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암산(235m).돌탑전망대(215m).자웅산(수산264m).금병산(294m).도마산(154m)/경기 파주
산행일자; 2022. 3.1(화.삼일절). 날씨; 흐림. 산행거리; 약14.0km. 산행시간; 약5시간20분. 개인산행
교통편;
<갈때>07시15분(첫차) 불광역 8번출구 버스정류장에서 30번 버스에 탑승하여 08;50경 법원도서관, 초리골에 도착
cf 경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파주역에서 하차한 다음 30번이나 600번 버스를 타고 30여분 걸려 법원도서관 초리골 하차가 더 편리 할듯. 택시는 약11.000원.
<올때>창만5리 마을회관 앞 [창만5리 버스정류장].- 62번버스 (많이 기다려야함)-광탄시장/cf 택시;창만5리-11,00원- 파주역/창만5리-5,600원 -광탄시장
광탄시장 774번 버스타고 불광역
또는 길건너 774번 버스타고 파주행정복지센터 600번 환승- 파주역-경의중앙선
산행코스 : 법원도서관. 초리골-이정표 3거리-운암산(225m) -돌탑전망대-이정표 3거리-자웅산(수산264m)-군사도로(임도) 구간/약2km 후 임도 3거리 금병산 초입주의-금병산(294m)-도마산(154m)-창만5리(도마산 마을회관 정류장)<14km/5시간20분>
■수산.자웅산(雌雄山264m)은 파주시 법원읍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정상에는 바위와 삼각점이 있고, 조망이 좋다. 등산로는 법원새마을2교를 건너서 축사건물(도로까지 지붕이 덮여있음)을 지나자마자 좌측 첫번째 논두렁길이다. 암산은 숫산(현 도로지도에는 자웅산)과는 법원읍 갈곡천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암봉으로 비학산 남서쪽 능선끝에 위치하고 있다.
자웅산의 원래 이름은 수산이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동지도』에는 「자웅산이 파주읍치의 동쪽에 있으며 도로와 하천을 사이에 두고 남북방향으로 자리하여 남쪽에 있는 산이 웅산(雄山, 수산)이고 북쪽에 있는 산이 자산(雌山, 암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니까, 수산과 비학산 오른쪽 꼬리에 놓인 암산을 합쳐야만 자웅산이 완성된다. 노고산 서맥으로 우뚝 솟은 2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이를 가리켜 숫산, 암산 이라 하여 이름하였으며, 산림이 울창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초리골 마을에서 태어나 70평생을 살았다는 김인환씨의 숫산에 대한 전설이이나 유래 담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놈들의 잔혹행위가 심해 마을 사람들이 잔혹행위를 피해 산으로 숨어들었는데 노소를 가리지 않고 남자는 모두 냇가 우측인 지금의 숫산으로 여자들은 냇가 좌측인 지금의 암산으로 숨었는데 작은 산에서 오랫동안 숨어 있다 보니 식량이 다 떨어졌는데 굶어 죽기 직전에 이르자 숫산에 어른들이 어린아이의 인육을 먹었지만 암산의 여자들은 끝까지 아이들을 돌보았다며 여자의 인내와 모성애가 남자들보다 더 많다는 이야기를 하며 그 이후 냇가 우측 남자들이 숨어들었던 산은 숫산으로 냇가 좌측의 여자들이 숨어들었던 산은 암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운암산(235m)은 국립지리원 지도,오록스맵,네이버,다음지도상 무명봉인데 산님들 상이에 회자되면서 운암산이란 이름을 얻은 산이다. 초리골천 보신사와 여래암을 사이에 두고 자웅산(수산)과 연결되는 바위암릉상의 산이다. 특히 운암산(235m) 정상에서 돌탑전망대(215m)가는 능선길은 낮은 산임에도 능선길의 아기자기한 암릉길은 설악의 용아나 공룡보다 더한 신비감을 주는 산이다.
운암산은 초리골천에서 오를 경우 운암산 들려 돌탑전망대를 거쳐 왕복하지 말고 원형 코스로 자웅산(수산)진행이 가능하다.약수터 기점인경우 돌탑전망대 왕복후 운암산-자웅산 수산 연결이 쉽다.
