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지역주민의 편의를 위해서 역사를 건설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도 동감인데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역사가 오직 고철용으로만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고철뿐만 아니라 기존 무궁화호나 새마을호의 강남지역주민들의 이용도 고려해 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단 강남쪽에서 출발 기존선 부곡 에서 기존열차와 연계하고 화성시(수원시)부근에서 고철과 합류하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양재동에 역사가 건설된다고 해서 서울역이용수요가 상당할 정도로 감소해서 시흥이전의 선로용량에 여유가 생길정도 가지 될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제 의견을 정리하면
1. 양재동에 역사가 생겨도 서울역 이용 수요의 대대적인 감소로 시흥이전까지의 선로용량과밀의 큰해소에는 그리 도움이 되지 않고(어느정도 조금은 영향이 있겠지만)
2. 역사를 건설해도 양재동 보다는 판교쪽에 건설하여 기존 경부축과의 합류및 제가 거론한 상일동 출발, 중부내륙선 분기, 의정부를 경유 경원선과 연계하는 서울 동남부 외곽 순환망체제 구축이 훨씬 네트워크적인 차원에서 효과가 있고(대신 양재 분당간 신 분당선의 조속한 건설)
3. 또한 이 역사를 고철전용만이 아닌 기존열차도 혼용하여 기존열차이용수요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 [원본 메세지] ---------------------
제가 볼 때 양재동 시민의 숲 근방에 고철역을 만드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번째, 강남구와 서초구, 잠실, 멀리는 분당과 강동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고철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강남, 서초, 잠실 주민들의 평균소득이 강북이나 서부 지역 주민들보다 높으므로 비행기 좌석표에 육박하는 고철을 이용할 경제적 자원이 많은 것입니다. 서울역에 가는 대신 양재동역에서 고철을 탈 수 있다면 이 지역민들의 고철 이용률이 상승, 고철의 적자 탈피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두번째, 강남, 서초, 잠실 지역에는 대형 회사와 사무소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출장여행 수요가 많습니다. 종전에는 비행기를 타러 김포공항으로 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양재동역이 생긴다면 고철로 몰려들 것입니다.
하지만 상일동에는 고철 수요가 별로 없어보입니다. 고철이 아닌 일반열차 역이라면 강동지역에 역이 생기는 것도 좋습니다만, 무궁화호의 두배가 넘는 고철은 그림의 떡이 될 가능성이 높죠.
(나중에 분당-이천-충주-문경선이 생겨서 김천-동대구-부산 방면으로 직결되는 열차가 운행된다면 강동지역에 역을 만들어서 출발시키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약간 다른 이야기인데 화성-천안 고철 전용선은 굳이 복복선으로 안 만들어도 될 거라 생각합니다. 양재동역이 생기면 서울역의 고철 수요가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거든요. 그러니 양재-화성 구간을 먼저 건설하여 양재-부산/광주 직결운행을 빨리 시작하고, 화성-천안 구간은 순차적으로 건설해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고속철도 운영은 철저히 비즈니스 마인드로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누적적자에 시달리고 국민의 세금으로 막아주는 악순환이 계속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