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 might have despised himself, for he had certainly taken her under false pretenses. I don’t mean that he had traded on his phantom millions, but he had deliberately given Daisy a sense of security; he let her believe that he was a person from much the same stratum as herself–that he was fully able to take care of her. As a matter of fact he had no such facilities–he had no comfortable family standing behind him and he was liable at the whim of an impersonal government to be blown anywhere about the world.
- phantom millions : 실제 현금 흐름과 무관하게 장부상에서만 이익이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뜻하는 ‘phantom profits(허상 이익)’을 변형시킨 표현으로 보인다. 장부상이나 가상 세계에만 존재하는 ‘수백만 달러’ 또는 ‘억 단위의 재산’처럼,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실현되지 않은 막대한 액수를 묘사할 때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참고) Thomas Power O'Connor 『The Phantom Millions: The Story of the Great French Fraud』 (1902년 출간). 내용은 1900년대 초 프랑스에서 실제로 발생한 엄청난 사기극, 일명 "Humbert 사건"을 소재로 한 논픽션 르포르타주 문학.
Humbert 사건(움베르트 사건) :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프랑스 사회를 강타한 대규모 금융 사기 사건. 사건의 주인공은 테레즈 움베르(Thérèse Humbert)로, 그녀와 그녀의 가족은 약 20년간 가공의 유산을 빙자해 막대한 액수의 돈을 빌려 사치스러운 삶을 누렸다.
- 사건의 전개
주요 인물: 테레즈 움베르(본명 Thérèse Daurignac), 남편 프레데릭 움베르
1879년, 움베르는 기차여행 중 심장마비(또는 발작)로 쓰러진 미국인 백만장자 "로버트 헨리 크로포드(Robert Henry Crawford)"를 자신이 들고 있던 향수(스멜링 솔트)로 구조했는데, 그 신사가 2년 후(1881년), 크로포드가 사망했으며 자신이 그의 유언장 상 유산 수혜자(상속인)로 지정됐다는 편지를 받았다고 주장. 유언장에는 엄청난 액수의 재산이 움베르와 그녀 가족에게 남겨져 있지만,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어 있다고 설명: 크로포드는 그 집안의 유산을 움베르 가족이 관리하도록 했고, 특정 조건(움베르의 여동생 마리가 크로포드의 조카(로버트 또는 헨리)와 결혼)이 충족되기 전까지 금고는 열 수 없다는 설정.
움베르는 이 "가상의 유산"을 담보로 은행과 개인 투자자 등으로부터 돈을 대출받으며 부를 과시.
움베르 가족은 프랑스 사교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자리 잡았고, 파리에 대저택을 마련해 호화 생활을 누림.
사기 행위는 약 20년간 지속되었으며, 정치·재계 인사까지 연루될 정도로 파장이 컸다.
1901년, 채권자들과 언론이 금고의 실체를 요구했고, 1902년 법원 명령 하에 금고가 공개되었는데 금고 안에는 벽돌과 한 푼짜리 동전만 있었다.
당시 수천 명의 투자자와 채권자들이 극심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예술가 앙리 마티스의 가족 등도 이 사건에 연루되어 곤경을 겪었다.
But he didn’t despise himself and it didn’t turn out as he had imagined. He had intended, probably, to take what he could and go–but now he found that he had committed himself to the following of a grail. He knew that Daisy was extraordinary but he didn’t realize just how extraordinary a “nice” girl could be. She vanished into her rich house, into her rich, full life, leaving Gatsby–nothing. He felt married to her, that was all.
turn out : (일·진행·결과가 특정 방식으로) 되다[되어 가다]
now he found that he had committed himself to the following of a grail : 성배를 찾는 것은 신비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것. 성배는 전설상으로 있다고 전해지는 것이고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것이지만 그것을 찾는데 헌신하는 것은 절대적인 진리 혹은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츠비가 위대하다(great)는 것이 이런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다.
성배를 찾는데 헌신했다는 것은 이상(ideal)이나 절대적인 진리 혹은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추구하기로 자신을 헌신했다는 상징.
- 성배(Grail)의 상징성 : 기독교적 전통에서 성배는 예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잔이자, 그 피가 담긴 신성한 유물로 여겨지며, 이를 추구하는 것은 영적 구원, 신성한 진실, 인간 존재의 목적 등을 찾는 여정으로 상징된다.
문학적/심리적 의미로는 흔히 현실 속에서는 도달하기 힘든 이상이나 꿈, 혹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간절히 바라는 목적을 나타낸다.
full life의 full과 nothing이 대조된다. 데이지는 충만한 세계에 있고, 개츠비는 아무것도 없다.