■금병산(錦屛山294m)은 경기도 파주시의 광탄면 북부에 위치한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삼방리, 광탄면 발랑리, 방축리에 걸친 산이다. 남사면에는 발랑리와 창만리 등의 마을이 있으며, 벽초지 수목원도 자리하고 있다. 북동쪽으로 서원밸리골프클럽이 있고, 북서쪽에는 애룡저수지가 자리잡고 있다. 이 산 서쪽 삼방리고개에 33번 군도, 남쪽은 360번 지방도, 동쪽은 서원밸리골프장 진입로가 지난다.
정상에 정자 ,삼각점 , 산불감시카메라, 벤치와 이정표 등이 있다. 고령산 너머 삼각산 백운대까지 조망되지만 남서쪽의 폐광된 채석장이 흉물스럽게 남아 있다. 산 입구에는 금병산 산림공원안내도가 설치되어 있고, 등로 중간에서 밧줄구간과 암릉구간, 벤치쉼터, 헬기장 등을 만난다.
금병산 줄기는 법원읍과 광탄면의 경계를 형성한다. 본래 조선 시대에는 우두산(牛頭山)으로 불렸으며, 『조선지지자료』에 따르면 "금병산은 파주군 광탄면(廣灘面)과 천현면(泉峴面)의 경계를 이룬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는 "우두산이 파주목의 읍치에서 동쪽으로 13리 떨어진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일명 금병산이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우두산이나 금병산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우두라는 이름은 산의 형상이 소의 머리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금병이라는 이름은 산의 아름다움을 병풍에 비유하여 생겨난 이름이다
금병산(錦屛山) 유래는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답고 병풍을 둘러 친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조 영조가 생모 최숙빈의 묘지를 찾아 소령원에 왔다가 말구리재에 올라서 '앞에 보이는 저 산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옆에 있던 신하가 '낙엽이 떨어져 나간 형상을 하고 있다 해서 풍락산으로 불린다고 합니다'라고 답을 올렸다. 영조는 '금으로 병풍을 친 것 같으니 앞으로는 금병산으로 불러라'는 명을 내렸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또한 원래 이 산은 고려 시대 때 족멸산(族滅山)으로 이 산에는 큰 사찰이 있었고 그 사찰에는 정몽주 일가들이 피신하여 은거하였다고 전해진다.그렇게 불리우던 족멸산을 금병산으로 개칭 된 것이 조선 영조대왕 때인데 영조대왕의 생모 최숙빈의 묘소인 소령원에 참배 후 뒷산으로 올라서서 신하에게 뒤에 있는 산명을 물으니 그 이름을 말하자 왕이 그 설명을 듣고 즉석에서 조선이 멸망한다는 뜻으로 부당하다고 하면서 산세가 마치 비단병풍 같이 생겼으니 '금병산(金屛山)'으로 개칭하여 그때부터 바뀌게 되었다고도 한다.
■도마산(都馬山154m)은 금병산 남쪽 능선상의 산으로 금병산 남쪽 마을에 도마산동(都馬山洞)이란 지명이 있어 도마산이란 이름을 얻은듯하다. 마을 주민들은 금병산을 도마산(都馬山)으로 부르기도 한다. 도원수(都元帥)가 천병만마(千兵萬馬)를 거느린 형국이라해서 도(都)와 마(馬)자를 따 붙인 이름이다. 도마산 이름을 가진 도마산초등학교를 이 마을에서 찿을 수 있다.
2022.3.1(화요일)삼일절공휴일 새벽 세우비가 추적추적 내립니다. 베낭메고 우산 받고 집앞 가양역으로 나갑니다. 산행지 도착하면 일기예보처럼 비는 그칠듯 싶습니다.
(05;57)가양역에서 완행으로 김포공항역으로 이동 김포공항역(06;05~06;08)에서 공항철도 환승 DMC역에 도착합니다. 환승이 긴 DMC역입니다. 경의 중앙선을 타고 파주역으로 갈까하다가 그나마 환승이 조금 짧은 6호선을 환승하여 불광역 8번출구 나가 중앙차선 버스정류장에서 약 30분을 기다려(cf. COVID-19탓에 첫 버스가 07;15경으로 변경된 줄 모르고 일찍 도착. DMC역에서 경의중앙선 타고 파주역으로 갔으면 조금은 우중산행이 되었을 듯 ) 30번 버스에 탑승하여 약1시간 40분 소요되어 산행들머리 (08:45)경 "법원읍 도서관,초리골 버스정류장"에 내립니다. "법원읍 도서관,초리골 버스정류장" 의자에서 약15분간 과일도 먹으면서 산행 준비 후 (09;00) 산행 시작합니다. 예상대로 비는 그쳤지만 운무가 가득하여 조망이 없는 산행길이 됩니다.
