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성민의 요람
 
 
 
카페 게시글
역사자료 스크랩 고등 국사] 국사 / 근현대사 4
sarmy 추천 0 조회 80 08.07.16 07:5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고등 국사] 국사 / 근현대사 4
  • 글쓴이: 김동석
  • 조회수 : 7
  • 07.03.03 01:25
http://cafe.daum.net/eea/OUI/22주소 복사

국사 / 근현대사 4

사회 탐구 ........................................................... 엘리트 글쓰기 논술 교실 다음카페 eea

Ⅴ. 근세 사회의 발달

1.근세 사회로의 전환

2) 한국의 근세 사회

① 신진 사대부의 성장

㉠ 성장: 학자적 관료로 과거를 통하여 중앙 관리로 진출.

㉡ 출신: 향촌의 중소 지주로 농민의 지지를 받음.

㉢ 사상: 성리학의 원리를 통하여 사회 개혁의 명분을 획득.

㉣ 세력 확대: 신흥 무인과 제휴하면서 국가 위기에 대처

② 위화도 회군

㉠ 무인 세력 성장: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면서 성장

㉡ 요동 정벌: 명의 철령위 설치 요구 → 최영의 요동 정벌 주장, 이성계는 4불가론으로 반대.

㉢ 위화도 회군(1388):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의 정권 장악.

③ 전제 개혁(1391)

㉠ 과전법 실시: 조준, 정도전의 주장으로 새로운 토지 대장 작성.

㉡ 목표: 신진 관료의 경제 기반 마련, 국가 재정의 확보, 민생 안정.

㉢ 내용: 사대부 우대(수조권의 재분배), 농민 보호(경작권 보호)

④ 조선의 건국(1392)

㉠ 건국 과정: 공민왕의 개혁 실패 → 사대부의 분열(온건 개혁파와 역성 혁명파) → 혁명파의 집권(위화도 회군) → 온건파 사대부 제거 → 경제권 장악(과전법) → 조선 개창

㉡ 국가 기반의 정비

* 체제 정비: 국호'조선', 한양천도(풍수지리설 이용)

* 중앙 집권 체제: 농민에 대한 토호의 횡포를 금지.

* 과거 제도 정비: 관료 체제의 기반 확립

* 외교 정책: 실리 외교 추구(사대 교린 정책)

⑤ 근세 사회의 전개

㉠정치: 왕권과 신권의 조화 속에 모범적인 유교 정치 구현

㉡ 경제: 양인의 수 증가, 경작권의 보장으로 농민의 지위 향상

㉢ 사회: 과거 제도가 발달한 능력 본위의 사회

㉣ 문화: 정신 문화와 기술 문화의 발달로 민족 문화의 기반 마련

3) 정치 체제의 확립

① 집권 체제의 정비

㉠ 태조: 통치 질서의 정비(정도전 등용, 국호 제정, 한양 천도)

㉡ 태종: 국가 기반 확립(왕권 강화, 재정 기반 확대)

㉢ 세종: 왕권과 신권이 조화된 유교 정치 (학술 정치, 영토 확장)

㉣ 세조: 왕권의 재확립,(지방 세력 통제, 부국 강병책 실시)

㉤ 성종: 유교적 법치 국가의 면모 확립(경국대전의 편찬)

② 유교적 통치 이념

㉠ 정치: 덕치주의와 민본 사상을 바탕으로 한 왕도 정치의 구현

㉡ 사회: 양반 중심의 지배 질서(양천의 구분, 직역의 법제화)

㉢ 경제: 지배층의 농민 지배 허용(지주 전호제의 인정)

㉣ 외교: 평화 추구의 친선 정책(국제적 긴장 완화)

㉤ 사상: 종교의 유교 사상화 추구(서민들의 토속 신앙 잔존)

③ 중앙의 정치 조직

㉠ 중앙 정치 조직: 유교적 정치 이념 반영(경국대전 체제)

* 의정부(재상 합의제) - 6조(이 * 호 * 예 * 병 * 형 * 공, 행정 분담)

* 왕권 견제 기구: 사간원(간쟁), 사헌부(감찰), 홍문관(학술) 양사는 서경권 행사.

* 왕권 강화 기구: 승정원(비서 기관), 의금부(특별 재판소)

㉡ 경연 제도: 국왕과 신하가 학문과 정책을 토론하는 제도.

