내려 상투를 깎게 되었다. 상투를 트는 풍속은 21세기 현재에도 일부 지키는 사람들이 남아 있다. 상투는 어릴 때에는 댕기를 드리다가 장가를 가면 머리카락을 끌어 올려서 정수리 부분에서 감아 매던 머리형으로 중국의 《사기》(史記)에 위만(衛滿)이 고조선에 들어올 때 ‘추결(魋結)’을 하고 왔다는 기록과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한조(韓條)에 ‘괴두노계(魁頭露紒)’, 즉 관모를 쓰지 않는 날상투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미루어, 상투의 역사가 매우 오램을 알 수 있으며, 그 확실한 모습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다. 벽화에 나타나는 상투의 모양은 커다랗고 둥근 것, 작고 둥근 것, 쌍상투[雙髻]가 있는데, 큰 상투는 관모를 쓰지 않은 장사도(壯士圖)나 역사상(力士像)에 많고, 작은 상투는 관모를 쓰는 귀인층에서 볼 수 있다. 신라에 있어서도 경주 금령총(金鈴塚) 출토의 도기로 만들어진 기마인물에 상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백제에서는 아직 뚜렷한 자료가 발견되고 있지는 않지만, 삼국 공통의 풍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시대는 《고려도경》에 “왕 이하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관(冠)·건(巾)·복두(幞頭)를 썼다.”는 기록과 ‘속발(束髮)’의 기록이 보인다 이들 관모는 모두 상투 위에 쓰기에 적합한 모양이며, 속발도 상투를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78년(충렬왕 4) 왕의 명에 의하여 모든 관료층에서는 정수리 부분의 머리카락만 남기고 뒤통수에서 묶어 길게 땋아 내린 몽고식 개체변발을 하였다 공민왕의 복구적인 중흥정책 이후에는 다시 상투를 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는 초상화나 풍속화를 통하여 계층을 막론하고 상투 튼 모습을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중국과 몽골의 전통 머리 변발
변발(辮髮)은 앞 머리털을 밀고 뒤 머리털만 남기고 땋는 몽골족(동호족, 선비족, 거란족)과 만주족(여진족) 머리 매무새이다. 때때로 아메리카 토착민의 땋은 머리 매무새나 일본의 존마게(丁髷)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몽골 계통 민족(동호족, 선비족, 거란족, 몽골족)은 앞 머리털을 약간 남기고 옆 머리털을 양측으로 내려서 땋고 나머지 가운데 머리털은 미는 머리매무새를 하였다. 하나 말갈 계통 민족(여진족, 만주족)은 앞 머리털이고 가운데 머리털이고 옆 머리털이고 다 밀고 뒤 머리털만 아주 약간 남겨서 한쪽으로 내려서 땋았다. 몽골과 만주의 변발은 그 머리 모양새가 두 갈래와 한 갈래로 달랐다. 원래 변발은 만주에 살던 몽골 계통 부족과 말갈 계통 부족이 즐겨하던 머리 매무새이다. 몽골 계통인 선비족도 변발하였다고 하니 변발의 역사는 짧게 쳐도 기원전 1세기까지 올라간다. 몽골 제국이 고려를 지배한 시기에는 고려의 지배계급을 위시해 일부 백성도 몽골의 풍습을 따라하고자 몽골식 변발하였다. 그후 공민왕이 몽골식 변발을 금지하였다. 청나라식의 변발은 1644년, 이자성장군의 봉기로 명나라가 멸망했고 만주족들은 오삼계의 도움으로 산해관을 넘어 북경을 점령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도르곤을 비롯한 만주 귀족들은 청나라의 중국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해 한족 남성에게 변발을 하고 만주식으로 옷을 갈아입길 강요했다. 하지만 처음에는 한족이 극심하게 반발하여 이 정책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지만 1645년 청군이 강남에 진군하자 다시 강력하게 시행하였다. 