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는 코로나로 인하여 혼돈의 시대에 살고 있다. 연일 뉴스 등에서 주식시장의 큰 변동을 기사화하고 세계경제는 이동제한 등으로 펜더믹의 선포에 이르렀다. 한국은행에서는 전격적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하고 미국과의 스와프를 통해 달러확보를 하는 등 급박하게 경제가 반응하고 있으나 정체가 쉽게 풀리는것 같지는 않은 모양새이다.
경기부양책
경제의 움직임을 위해서 우리나라는 추경을 편성하여 경기 부양책을 쓰고 있고 미국도 300조 규모의 부양책으로 경제의 동맥을 유지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여기에 긴급재난자금이라는 정책을 만지작 거리는 등 많은 현금을 풀어내려는 것은 분명하다.
인플레이션(Inflation)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다면 믈가의 움직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단순하게 생각할 때 현금이 시중에 많다는 것은 물가가 상승할수 있는 조건이 성립하였다는 것으로 이것이 지속되었을 때를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 한다. 인플레이션은 가계의 소비·정부의 지출·기업의 투자가 증가할 경우 발생하며 화폐 가치의 하락, 실물 자산 가치의 상승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그러나 현재의 경제 상황은 금융자산인 달러의 가격이 상승하고 실물자산인 금의 가격이 하락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디플레이션(Deflation)현상과 유사하다. 디플레이션은 소비, 투자, 정부 지출의 감소와 통화량의 감소가 원인인데 원인은 일치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소비자심리 위축
우리나라는 아직 가시적이지 않지만 미국은 실업이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온라인 쇼핑등이 잘 갖춰져 있어 특별한 사재기 등의 현상을 보이지 않지만 세계적으로는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이유로 인해 사재기 현상 등의 #소비자심리 위축 등이 나타나고 있다.
실물자산은 안전하다?
어떻게 대비하여야하는 것일까?.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면 현금 대신 대체자산의 확보(부동산, 주식)가 관건이고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면 현금, 안전자산(금, 은, 달러)의 확보가 관건일 것이다. 대체자산과 안전자산은 실물자산을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달러, 금, 부동산(땅) 등이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이든 디플레이션(Deflation)이든 실물자산은 안전하다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인플레이션(Inflation) or 디플레이션(Deflation)
현재의 경제는 경제심리가 확정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혼돈상태이다. 전체적으로 물가의 움직임은 평이한데 실물자산의 가치만 상승하는 특히 달러만 상승하는 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실업의 압박도 높아지고 있고 소비의 위축도 보인다. 이를 막기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쓰고 있고 쓸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성은 위기극복에 강한 결집력을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 경제는 얼마간 소비 위축이 나타나겠지만 전체적으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이나 디플레이션(Deflation)의 가능성은 낮아보이고 그래도 가능성을 찾으라면 인플레이션(Inflation) 가능성이 다소 높다. 대공항 뒤에는 인플레이션이 뒤따른다.
경제도 부동산도 심리다
뭐든 경제는 심리이다. 부동산도 심리이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매수지수와 전세지수의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부동산소비를 억누르고 있지만 이 상황을 벋어나기만 하면 오히려 둑이터지는것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까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