④ 지방의 행정 조직

㉠ 행정 구역 정비: 향 * 소 * 부곡 폐지,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

* 8도(관찰사) - 수령(부 * 목 * 군 * 현): 조세 공물 징수, 부역 동원 책임

* 향리: 6방 조직에 편성되어 세습적으로 향역 담당

㉡ 향촌 조직

* 유향소: 향촌 사대부의 자치 조직, 수령 보좌, 향리 규찰 역할

* 경재소: 중앙에서 유향소를 통제하는 기능 → 중앙집권 강화

⑤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 군역 제도: 양인 개병제, 농병 일치제 (정병이나 봉족)

㉡ 중앙군(5위): 궁궐 수비, 정병 * 갑사 * 특수병으로 구성

㉢ 지방군(영*진군): 육군과 수군, 정병으로 편성, 품계 받음 → 진관체제

㉣ 잡색군: 전직 관료, 서리 , 향리, 교생, 노비로 조직된 예비군

⑥ 교통과 통신: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역원제, 조운제, 봉수제)

㉠ 조운제: 유상 교통 미비, 세미를 수로를 통해 경창으로 운송

㉡ 역원제: 원(역마를 관리하며 공문 전달), 원(숙박 시설)

㉢ 봉수제: 군사적 목적으로 설치된 긴급 통신 수단.

⑦교육과 과거제도

㉠ 교육: 인문(서당 → 4학, 향교 → 성균관), 기술은 관청에서 교육

㉡ 과거제도: 문과(소과 → 대과), 무과, 잡과(해당 관청 실시)

㉢ 특별 채용: 취재(구술 시험 → 하급관리), 천거나 문음(2품 이상)

4)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① 사림의 대두

㉠ 사림의 연원: 정몽주 → 길재 → 김종직으로 이어지는 학파

㉡ 가계: 고려 말 향리 → 성리학자 → 절의와 명분 중시

㉢ 학풍: 경학 중시, 향촌 자치제 주장, 왕도 정치 추구

② 사림의 정치적 성장

㉠ 정계진출: 성종 때 3사에서 언론, 문필 담당 → 훈구파와 대립

㉡ 사화의 발생: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 무오사화(김종직의 조의제문) → 갑자사화 → 기묘사화(조광조의 개혁) → 을사사화

㉢ 조광조 개혁 정치: 왕도 정치의 이상 실현, 현량과 실시, 불교 * 도교 행사 폐지, 공납 제도의 개혁, 향약 실시, 삭훈 문제

③ 서원과 향약

㉠ 서원: 선현 제사(사묘의 기능), 후진 교육(서재의 기능), 주세붕의 백운동 서원(안향 봉사) → 이황의 노력으로 보급, 학문의 지방 확산, 사림 세력의 정치적 결속, 붕당 정치의 기반

㉡ 향약: 전통적 향촌 규약을 유교적 윤리로 재편성, 조광조 → 이황 * 이이의 보급, 향민이 모두 참여, 사림의 농민지배력 강화

④ 붕당의 출현

㉠ 배경: 사림의 진출로 양반의 수 증가, 한정된 관직 쟁탈전

㉡ 붕당의 토대: 농장(경제적 기반), 학파, 족당(사회적 기반)

㉢ 영향: 정치 활성화(비판과 견제 기능), 당리 당략 추구

5)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① 명과의 관계

㉠ 외교 관계: 갈등(초기) → 친선(태종) → 친명 사대 관계(16세기)

㉡ 무역관계: 사행 무역, 수출(인삼, 화문석), 수입(견직물,서적)

② 여진과의 관계

㉠ 화전 양면책: 회유책(귀순 장려, 무역), 토벌(6진 * 4군 개척)

㉡ 북방 사민 정책: 토관제도 활용, 농병 일치의 지역 방어 체제

③ 일본과의 관계: 토벌(쓰시마 토벌), 교린책(3포 개항, 계해약조 체결)

6) 왜란과 호란

① 임진왜란(1592~1598)

㉠ 왜란 전의 정세: 빈번한 왜변(3포 왜란, 사량진 왜변) → 비변사 설치, 이이의 십만 양병설 묵살, 일본의 전국 시대 통일

㉡ 왜군 침입: 육군의 패배 → 선조 의주로 피난 → 왜군 평양 점령

② 수군의 승리: 이순신의 준비(거북선 건조) → 남해의 제해권 장악(옥포 → 사천 → 당포 → 당항포 → 한산도 대첩) → 일본의 수륙 병진 작전 저지

③ 의병의 항쟁

㉠ 조직: 의병장(유생, 승려), 의병(농민층)