0km 0분[법원읍 도서관,초리골 버스정류장](09;00)
법원읍 도서관,초리골 버스정류장에서 약 10m 직진하여 회전교차로 우측으로 (09;01) 법원1리 표지석을 지나 횡단보도를 건너 인도를 따라 간다. 좌측으로 감곡천을 가로지르는 (09;05)법원 새마을2교를 건넌다. 마을길 따라 김포-인제선 고속도로 밑을 통과한 (09;08) 마을길에서 좌측으로 보면 암산과 자웅산(수산)이 한 눈에 조망된다. 도로는 폐 가축 축사를 만나고, 3거리에서 폐 축사 아래도로를 (cf. 윗도로는 폐축사 진입로)따라 쭉 올라 간다. (09;14) 호젓한 비포장 등로를 따라 가니 (09;15) "보신사 표시석"이다."보신사 표지석"에서 우측 가정집 같은 보신사를 일별하고 좌측 길로 올라간다(cf 우측 길은 보신사 절로 가는 길이다.) (09;22) 출입금지 금줄이 처진 여래암이라는 폐 암자 건물을 만나고, 우측능선에 올라서니(09;23)시멘트 석탑이 서있는 능선이다. 희미한 능선 길을 따라 올라서 우측 사면길을 만나 여유롭게 진행하여 (09;30)이정표 4거리 능선을 만난다.[1.5km][30분]
1.5km 30분[이정표 4거리 안부능선](09;30)
이정목(돌탑전망대400m/수산<자웅산>400m/삼방리<어둔동>/법원리<여래암.보신사>)이 서있는 안부 4거리다. 완만한 능선 오름길을 올라 운암산 전위봉 3거리(cf 우측; 허리길은 돌탑 전망대 향/직진 능선길은 운암산향)에서 직진길로 올라야 하지만 허리길이 궁금하여 허리길이 우향 내림길이 되는 지점에서 좌향 능선길을 치고 올라 (09;38)전위봉(바위암릉봉)에 서고 조금전 버린 직진 오름길과 만나 바위들이 산재한 능선길 완만하게 오르니 운암산 정상이다.[0.3km][10분]
1.8km 40분 [운암산](235m)(09;40~09;42)[2분]
작은 바위들만 있는 운암산 정상이다. 소나무 가지에 안평님의 운암산 표지기와 선답자2분 표지기 걸려있다. 표지기들 사이에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Back 하여 전위봉 아래 허리길로 진행 돌탑 전망대를 왕복하여도 되지만 Back이 싫어 우측 바위들과 소나무가 어우러진 내림 능선길로 접어들어 (cf 트랙이 좌측=처음 정상에서 직진 내림 능선을 가르켜 직진 능선에 들어 잠시 알바한후 우측능선으로 되돌아와 ) 내려서 잠깐 오르니 직진은 불가능한 낭떨어지고 우측으로 절벽인데 바위 울타리벽을 넘어서면 돌계단을 3단 밟고 내려서 좌측으로 절벽위 차마고도 같은 길로 진행 (10;04) 돌탑1기가 있는 폐헬기장(?) 공터로 우틀하여 소나무 숲길을 지나 (10;07) 삼방리 갈림이정표(돌탑전망대300m/수산<자웅산730m/삼방리<어운동>)를 만난다.