When they met again two days later it was Gatsby who was breathless, who was somehow betrayed. Her porch was bright with the bought luxury of star-shine; the wicker of the settee squeaked fashionably as she turned toward him and he kissed her curious and lovely mouth. She had caught a cold and it made her voice huskier and more charming than ever and Gatsby was overwhelmingly aware of the youth and mystery that wealth imprisons and preserves, of the freshness of many clothes and of Daisy, gleaming like silver, safe and proud above the hot struggles of the poor.
- freshness of many clothes : 개츠비가 입지 않은 셔츠를 많이 쌓아두게 된 원인.
“I can’t describe to you how surprised I was to find out I loved her, old sport. I even hoped for a while that she’d throw me over, but she didn’t, because she was in love with me too. She thought I knew a lot because I knew different things from her...Well, there I was, way off my ambitions, getting deeper in love every minute, and all of a sudden I didn’t care. What was the use of doing great things if I could have a better time telling her what I was going to do?”
way off : 초판에는 ’way로 되어 있었고 저자도 수정하지 않았는데 비평판에는 way off로 되어 있다. 문맥상 way off가 맞는 것으로 보고 편집자가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On the last afternoon before he went abroad he sat with Daisy in his arms for a long, silent time. It was a cold fall day with fire in the room and her cheeks flushed. Now and then she moved and he changed his arm a little and once he kissed her dark shining hair. The afternoon had made them tranquil for a while as if to give them a deep memory for the long parting the next day promised. They had never been closer in their month of love nor communicated more profoundly one with another than when she brushed silent lips against his coat’s shoulder or when he touched the end of her fingers, gently, as though she were asleep.
- 첫 키스 한 날 : one still October night
데이지를 가진 날 : one autumn night
데이지와 헤어진 날 : a cold fall day
for a while : 앞 단락에도 for a while이 나온다. I even hoped for a while that she’d throw me over, but she didn’t, because she was in love with me too. 거기서는 for a while 후에 서로 사랑하는 관계가 이어지고, 여기서는 for a while 이후에 둘은 헤어지게 된다.
He did extraordinarily well in the war. He was a captain before he went to the front and following the Argonne battles he got his majority and the command of the divisional machine guns. After the Armistice he tried frantically to get home but some complication or misunderstanding sent him to Oxford instead. He was worried now–there was a quality of nervous despair in Daisy’s letters. She didn’t see why he couldn’t come. She was feeling the pressure of the world outside and she wanted to see him and feel his presence beside her and be reassured that she was doing the right thing after all.
- extraordinarily : He did extraordinarily well in the war. 데이지에 대한 묘사에서도 extraordinarily를 사용했다. He knew that Daisy was extraordinary but he didn’t realize just how extraordinary a “nice” girl could be. 개츠비는 전쟁에서 탁월하고 데이지는 여자들 가운데 탁월하다.
- the world outside : 179:22-23에서 묘사된 데이지의 세계 ‘the youth and mystery that wealth imprisons and preserves’의 외부를 암시한다.
For Daisy was young and her artificial world was redolent of orchids and pleasant, cheerful snobbery and orchestras which set the rhythm of the year, summing up the sadness and suggestiveness of life in new tunes. All night the saxophones wailed the hopeless comment of the “Beale Street Blues” while a hundred pairs of golden and silver slippers shuffled the shining dust. At the grey tea hour there were always rooms that throbbed incessantly with this low sweet fever, while fresh faces drifted here and there like rose petals blown by the sad horns around the floor.
- Beale Street Blues : 미국 블루스의 아버지로 불리는 W.C. 핸디(W.C. Handy)가 1916년에 작곡하고 1917년에 발표한 대표적인 블루스 곡. 이 곡의 제목은 미국 테네시 주 멤피스에 위치한 빌 스트리트(Beale Street)에서 따온 것으로, 빌 스트리트는 20세기 초반 흑인 음악과 문화의 중심지이자 블루스의 본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핸디는 멤피스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곡을 만들었으며, 실제로 빌 스트리트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인물들과 그곳의 분위기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곡의 가사와 멜로디는 빌 스트리트의 활기와 동시에 그곳을 찾는 이들의 희로애락을 담고 있다.
https://youtu.be/HdduGtQ3ZcM?si=w80xybsVsuQqzwky
색소폰 소리
https://youtu.be/GM72XQ5Aa04?si=AvSKBaLZQ_WSO7iQ
- fresh faces drifted here and there like rose petals blown by the sad horns around the floor : 색소폰과 같은 악기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에 날리는 꽃잎을 묘사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은 방으로 들어가서 사랑을 나누는데 아직 짝을 찾지 못한 뿔 달린 남자들에 의해서 플로어에서 여자들이 이리저리 이끌려 다니는 광경을 묘사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