㉡ 전술: 향토 조건이용, 유격 전술, 의병의 관군 편입

④ 왜란의 극복: 명의 참전 → 휴전회담 → 정유재란 → 왜군격퇴

⑤ 왜란의 영향

㉠ 조선: 농촌의 황폐화 → 국가 재정 궁핍 → 공명첩 발급, 호적 문란

㉡ 중국: 명의 쇠퇴, 여진족의 급성장

㉢ 일본: 문화의 발달(이퇴계의 성리학, 도자기 기술)

⑥ 광해군의 중립 외교

㉠ 내정 개혁: 양안 * 호적 작성으로 재정 확보, 산업 진흥, 국방력 강화, 동의보감 편찬, 사고(史庫) 정비

㉡ 외교 정책: 중립 외교(명의 출병 요청 → 강홍립의 출병 → 중립)

㉢ 서인의 반발: 명분론에 입각하여 광해군의 중립 외교 비판

㉣ 인조 반정: 북인 정권이 붕괴되고 서인 정권 성립

⑦ 호란과 그 영향: 서인 정권의 친명 배금 정책

㉠ 정묘호란(1627)

* 원인: 명의 장군 모문룡의 가도 주둔, 이괄의 반란

* 경과: 후금의 침입, 정봉수 * 이립의 의병 항전

* 결과: 화의를 맺고 후금군 철수

㉡ 병자호란(1636)

* 배경: 청의 군신 관계 요구 → 척화 주전론 우세

* 청의 침입: 임경업의 저항(의주 백마산성) → 남한 산성 항전

* 결과 및 영향: 군신 관계를 맺고 화의, 청에 대한 적개심 고조

⑧ 북벌론과 나선 정벌

㉠ 북벌론: 청을 정벌하여,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키자는 주장

㉡ 효종의 북벌 계획: 어영청을 중심으로 전개

㉢ 북학론: 청의 문물이 발달하면서 18세기에 청 문화 수용론 대두

㉣ 나선 정벌: 러시아의 극동 진출과 청과의 대립 2차례 → 나선 정벌

3. 근세의 사회와 경제

1) 사회 구조와 향촌 사회

① 유교적 민본주의

㉠ 민본주의 사상: 성리학의 농촌 사회 안정 대책과 명분, 생산 활동의 역할 분담,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화합 강조

㉡ 민본 사상의 한계: 유교적인 질서 속에서 지배*피지배층의 역할 분담, 피지배층의 보호 논리

② 신분제도

㉠ 양천제: 법제적으로 양인과 천민으로 나눔

* 양인: 자유민. 권리와 의무 있음, 직업 * 가문 * 거주지에 따라 양반 * 중인 * 상민으로 나눔

* 천민: 부자유민. 천역 담당

㉡ 반상제: 양반 * 중인 * 상민 * 천민으로 구성

* 양반: 문 * 무반 → 뒤에 사족을 의미

* 중인: 좁은 의미(기술과), 넓은 의미(중간 지배 계층 - 향리 * 서리 * 군교 * 토관 * 역리 및 양반의 서얼포함)

* 상민: 농민(조세 * 공납 * 역의 의무, 과거 응시 자격), 공장(관영 또는 민영 수공업자, 군역 면제 → 국역 의무), 상인(시전 상인, 보부상, 농본 억상책으로 천대 받음)

* 천민: 공노비, 사노비(사노비의 매매 가능, 결혼 가능, 노비와 양인의 결혼 금지), 솔거 노비, 외거 노비(독립가정, 재산 소유권 있음, 주인에게 신공 바침)

③ 가족 제도

㉠ 가부장 중심: 유교적 질서 중시

㉡ 상속 제도의 변천: 자녀 균분 상속에서 적장자 중심의 상속 제도로 발전(가장의 제사 주재)

㉢ 성리학적 가족 윤리: 남존 여비, 여성의 재가 금지, 적서 차별

㉣ 문중 형성: 종족의 관념 발달(종회, 종계, 족보) → 동성혼 금지, 조혼

④ 사회 시설

㉠ 사회 정책: 최소한의 생활 보장으로 농민 유망의 방지 도모

* 기본 방향: 민본주의를 실현하려는 농본 정책

* 환곡제: 구휼 제도로 의창 → 상평창에서 관리

* 민생 안정책: 농번기 잡역 동원 금지, 재해 시 조세 감면

* 사창제: 양반 지주 중심의 주민 자치적인 구휼 제도로 사림의 향촌 사회 통제수단

㉡ 농민 통제책: 농민 유망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대책, 오가작통법, 호패법