이곳에서 돌탑전망대를 왕복한후 삼방리<어운동> 방향으로 가지 않고 이정표(수산<자웅산>730m)방향으로 편안하게 진행 운암산 전위봉 우회길로 진행하게 된다. 조금 진행하니 (10;10)약수터입구 갈림이정표(돌탑전망대180m/수산<자웅산>850m)/약수터입구900m)를 만난다. (10;10) 좌측 아래로 가족묘지를 보면서 능선길 지나 오르니 (10;15)돌탑. 정자전망대다. 운암산에서 알바5분과 비에 젖은 암릉에서 진행이 더딘 탓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린 셈이다.[0.8km][32분]
2.6km 75분 [돌탑. 정자전망대](215m)(10;15)
정자 전망대다. 이정표(수산<자웅산>1,030m/대능3거리<오류골>810m/약수터입구920m)서있다. 돌탑5기가 서있고 그아래는 체육시설이 있고 대능3리 주민들인지 올라와 있다. 날씨 탓 전망은 불가능 하다. 이정표(수산<자웅산>1,030m) 방향으로 Back (10;20)삼방리<어둔동>갈림이정표(수산<자웅산>730m/삼방리<어둔동>/돌탑전망대300m)로 돌아와 진행한 용아나 공룡능선 같은 능선을 통해 운암산으로 Back하지 않고 이정표(수산<자웅산>730m) 방향으로 좋은 길을 편안하게 진행 (10;28)능선 갈림길(운암산 /돌탑 전망대)로 돌아와 내림길 내려 (10;30)능선상 안부4거리 이정표로 돌아온다.[0.5km][15분]
3.1km 90분 [능선상 안부4거리이정표](10;30)
이정목(수산<자웅산>400m/삼방리<어둔동>/법원리<여래암.보신사>/돌탑전망대400m)로 돌아온다. 운암산(235m)과 공룡용아 암릉을 통한 톨탑전망대(215m)돌고 오는데 1.6km/60분이 소요 된 셈이다.
운무에 가린채 자잔한 소나무 숲 오름길을 오른다. (10;40)3거리 이정표(수산<자웅산>110m/금병산7,450m/돌탑.전망대500m)를 만난다. 이곳에서 이정표 (수산<자웅산>110m)방향 으로 올라 수산(자웅산235m) 정상에 선다.[0.4km][14분]
3.5km 104분 [숫산](자웅산235m)](10;44~10;46)[2분]]
4각추모양의 돌기둥 정상석 서있다. 날씨 탓에 파평산 , 건너 바로 앞 암산과 그 우측에 삼봉산 그리고 저 뒤 비학산도 조망 될 것인데 조망하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한채 인증사진만 남기고 표지기 걸고 (10;49) Back 바위능선을 지나 우향 내림길 내려 (10;50)3거리 이정표(금병산7,450m/돌탑.전망대500m/수산<자웅산>110m)로 되돌아와 좌향 이정표(금병산7,450m) 방향으로 진행한다. 부드러운 능선길 진행하여 전면의 봉을 올라서 (10;49)바위봉에서 우향 내림길 내려서고 (11;14) 바위능선을 내려서니 (11;15)경고문 (사유지무단진입금지 포프설치함) 부착된 금줄를 넘어 부드러운 능선 한없이 걷는다. 능선내려서 (11;47)이정표(금병산5.2km/수산<자웅산>2.4km) 서있는 임도에 진입한다.[2.4km][61분]
5.9km 167분 [군사도로=임도 진입](11;47~11;50)[3분]
임도(군사도로)에 내려서면 (11;47)이정표(금병산5.2km/수산<자웅산>2.4km) 서있다. 물 한모금씩하고 임도(군사도로)길 오르내리면서 임도길 이어간다. (12;09)첫번째 송전 철탑을 만나고 전면 언덕(길가에 화강석 석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시설물이 있응 듯?) 을 좌측 중심으로 반원 형태로 돌면서 (12;13) 진행해 온 임도(군사도로)를 버리고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야 하는 주의를 요하는 갈림길이다. [2.0km][23분]
7.9km 193분 [군사도로=임도 이별](12;13)
갈림길에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세워진 이정목(금병산 정상 3.2㎞/수산<자웅산>4.4km)과 "2020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현황판 이 서있다. 직진하면 알바길이다. (12;13) 진행해 온 임도(군사도로)를 버리고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야 하는 주의를 요하는 갈림길이다. 이정표(금병산정상 5.2㎞ )지점에서 임도가 시작되었고 이곳 이정표(금병산 정상3.2km에서 임도길을 버리니 임도길만 2㎞ /23분을 걸은셈이다.