이것을 중국어로 체발이복(薙髮易服, 薙发易服)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정책은 한족의 거센 반발에 부닥쳐 수차례의 유혈참사가 일어났지만 청나라의 통치권자들은 체발이복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했다. 청(淸) 정권을 공고히 함과 동시에 200년이상 한(漢)인에 대한 통치를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다만 종교인(불교와 도교의 성직자 등)이나 어린아이,노비,기생,여성 등은 제외되었다. 특히 도교의 도사들은 한족의 전통 상투까지 틀 수 있었고 명나라 의복과 상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십종십부종의 여섯번째 원칙에 따른 것이기도 했으며 도교의 지도자 장천사와 명말청초의 유력 도사인 왕상월(王常月)이 순치제에게 가서 입을 모아 설득해 쟁취한 결과였다. 청나라 말기에는 정수리를 깎지 않거나 간혹 땋은 머리를 자르는 등 많은 사람들이 머리카락에 관한 청법을 위반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땋은 머리의 형태는 유지했다. 중화민국 설립 이후 1911년 쑨원은 신해혁명을 일으켜 청나라를 전복시키고 중화민국을 수립했다. 그와 함께 청말에 생겼던 전변운동(剪辮運動:변발을 자르자는 운동)이 활발해졌고 마침내 쑨원의 중화민국 임시정부는 1912년 3월 5일 공보(公報) 제29호(大總統令內務部曉示人民一律剪辮文:대총통령내무부효시인민일률전변문)를 발표해 중국 전역에서 변발을 모두 잘라버릴 것을 명령한다. 이에 많은 한족들은 환호했고 중국 전역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변발을 자르기 시작했다. 전변은 주로 군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혁명가들은 거리로 나가 선전과 교육을 실시하여 모두에게 땋은 머리를 자르도록 설득했다. 그럼에도 땋은 머리를 잘랐을 경우 청나라 정부에게 참수당할 것을 우려했던 사람들과 역사와 전통 등 여러가지 이유로 여전히 많은 이들이 따르지 않았고 이에 중화민국은 지속적으로 전변을 추진했다. 그 결과 변발은 점차 중국인들 사이에서 사라지게 된다
일본의 전통 머리 촌마게
일본의 헤이안 시대에서 에도 시대까지의 헤어스타일로 일종의 상투다. 이마 위쪽부터 정수리를 비롯한 머리 윗쪽을 거의 밀고 옆머리와 뒷머리만을 길러 상투로 틀어 올린 모양이다. 머리의 위에서 보면 고무래 丁(정)자와 비슷해서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다만 위 이미지나 후술된 내용처럼 본래 고대부터 가마쿠라 시대까진 흔히들 생각하는 모양이 아닌 머리를 기른 형태였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윗머리를 빡빡 밀어버린 모양은 전국시대 쯤 유행해 에도 시대에 정착된 케이스라고 한다. 촌마게(일본어: 丁髷)는 센고쿠 시대 및 에도 시대의 남자가 했던 일본식 상투의 한 가지이다. 이마 위의 머리를 밀고, 후두부에서 머리를 모아 틀어올렸다. 주로 사무라이들이 많이 했다. 이 상투가 생긴 이유는 센고쿠 시대의 시대적 배경과 일본의 기후가 맞물려져서 만들어졌다. 센고쿠 시대에는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쓴 채로 잠을 자야 할 정도로 매우 혼란스러웠는데 일본이 아열대 지방인 관계로 더워서 어쩔 수 없이 투구로 가리는 부분의 머리카락을 모두 깎고 남은 머리카락으로 상투를 틀었다. 에도 시대에 이르러서는 도쿠가와 가문의 뛰어난 치세 능력으로 인해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나날을 보냈지만 사무라이들은 전투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 때문에 이 상투를 유지했다
사진 : Google
첫댓글 오늘부터 동아시아 삼국(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문화를 소개 하면서 한국과 비슷한 중국과 일본의 똑같은 문화와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소개 해 볼까 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