㉢ 의료 시설: 혜민국, 동 * 서대비원, 제생원, 동 * 서 활인서

⑤ 법률

㉠ 형법

* 국민 통제 수단, 경국대전의 형전, 대명률

* 반역죄 * 강상죄 엄벌, 연좌법 적용

* 형벌의 종류: 태형, 장형, 도형, 유형, 사형

㉡ 민법: 관습법에 의거, 가족 제도는 주자가례에 의거 - 종법, 조상 제사 및 노비 상속 중시

㉢ 재판: 수령이 관장 , 항소 제도

㉣ 사법 기관 : 사헌부, 의금부, 형조, 한성부(토지, 가옥 소송), 장예원(노비 소송)

⑥ 향촌 사회

㉠ 면*리제: 향 * 소 * 부곡의 소멸, 읍내 4개면 → 고을을 구성

㉡ 촌락의 구성: 자연촌으로 양반, 평민, 천민이 섞여 생활

㉢ 특수 마을의 형성: 역촌, 진촌, 원촌, 어촌, 점촌

㉣ 자치조직

* 향도(농촌의 축제)

* 계(상호 부조의 조직) ⇒ 성리학적 조직화 ⇒ 향약

* 두레(공동 노동체)

㉤ 동족 부락의 형성: 종법적 가족 제도의 확립, 예학의 발달

2) 경제 정책과 경제 구조

① 경제 정책

㉠ 기본 방향: 국력 증진, 민생 안정 추구

* 농본주의: 농업 진흥과 농민 안정책 실시

* 중농 정책: 토지개간, 양전 사업, 증산을 위한 신농법 보급

㉡ 상공업 통제: 사치와 낭비 억제, 빈부의 차 우려

㉢ 변화: 16세기 이후 국가 통제력 약화 → 상공업 활동 활발

② 토지 제도

㉠ 과전법 체제

* 실시: 1391년 사전 개혁으로 실시, 현 * 퇴직 관리에게 지급

* 원칙: 경기도에만 지급, 병작 반수제 금지

* 목적: 사대부의 경제 기반 마련

* 공전: 민전을 국가의 징세 대상으로 파악, 경작권 보장

* 사전: 수조권을 준 과전(관리), 공신전, 별사전, 공해전(관청), 늠전, 학전(학교), 사원전, 내수사전

㉡ 과전법의 변천: 직전법 → 관수 관급제 → 녹봉제

㉢ 지주 전호제의 강화

* 배경: 직전법의 실시로 토지의 사유관념 확산

* 결과: 양반 지주의 농장 확대, 병작 반수제 강화, 농민 몰락

③ 조세 제도

㉠ 조세 제도의 기초: 양인 농민의 조 * 용 * 조 부담

㉡ 전세(토지세): 1/10세→전분 6등법, 연분9등법

㉢ 공납(호구세): 토산물 징수, 전세보다 더 큰 부담, 공물 수납 절차의 복잡함 등 폐단 발생

㉣ 역(인두세): 군역(일정 기간 교대 번상), 요역(1년 중 6일 이내)

㉤ 조운 제도: 조창에서 경창으로 조운 운송, 잉류(평안도, 함경도)

㉥ 재정 세입: 전세, 공납, 잡세(염전, 광산 수입, 상세)

세출: 비축미, 왕실 경비, 행사비, 녹봉, 군량비, 빈민 구제비, 의료비

④ 농민 부담의 가중: 16세기의 경제 변화

㉠ 지주 전호제의 일반화: 생산의 1/2을 지주에게 납부

㉡ 공납의 폐단: 방납제 → 개혁안(이이, 유성룡) → 대공 수미법

㉢ 군역제의 변화: 군역법의 요역화 → 방군수포제 실시 → 군적 문란

㉣ 환곡의 고리대화 → 농민 부담 가중

㉤ 농촌의 황폐화 → 임꺽정의 반란

3) 경제 활동

① 농업

㉠ 중농 정책: 토지 개간(변경, 해안 지방), 수리 시설 확충(저수지), 종자 개량(가뭄에 강한 벼)

㉡ 농업 기술: 2년 3작 , 모내기법(일부 남부 지방), 시비법의 발달로 휴경지 소멸

㉢ 농서 간행: 농사직설, 금양잡록

㉣ 농민생활 안정책

* 농민 생활: 대부분의 농민이 소작농으로 궁핍한 생활

* 생활 보호책: 구황촬요 보급(잡곡, 도토리, 나무껍질 가공법)

