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몸에서 생기는 종양 중 제일 흔한 것으로 손목과 손에 나타나는데 마치 물주머니와 같은 모양으로 크기는 콩알만한 것에부터 작은 알밤만한 것까지 여러 가지 크기가 있습니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고 10대에서 30대 사이가 많으며 주로 손목 등쪽으로 피부 바로 밑에서 피부를 불룩튀어 나오게 하는 덩어리가 딱딱하게 또는 약간 물렁하게 만져지기도 합니다.
|
관절막과 유사한 구조의 주머니를 이루면서 주머니 안에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젤리(mucin)같은 것이 들어 있는 연부조직 종양입니다.
|
혹이 만져진다는 것 이외에 특별한 증세는 없으나 어느 정도 커지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주위조직이 눌리는 듯한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손등에 혹이 있을 때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굽히면 혹이 더욱 튀어나오면서 단단해지고 이때 압박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아주 드물게는 혹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특별한 증세를 나타내는데 혈관 주위에 있으면 맥이 뛰는 것이 크게 느껴지며 약간의 통증을 나타내기도 하고 신경 주위에 있는 경우는 밖에서 만져지지 않을 정도로 작아도 마비나 통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
아직은 확실치 않으나 힘줄을 싸고 있는 막이나 관절을 싸고 있는 막과 같은 세포들이 퇴행변화를 일으켜 점액을 생성하며 이것이 모여 혹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주머니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이 종양은 관절과 좁은 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크기는 손등의 경우는 약 작은 알밤정도인 지름이 약 2cm 이내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드물게는 4-5cm 정도로 큰 것도 있습니다. |
|
진단 |
진단은 쉬운 편으로 이 종양으로 의심되면 주사기로 종양을 찔러서 안의 액체 즉 끈적끈적하고 맑고 투명한 젤리를 확인하면 됩니다. 그 외의 방법으로는 어두운 곳에서 종양의 엎을 밝은 불빛으로 비추면 종양의 안이 투명한 액체가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공명영상(MRI)나 초음파까지 꼭 촬영할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검사로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종양의 위치는 손등이 대부분이지만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손목관절의 손바닥쪽 부위, 손바닥에서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부위 (여기 생기는 것은 매우 작아서 약 3-5mm 정도로 단단한 작은 깨알같이 만져짐), 손가락 끝 관절의 손등쪽 즉 손톱 뿌리가 있는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경과/예후 |
치료하지 않아도 수년에 걸쳐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종양 또한 특별한 증세 없이 다만 보기 흉하거나 혹시 이상한 것 아니냐 하는 불안감이나 호기심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종양은 암으로 발전한다든지 몸에 퍼진다든지 하는 해로운 것은 전혀 없습니다. |
합병증 |
아주 드물게 혈관 특히 요골동맥 또는 척골동맥을 눌러 증세를 나타내거나 신경을 눌러 통증이나 마비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치료 |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누어지는데 비수술적 치료는 주사기로 젤리를 뽑아내고 그 주머니에 호르몬 제제등 여러 가지 약제를 넣는 방법과 혹을 눌러서 그냥 터트리는 방법도 있는데 재발이 잘되는 편입니다. 수술적 치료는 국소마취보다는 국부마취나 전신마취를 하는 것이 지혈대를 하여 피가 전혀 나지 않게 수술할 수 있어 완전제거가 가능하므로 수술 뒤에 재발율이 낮습니다. |
예방법 |
손은 항상 노출되는 부위로 특히 손등에 생기는 혹은 항상 다른 사람이 거기만 보고 있는 것 같아 신경 쓰입니다. 그래서 수술하는 경우도 수술에 의한 흉터가 혹의 크기에 따라 생기므로 수술 뒤에 혹이 재발하지 않는 경우라도 젊은 여자들은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세번째
◈ 손목 결절종이란?
- 손목에 자라는 물주머니로 대게 손목의 뒤쪽, 손목의 손바닥쪽에 많이 생깁니다.
발생의 특별한 원인이 없지만 손이나 손목을 많이 사용하면서 관절막이 터지거나 변성이 되어
관절액이 새어나와 투명한 젤리 주머니를 형성한 것입니다.
이 낭종은 특히 처음 생길때나 지속적으로 심하게 손을 사용할 때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혹의 형태가 유지되고, 큰 불편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처음 생길 때는 손목 주변의 모호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진단이 어려워 대부분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등을 하다가 크기가 커지면 그 때서야 진단을 받기도 합니다.
- 혹이 커지게 되면 손목사용이 불편해지고 해당부위가 쿡쿡 쑤시듯 아픈 통증이나 찌릿 찌릿이 느껴지고,
특히 20대에서 40대까지 손목을 많이 쓰는 여성들이 손목을 꺽을 때나 짚을 때, 그리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엔 증상이 심해집니다.
◈ 손목 결절종의 진단 및 치료
- 간단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촬영과 처음파 검사를 하여 진단을 내려가며,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진단하기도 하면 됩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방법에는 정기적인 관찰이나 바늘 침을 이용해서 물혹의 내용물을 뽑아내어서
크기를 줄여주는 천자법
- 외부에서 강력한 압박력을 주어서 혹주머니를 곁에 놀러 파열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 그러나 압박력을 주는 비 수술적인 치료는 실제로 외래에서 행하기에는 어려운 면도 있고
성공률도 낮습니다.
2. 수술적 치료
- 수술적 방법으로는 낭종을 제거하는 수술을 권장합니다. 이러한 낭종은 손목 관절막의
변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제거 시 관절막의 일부를 절제해
내야 하므로 국소마취로는 원인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래서 전신마취 혹은 팔 마취 후에 결절종의 원인까지 제거해야 하고 수술 후
다음부터 손가락을 쓰는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며 수술 후 관절막의 안전한 재생을 위해
실밥을 뽑는 순간 손목 부목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출처 : 바로병원 WWW.BARO119.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