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대첩은 경남 진주시에 있는 사적 제118호 진주성은 외적을 막기 위해 삼국 시대부터 조성된 성이다. 본래 토성이었으나 고려 말 우왕 5년(1379년)에 진주 목사 김중광이 석성으로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남북으로 내성을 쌓았다.
선조 25년(1592년) 10월 왜군 2만이 침략해 오자 진주 목사 김시민이 3,800여 명의 군사와 성민이 힘을 합쳐 왜군을 물리쳤는데 이것이 그 유명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 대첩이다. 하지만 이듬해 6월에 왜군 10만여 명이 다시 침략을 해왔고 이때 7만에 달하는 민 · 관 · 군이 왜군에 맞서 싸우다 모두 순국하는 비운을 겪었다.촉석문은 1972년에 복원하였고, 일제 강점기에 허물어졌던 서쪽 외성의 일부와 내성의 성곽은 1975년에 복원하였다. 1979년부터는 성 안팎의 민가를 모두 철거하는 등 진주성 정화 사업을 시작해 2002년 공북문 복원을 끝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성곽의 둘레는 1,760m이고, 높이는 5~8m이며 성 내에는 기념물, 문화재 자료, 유형 문화재 등이 있다.
100년 만에 햇빛 본 진주성 외성..축조 원형 그대로 유지(종합)
길이 100m·높이 최대 4m, 촘촘하고 견고하게 쌓아
진주대첩 기념광장 예정부지서 발굴, 조성사업 수정·재검토 불가피
발굴된 진주성 외성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11일 경남 진주시 진주성 촉석문 앞 진주대첩 기념광장 조성 예정부지에서 발굴된 진주성 외성에서 발굴단이 발굴작업을 벌이고 있다. 2018.9.11 choi21@yna.co.kr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사적 118호 진주성 외성(外城·성밖에 겹으로 둘러 쌓은 성) 일부가 100년 만에 햇빛을 봤다.
한국문물연구원은 경남 진주시 본성동 10-4 일원 진주성 촉석문 앞 진주대첩 기념광장 조성 예정부지에서 흙더미에 묻혀 있던 진주성 외성 일부를 발굴했다고 11일 밝혔다.
발굴된 진주성 외성은 조선후기 남쪽성벽에 해당하는 것으로 진주성 동편과 인접한 곳이다.
외성 성벽 규모는 길이 100m, 너비 6∼7m, 높이는 최대 4m다.
외성은 대체로 해발 26m에서 성벽 상부가 드러나고 최하 23m까지 성벽 기단이 노출돼 있었다.
발굴한 외성은 거의 원형이 드러날 만큼 보존 상태가 뛰어나고 촘촘하고 견고하게 쌓았다.
외벽 축조방법은 길이 100㎝ 이상의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눕혀놓고 그 위에 약 20㎝ 안쪽으로 대형 기단석을 세워 쌓은 후 작은 할석으로 빈 공간을 메우는 형식이다.
이런 축조방법은 밀양읍성, 기장읍성 등과 같다.
촘촘하고 견고하게 쌓은 진주성 외성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11일 경남 진주시 진주성 촉석문 앞 진주대첩 기념광장 조성 예정부지에서 발굴된 진주성 외성. 촘촘하고 견고하게 쌓은 원형이 그대로 드러났다. 2018.9.11 choi21@yna.co.kr
성벽 아래에서는 임진왜란 이전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돌도 발견돼 학계 관심을 끌고 있다.
조사단은 지난해 11월 시굴조사에서 기단석(基壇石·건물 기초가 되는 단을 쌓은 돌)이 드러나면서 외성 존재 가능성이 큰 것을 확인했다.
진주성 외성은 임진왜란 때 허물어졌는데 발굴된 외성은 조선 후기 복원된 성벽으로 추정된다고 발굴단은 설명했다.
조사단은 "외성은 비교적 저지대에 위치해 허물어지지 않고 이후 축조한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조사단은 또 "나머지 외성이 있던 자리는 일제 강점기에 허물어 매립하고 시가지가 조성되면서 훼손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외성 발굴은 진주성 외성 규모와 축조수법, 축조 시기 등을 규명할 중요 자료를 제공해 진주성 실체를 밝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진주성 외성이 발굴된 조사대상지역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하지만 외성 발굴로 진주성 앞터에 조성하려던 진주대첩 기념광장 조성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사업지 발굴조사 면적은 1만5천489㎡다.
시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외성 보존과 기념광장 조성사업에 대한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중요 자료인 진주성 외성이 발굴된 만큼 진주대첩 기념광장 사업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고지도인 진주지도에서 본 조사대상지역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choi21@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거 깊이파서 판사시키들 먹사시키들 국개의원시키들 다 파묻어버려
임진년(1592년, 선조 25년) 10월(이하 음력)의 전투를 제1차진주성전투라 하고, 이듬해 계사년(1593년) 6월의 전투를 제2차진주성전투라 부른다. 제1차진주성전투는 곧 진주대첩으로서 임진왜란 3대첩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반면, 제2차진주성전투는 성이 함락됨과 동시에 대학살의 참극을 빚은 전투로 기록된다. 진주성은 소수의 병력으로 적의 대군을 물리친 빛나는 승리의 표상(임진승첩, 壬辰勝捷)인 동시에, 고립무원의 상태에서 처절히 항전하다 끝내 순국한 충의의 제단(계사순의, 癸巳殉義)으로 우리 역사 속에 아로새겨져 있다.
좋은 기사입니다. 진주성 전투는, 임진왜란의 중요한 전환점이기도 하지만, 세계사에 있어서도 매우 극적이고 위대한 공방전이었습니다. 고립무원에 처한 진주성의 조선인 남녀들이 민관합동으로, 조총 등의 화약무기 병력과 사무라이들로 구성된 일본군 10만명에 맞서 펼친 전투는, 그 규모와 처절함과 격렬함에 있어서, 참으로 숭고하고 위대한 사건이었죠. 이 전투는 사실 “진주성 VS 풍신수길”의 대결이었습니다. 이상하리만치 부각되지 않았던 진주성 전투가, 한국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그 의의와 진가를 널리 알리게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출처 다음포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