* 농민 통제책: 호패법, 오가 작통법

* 민간 대책: 사림 세력은 향약 * 사창제로 안정 추구

② 수공업과 공장

㉠ 관영 수공업(관장제)

* 관청에 등록된 장인(경공장, 외공장)

* 국역으로 물품을 제조, 납부(활자, 화약, 무기, 문방구, 그릇)

* 책임량을 초과한 생산품은 세를 내고 판매

㉡ 민영 수공업 (사장제)

* 주문품을 제작, 공급

* 양반의 사치품, 농기구 생산

㉢ 가내 수공업

* 농업용의 생활 필수품 생산

* 의류(면포, 명주, 모시 제조)

③ 상업과 화폐

㉠ 시전 체제

* 경시서: 시전 감독 기관

* 시전: 서울의 관허 상인, 관수품 조달, 독접 판매권 장악

* 육의전: 비단 * 종이 * 어물 등을 판매하는 특허 상인

㉡ 장시의 성장

* 15세기 후반 이후 대두, 5일장으로 발전

* 보부상에 의하여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품, 약재 등 유통

㉢ 화폐: 저화(지폐, 태종), 조선 통보(세종), 팔방통보(세조) → 유통 부진, 쌀 * 포목 이용

㉣ 무역: 중국(조공 무역), 일본(왜관 무역), 여진(조공 무역, 국경 무역), 동남아(조공 무역)

4. 근세 문화의 발달

1) 민족 문화의 발달

① 한글의 창제

㉠ 배경: 민족적 자각, 세종의 민중애 * 훈민 정책. 농민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의사 소통의 필요성 증대

㉡ 한글 보급: 용비어천가 발간, 서리 채용 시험 과목으로 채택

㉢ 의의: 일반 백성의 문자 생활, 민족 문화의 기반 확대

② 사서의 편찬

㉠ 국초: 왕조 개창의 정당화, 성리학적 대의 명분 강조(정도전의 고려 국사, 권근의 동국 사략)

㉡ 조선 왕조 실록: 편년체 사서(태조 실록 ~ 철종 실록)

㉢ 15세기 고려 왕조의 역사를 자주적인 입장에서 재정리

고려사(기전체), 고려사절요(편년체), 동국통감(통사)

㉣ 16세기 사림 중심의 존화주의적인 사관(기자 조선 연구)

이이의 기자실기, 박상의 동국사략, 오운의 동사찬요

③ 지도와 지리서: 중앙 집권과 국방의 강화를 위해 편찬

㉠ 지도 15세기: 역대제왕혼일강리도, 양성지의 팔도도

16세기: 조선방역지도

㉡ 지리서 15세기: 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인문 지리서)

16세기: 읍지(향토 문화 연구, 사림의 의식 반영)

④ 윤리와 의례서: 유교적인 질서 확립, 삼강 행실도, 효행록, 국조 오례의(국가의 각종 의례 제정)

⑤ 경국대전의 완성

㉠ 정비 과정: 정도전의 조선 경국전 * 경제문감 → 조준의 경제육전 → 속육전 → 6전 등록 → 경국대전(조선의 기본 법전)

㉡ 경국대전 : 6전으로 구성(이, 호, 예, 병, 형, 공전), 조선 왕조의 법제적 통치 질서 존중

⑥ 과학 기술:서역과 중국의 과학 기술 수용

㉠ 인쇄술: 금속 활자의 주조(계미자, 갑인자), 제지술의 발달

㉡ 과학기구: 농업과 관련하여 제작

* 측정기구: 천체 관측(혼천의, 간의), 시간 측정(해시계, 물시계), 강우량(측우기), 토지 측량(인지의, 규형)

* 수학: 토지 조사와 조세 계산의 필요(상명산법, 산학계몽)

* 역법: 칠정산(아라비아 역법을 참고, 한양 기준의 역법)

㉢ 무기 제조술: 화포, 거북선

⑦ 과학 서적

* 농서: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 개발(농사직설, 금양잡록)

* 병서: 우리 지형에 맞는 전술 개발(진도, 병장도설, 동국병감)

* 의학서: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 정리(향약 집성방, 의방유취)

2) 성리학의 발달

① 성리학의 두 흐름(관학파와 사학파)