부드러운 능선길을 진행한다. (12;25)두번째 만나는 송전 철탑도 지나가고 (12;33) 이정표(등산로/등산로)를 따르고 ,(12;37)등로 좌측에 자리잡고있는 서원밸리골프장 물탱크 시설도 지난다. 서원밸리골프장 물탱크와 경고문(서원레저주 소유땅, 등산객 외 오토바이 원동기 출입금지) 표시판을 지나면서부터 금병산까지 픽스 가이드 로프 깔린 가파른 오름길을 올라 봉에 오르고 다시 내리기를 몇번 반복하여야 하는 등로다 , (12;42) 픽스가이드 로프잡고 봉에 오르니 (12;45) 한전 철탑봉이다. 약5분간(12;45~12;50) 간식시간 갖는다. 가야할 금병산이 아득하다. 좌향 곡각지점에 이정표(금병산 정상1.65km/발랑3리4.3km)의 글씨가 반대편에 가야 보인다. (13;07)등로를 올라서니 등로 왼쪽 서원밸리골프장이 더 잘보인다. (13;07) 바위능선을 지나고(13;08) 좌측에 서원 CC 우측에도 골프장(스마트KU골프파빌리온)이 조망된다. (13;12) 금병산 방향 능선을 조망한다. (13;15) 이정표(금병산 정상0.8km/발랑3리5.15km)를 만난다. 금병산이 얼마남지 않았다. 완만한 오름길 오르니 (13;25) 평상과 장의자 2개가 놓인 쉼터다. (13;25)건대농장입구 갈림길 이정표(금병산 정상0.15km/건대농장입구1.25km/발랑3리5.8km)를 지나 자잔한 바위지대를 오르니 (13;30) 금병산 정상이다.[3.2km][77분]
11.1km 270분 [금병산](294m)(13;30~13;34)[4분]
아담한 금병산 정상석, 정자, 삼각점(문산26/판독어려음),조망데크등이 갖추어진 정상이다. 조망데크에서 조망 즐긴후 인증사진 남기고 하산길에 들어 마지막 산인 도마산(154m)을 향한다. 정상에서 직진으로 능선길 조금 진행하니 이정표(발랑1리1.85km/금병산 정상0.05km)를 만난다. 이정표(발랑1리1.85km)방향 급경사 하산길은 가이드픽스로프 설치 되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웬일인지 정상 바위를 우회하는 더 급격한 하산길에는 안전시설이 없고 매듭없는 픽스로프가 나무와 나무를 연결 설치되어있으나 높아 큰 도움이 되지 않치만 없는 것보다는 낫다. 그러나 무심코 계속 픽스로프 따르면 발랑1리로 빠져 버린다.
도마산 가는 길은 (13;41) 바위 밑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점에서 우측 픽스로프를 넘어 희미한 길 흔적을 따라내려가다가 (13;47) 낙엽속에 묻힌 오래되어 삮은 굵은 삼로프 흔적을 찾아 따라 내려서고 나무에 매인 실 날같은 로프를 따라 급경사길을 내려서는 길이다. (13;50)경사가 누그러지는 지점 좌측에서 오는 등로를 만나 좋은 길을 따라 완만하게 내려서면 길이 우측으로 곡각되기 직전 봉같지도 않은 봉이 도마산(154m)정상이다.[0.7km][24분]
11.8km 298분 [도마산](154m)(13;58~13;59)[1분]
선답자님들의 그흔한 표지기 한장이 없는 정상이다. "배창랑과 그일행 =山君들/도마산154m"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부드러운 능선 길 따라 내려서니(14;10) 잘 갖추어진 묘역 (청송심씨)을 아래에두고 능선길을 따른다. (cf. 묘지 진입 임도 따른 것이 좋겠다) 4거리안부를 지난 능선길은 잡목 구간이다. 산부리에서 농수로를 건너 우측으로 도로따르니 (14;19)도마산 도예공방를 이고 좌틀하여 (14;19) 창만5리마을 회관을 지나 (14;20)도로교통표지판(서울.광탄.보광사/의정부.양주/서원벨리CC)가 보이고 우측 도로변 (14;20) 창만5리. 도마산동 버스정류소에 도착한다.[2.2km][21분]
14.0km 320분 [창만5리. 도마산동 버스정류소](14;20)
산행종료합니다. 15번과 061번 버스 검색하니 30분에서 1시간 이상 기다려야 버스가 있습니다. 광탄택시(031-947-6233/031-947-3100/031-947-1212)콜하니 5분도 안되어 도착 됩니다. 도착한 택시로 광탄 택시부에 내려 (6,600원)조금 진행하니 파주가는 버스(774번)가 도착됩니다. 서울 불광동 가는 버스는 조금 더 내려가 반대편에서 탑승하는데 시간이 약20분 있어야 도착입니다.
