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확실하게 해볼까요?
신나게 고속도로를 달리다 갑자기 번쩍 하는 플래시를 느꼈다면 웬지 속도위반 과태료가 걱정되지요..
분명히 찍힌거 같은데 하는 웬지 찜찜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을때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를 한번 해
보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기분좋게 고속도로를 달리다 자신도 모르게 찍힌 속도위반 카메라..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고지서를 받는것 보다 고속도로를 운행했다면 미리 한번 알아보는 것도 신경
안쓰이고 좋을것 같네요. 더불어 속도위반 과태료는 얼마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사이트

가장 확실하게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를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경찰청 사이버 홈페이지인데요.. 메뉴에서 "최근 무인단속 조회" 를 클릭하시면 최근 30일 이내에
무인단속카메라에 단속된 사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웬지 찜찜한 기분이 들면
가차없이 한 번 조회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로그인은 필요없고 아무래도 개인적인 사항이다보니
공인인증서 조회는 필요하구요.. 몇가지 보안 프로그램을 깔아야 하는데... 그냥 자동으로 계속 실행만
하시면 됩니다.

무인카메라 단속 조회나,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뿐만 아니라 "미납 과태료조회"도 할 수 있습니다.
혹시 자신의 미납과태료가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어서 한번 쯤 확인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스마일라이프의 경우 확인해보니 미납 과태료가 있더군요 ㅠㅠ 그것도 가산금이 붙어 있는 상태로요.
미처 확인하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확인했으니 빨리 처리 해야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면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몇가지 보안프로그램을 깔아야되지만 아무래도 경찰청의 사이트이니 보다더 실시간으로 올라오는것
같고, 더 공신력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인인증서와 실명만 확인하면 바로 단속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어서 더 괞찮은것 같습니다.
□ 속도위반 과태료는 얼마 일까?

신나게 고속도로를 달려서 휴가를 다녀온 뒤 갑자기 웬 고지서 하나가 날라왔는데
아뿔사! 속도위반 과태료 고지서이다. 이게 웬 날벼락인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 바로 속도위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 자신도 모르게 카메라에 찍혔네..
정말 억울할 뿐이다.. 하지만 어쩌겠나.. 낼 수 밖에.. 이왕 낼꺼면 미리 과태료 금액이라도 알고 있는게
좋지 않을까? 물론 이전에 미리 위에서 소개한 경찰청 사이트에서 단속여부는 확인 해보시구요,,

먼저 속도위반에 단속 되셨다면 범칙금이든 과태료든 고지서가 주소지로 날라옵니다.
금액은 차량이나 속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속도위반 범칙금과 과태료금액을 일반 승용차
기준으로 알아보면
▷속도위반 범칙금
20km/h 이하 : 3만원
20km초과 40km 이하 : 6만원
40km 초과 : 9만원
60km초과 : 12만원
▷속도위반 과태료
20km 이하 : 4만원
20km 초과 40km 이하 :7만원
40km 초과 : 10만원
60km 초과 : 13만원
□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예를 들어 속도위반이 20km이하일 경우 범칙금은 3만원 이고, 과태료는 4만원입니다.
과태료로 납부시에 사전과태료 납부기간에 납부하면 20%경감된 3만2천원만 납부하시면 되는데
금액으로만 보면 범칙금이 2천원 싸게 들지만 경찰관서에 방문등 번거러움이 있죠...
또한, 20km이상 40km이하의 속도위반의 경우 범칙금은 6만원이고 과태료는 7만원이 되는데..
이때에는 사전과태료 20%감면이 안되고, 범칙금의 경우는 벌점15점이 발생합니다.
이경우 범칙금을 내지 않고 후에 과태료로 납부하면 1만원을 더 내게 되겠죠..
벌점 15점을 받고 6만원을 내느냐, 벌점을 받지않고 7만원을 내느냐는 본인들이 판단하시길...
□ 과태료를 기간내 납부하지 않을시 가산금은?

과태료를 납부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붙게 되는데
납부기간 그다음달 최초 5%의 가산금이 함께 부과되고, 그후 매월 1.2%씩 5년(60개월)동안 부과되어
최고 77%의 가산금이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20km이하의 속도위반 과태료를 납부기간내에 납부하지
않고 계속 둔다면 최고 70,800원을 납부 하셔야 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차량이 압류되거나, 번호판
영치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를 통하여 혹시 자신도 모르게 미납된 과태료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도 있겠습니다.
그외 자동차 관련글은 스마일라이프의 블로그내 관련글을 참고하세요...

첫댓글 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