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의론(八醫論) - 조선 세조
조선 세조는 직접 "팔의론(八醫論)"을 지어 이를 책자로 만들어 전국에 퍼트려 읽게금 했다고 한다.
세조는 여기에서 의원을 자질로 나누어
심의(心醫),식의(食醫),약의(藥醫) 혼의(昏醫).광의(狂醫),망의(妄醫),사의(詐醫),살의(殺醫) 여덟가지로 나누었다.
여기에서 으뜸가는 의원은
①심의(心醫)인데 환자의 마음을 편하게 하여 환자의 기(氣)를 안정시켜 병을 낫게 하는 의원이다.
②둘째는 먹는것을 잘 조절시켜 병을 낫게하는 하는 사람이 식의이다.
③세째는 약을 잘 써서 병을 낫게하는 약의이다.이상에서 말한 의원을 양의(良醫)라고 한다.
즉 요즈음의 좋은 의사(醫師)이다.
④네 번째 ,혼의는 환자를 대할 때 나름대로 소신이 없이 당황하여 일관된 처방이나 처리를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의학에 대한 깊은 지식이 결여되어 당황하는 것이다.
⑤다섯 번째, 광의(狂醫)는 정신병을 고치는 그런 의원이 아니라 무슨 병이든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고
극약을 사용하거나 적당치 않게 과다한 약을 함부로 쓰는 사람을 말한다.
⑥여섯번째, 망의는 병이 이곳에 있는데도 저곳에 있다하고 약을 제데로 사용치 못하는 의원이다.
⑦일곱 번째 사의(詐醫)는 돈이 있는 환자에게는 있지도 않은 병을 있다고 둘러대고 가난한 환자에게는 병이 없다.
고 속이며 많은 약을 써서 낫게하는 의원이다.
⑧끝으로 여덟 번째 살의(殺醫)는 앞서서 말한 혼의, 광의, 망의, 사의의 못된 것을 골고루 다 갗춘 의원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