친절한 주민분 도음으로 파주가는 774번 버스를 타고 파주 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 내려 친절한 안내에 감사 인사 드리고 (15;00~16;20)[1시간 20분]"막퍼주는 집" 식당에서 뒷풀이 합니다. 가오리 찜과 코다리찜 시켜두고 수건에 물 묻혀 대충 닦아내고 식당 한켠 공간에서 새옷 갈아입습니다. 새옷 갈아입고 먼저나 온 가오리찜 안주로 우선 맥주잔 부딪쳐 함께한 석봉님과 무사산행을 건배하고 소주 처음처럼 1병 더시켜 가오리찜과 코다리찜 따근한 국물 안주에 1공기밥 시켜 가성비 좋은(44,000원) 맛난 식사를 합니다.
(16;25)600번 버스로 파주역도착 (16;45)경의중앙선으로 DMC역에서(17;31~17;40/9분) 공항선으로 (17;51)김포공항역에서 9호선으로(18;00)가양역 도착 (18;10) 귀가 합니다.
(09;00)법원읍도시관, 초리골 버스정류장입니다.
(09;00)법원읍도시관, 초리골 버스정류장입니다.
(09;01) 법원1리 표지석입니다.
(09;05)법원 새마을2교입니다.
(09;08) 마을길에서 좌측으로 보면 암산입니다.
(09;08) 마을길에서 좌측으로 보면 암산과 자웅산(수산)입니다.
.(09;14) 폐 가축 축사를 지나면 호젓한 비포장 등로입니다.
(09;15) "보신사표시석"입니다.
(09;22) 출입금지 금줄이 처진 여래암이라는 폐 암자 건물을 만나고,우측능선으로 올라섭니다
(09;23)시멘트 석탑서있는 능선입니다.
(09;30)이정표 4거리 능선이정목(돌탑전망대400m/수산<자웅산>400m/삼방리<어둔동>/법원리<여래암.보신사>)이 서있는 안부 4거리입니다.
(09;38)운암산 전위봉(바위암릉봉)입니다.
(09;40~09;42)[2분]작은 바위들만 있는 운암산 정상 소나무 가지에 안평님의 운암산 표지기와 선답자2분 표지기 걸려있습니다.
(09;40~09;42)[2분] 운암산 정상인증사진 입니다.
(09;56)우측 바위들과 소나무가 어울어진 내림 능선길로 접어들어 (cf 트랙이 좌측=처음 정상에서 직진 내림 능선을 가르켜 직진 능선에 들어잠시 약5분 알바한후) 우측능선으로 되돌아와 능선을 오릅니다.
09;57 바위절벽 직진은 불가능한 낭떨어지고 우측으로 절벽인데 바위 울타리벽을 넘어서면 돌계단을 3단 밟고 내려서 좌측으로 절벽위 차마고도같은 길로 진행가능합니다.
(10;04) 돌탑1기가 있는 폐헬기장(?) 공터입니다.
(10;07) 삼방리 갈림이정표(돌탑전망대300m/수산<자웅산730m/삼방리<어운동>)를 만납니다. 이곳에서 돌탑전망대를 왕복한후 삼방리<어운동> 방향으로 가지 않고 이정표(수산<자웅산>730m)방향으로 편안하게 진행 하게 됩니다.
(10;10)약수터입구 갈림이정표(돌탑전망대180m/수산<자웅산>850m)/약수터입구900m)입니다.
.(10;10) 좌측 아래로 가족묘지를 보면서 능선길을 진행합니다.
(10;15)돌탑. 정자전망대9215m)정자입니다.
(10;15)돌탑 정자 전망대이정표(수산<자웅산>1,030m/대능3거리<오류골>810m/약수터입구920m)입니다.
(10;15)돌탑 정자 전망대 돌탑5기와 체육시설입니다.
(10;20)삼방리<어둔동>갈림이정표(수산<자웅산>730m/삼방리<어둔동>/돌탑전망대300m)로 돌아옵니다.
(10;28)능선 갈림길(운암산 /돌탑 전망대)로 돌아와 내림길 내려갑니다.
(10;30)능선상 안부4거리이정표(수산<자웅산>400m/삼방리<어둔동>/법원리<여래암.보신사>/돌탑전망대400m)로 돌아옵니다.
(10;40)3거리 이정표(수산<자웅산>110m/금병산7,450m/돌탑.전망대500m)에서 이정표 (수산<자웅산>110m)방향 으로 올라 수산(자웅산235m) 정상을 왕복하고 금병산으로 향합니다.[0.4km][14분]
(10;44~10;46)[2분]]수산(자웅산235m)정상 4각추 모양의 돌기둥 정상석입니다.
(10;44~10;46)[2분]]수산(자웅산235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49) Back 바위능선을 지납니다.