② 성리학 융성

㉠ 발달 배경: 사회 및 사림의 경제적 분화, 국제적 평화 분위기

㉡ 주리론(主理論)

* 향촌의 중소 지주 출신, 도덕적 원리 중시

* 영남 학파 형성: 이언적 - 이황 - 김성일, 유성룡, 정구

* 이황: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저술 →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주기론(主氣論)

* 개혁 추진, 경험적 현실 세계 중시

* 기호 학파 형성: 서경덕 - 이이 - 조헌, 김장생

* 이이: 성학집요, 동호문답, 대공수미법, 10만 양병설 주장

㉣ 성리학의 영향: 왕도 정치 추구, 현실적 부국 강병책에 소홀

③ 예학과 보학

㉠ 예학: 상장 제례에 관한 학문(김장생, 정구)

* 특징: 도덕 윤리의 형식 논리와 명분을 중시

* 영향: 상장제례 정비, 유교주의적 가족 제도 확립

* 폐단: 형식에 치우침, 정쟁에 이용됨(예송 논쟁)

㉡ 보학: 종족의 내력, 횡적인 관계 확인

* 배경: 양반 문벌의 신분적 우위성 유지 위해 족보 작성

* 기능 : 종족의 결속 강화, 종족 내부의 위계 설정, 문벌의 권위 과시 → 양반 문벌 제도의 강화에 기여

3) 종교와 민간 신앙

① 불교

㉠ 불교의 정비: 유교주의 확립, 국가 재정 및 노동력 확보책

* 태조: 도첩제를 실시하여 승려의 수 제한

* 태종: 사원의 토지 몰수로 국가 재정 확보

* 세종: 선 * 교 양종 통합하여 36본사만 인정

㉡ 불교 보호: 세조는 원각사 10층 석탑 건립, 간경도감 설치

㉢ 발전: 민간 신앙화, 국가 지도 이념으로서의 지위 상실

② 민간 신앙

㉠ 도교

* 성격: 하늘에 대한 제사 중시, 사대부의 은둔 사상에 영향

* 소격서 설치: 제천 행사 주관 → 민족 의식을 고취(마니산 초제)

㉡ 풍수지리설

* 15세기: 한양 천도의 합리화

* 16세기 : 문학의 형식이 다양해짐

㉢ 민간 신앙: 무격 신앙, 산신 신앙, 삼신 숭배, 촌락제 발달, 세시 풍습(조상 숭배와 촌락의 안정을 기원)

(4)문학과 예술

① 문학

㉠ 한문학의 경향

* 15세기: 우리 한문학 정리(동문선 - 우리 문화의 자주성 강조)

* 16세기: 문학의 형식이 다양해짐

㉡ 설화 문학: 민족 문학적 성격(금오 신화 - 우리 고유의 역사 의식 반영, 패관잡기 - 적서 차별비판, 임제 - 사대주의 비판)

㉢ 시조 문학

* 15세기: 사대부 문학(고급 관료 - 진취적인 시, 재야 학자 - 유교적 충절)

* 16세기: 황진이 - 인간 감정을 노래, 윤선도 - 자연을 벗삼는 생활 노래

㉣ 악장 문학(용비어천가) → 가사 문학(송순, 정철, 박인로)

② 건축

㉠ 15세기: 공공건물 중심, 건물 규모의 법적 규제 - 신분 질서 유지, 주의 환경과의 조화 추구(숭례문, 해인사 장경판전)

㉡ 16세기: 서원 건축 중심 - 주택 * 사원 * 정자 건축 배합, 자연과의 조화시도(옥산 서원, 도산 서원)

③ 공예

㉠ 성격: 생활 필수품, 값싼 재료 이용

㉡ 도자기: 15세기 분청사기 → 16세기 백자 유행

㉢ 목공예, 대그릇, 자개 그릇, -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

④ 그림과 글씨

㉠ 그림

* 15세기: 우리의 독자적인 화풍 형성, 안견의 몽유도원도(구도가 웅장),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간결한 필치). 일본 무로마치 미술에 영향

* 16세기: 자연 속에서 서정적인 아름다움 추구, 4구자화, 이상좌의 송하보월도

㉡ 글씨: 사대부의 필수적인 교양(조맹부체, 안진경체)

⑤ 음악과 무용

㉠ 음악

* 궁중 음악(아악): 성현의 악학궤범

* 서민 음악(속악): 다악, 향악

㉡ 무용 연극: 궁중 무용(처용무), 민속 무용(농악, 승무), 산대놀이 (가면극), 굿,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