(10;50)3거리 이정표(금병산7,450m/돌탑.전망대500m/수산<자웅산>110m)로 되돌아와 좌향 이정표(금병산7,450m)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0;49)바위봉에서 우향 내림길입니다.
11;14바위능선입니다.
(11;15)경고문 (사유지무단진입금지 로프설치함) 부착된 금줄을 넘어 부드러운 능선 한없이 걷습니다.
(11;47)이정표(금병산5.2km/수산<자웅산>2.4km) 서있는 임도에 진입합니다.
(12;09)첫번째 송전 철탑입니다.
(12;13) 진행해 온 임도(군사도로)를 버리고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야 하는 주의를 요하는 갈림길에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세워진 이정목(금병산 정상 3.2㎞/수산<자웅산>4.4km)과 "2020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현황판 이 있습니다.
12;13 "2020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현황판입니다.
12;18 좌측아래로 서원CC가 조망됩니다.
.(12;25)두번째 만나는 송전 철탑입니다.
(12;33) 이정표(등산로/등산로)를 따릅니다.
(12;37)등로 좌측에 자리잡고있는 서원밸리골프장 물탱크 시설입니다.
(12;37)경고문(서원레저주 소유땅, 등산객 외 오토바이 원동기출입금지) 표시판입니다.
(12;42) 픽스가이드로프 잡고 오릅니다.
(12;45) 한전 철탑봉입니다.
12;45 가야할 능선입니다
(12;53)좌향 곡각지점에 이정표(금병산 정상1.65km/발랑3리4.3km)의 글씨가 반대편에 가야 보입니다.
13;07 서원 CC조망
13;07 바위능선
13;08 서원CC
(13;08) 좌측에는 서원 CC, 우측에도 골프장(스마트KU골프파빌리온)입니다
13;12 금병산 조망입니다
13;13 조망
.(13;15) 이정표(금병산 정상0.8km/발랑3리5.15km)입니다.
(13;25) 평상과 장의자 2개가 놓인 쉼터입니다.
.(13;25)건대농장입구 갈림길 이정표(금병산 정상0.15km/건대농장입구1.25km/발랑3리5.8km)입니다.
13;30 금병산 정상석입니다.
13;30 금병산 정상삼각점(문산26/판독어려음)입니다.
13;30 금병산 정상 정자입니다.
(13;30~13;34)[4분]금병산 정상 데크에서 조망1
(13;30~13;34)[4분]금병산 정상 데크에서 조망2
(13;30~13;34)[4분]금병산 정상 데크에서 조망3
(13;30~13;34)[4분]금병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35) 이정표(발랑1리1.85km/금병산 정상0.05km)입니다.
(13;41) 바위 밑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점에서 우측 픽스로프를 넘어 희미한 길 흔적이 도마산(154m) 가는 지점입니다.
(13;41) 바위 밑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점에서 우측 픽스로프를 넘어 희미한 길 흔적이 도마산(154m) 가는 지점입니다.
(13;47) 낙엽속에 묻힌 오래되어 삮은 굵은 삼로프 흔적을 찾아 따라 내려서야 합니다.
(13;58~13;59)[1분]도마산 정상에는 선답자님들의 그흔한 표지기 한장이 없습니다. "배창랑과 그일행 =山君들/도마산154m" 표지기 겁니다.
(13;58~13;59)[1분]도마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59 하산길입니다.
(14;10) 잘 갖추어진 묘역 (청송심씨)을 아래에두고 능선길을 따릅니다.(cf.묘지 진입 임도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
14;11 묘지능선 입니다.
14;13 뒤돌아본 묘지와 금병산입니다.
(14;19)도마산 도예공방입니다.
(14;19) 창만5리마을 회관입니다.
(14;20)도로교통표지판(서울광탄보고강사/의정부,양주/서웡벨리CC)입니다.
(14;20) 창만5리.도마산동 버스정류소입니다. 산행 종료합니다.
산행지도
e-동아트랙지도
e-동아 산행기록표
오록스맵트랙지도
오록스맵 산행기록표
실트랙입니다.
첫댓글 수고많이 하셨습니다~~^^
찡이삼촌님
감사합니다 ~^^
현기증 나는 고도 그라프...... 수고 많으셨습니다~
산아희님
등로는 비교적 부드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설명과함께 잘보았습니다.
수고많았습니다 ~~~
별규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산.즐산 이어가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