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버섯영양가있게 먹는법
소나무의 푸른 기상을 머금고 자라는 송이에는 ‘MAP’라는 물질이 있다.
송이버섯만의 항(抗)종양 단백질로 암세포만 골라 공격해 항암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상황버섯과 아가리쿠스(신령버섯) 등도 항암효과로 의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 버섯이 너무 비싸다는 점이다.
하지만 항암효과는 버섯을 가리지 않고 고루 들어있다. 표고버섯은 암과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치료에도 효과적이며,
느타리버섯은 항암효과는 물론 암환자의 탈모·구토·설사 등의 부작용까지 줄여준다.
비밀은 ‘베타 글루칸’이라는 다당류에 있다.
모든 버섯이 갖고 있는 성분으로 인체 고유의 면역력을 증진시켜 암을 예방하고 암세포가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세포 노화를 일으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抗)산화작용도 한다.
버섯요리라 하면 흔히 버섯전이나 볶음 정도로만 생각하는 데, 명절상에 올릴 탕국에 고기 대신 버섯을 넣어도 좋다.
또 마늘을 볶아낸 버터에 느타리버섯을 넣고 강한 불에 구워내면 느타리버섯 스테이크가 완성된다.
표고버섯을 밥에 넣어 ‘표고밥’을 해먹어도 좋다. 표고를 물에 불려 꼭지를 제거하고 1㎝ 사각으로 썬 후,
간장과 정종을 적당히 넣은 뒤 밥을 지으면 된다.
한편 버섯을 요리할 때는 지나치게 오래 담가두거나 가열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항암성분이 수용성이라 오래 담가두면 물 속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다소 간을 싱겁게 해 국물까지 알뜰하게 먹는 것이 몸에 좋은 성분을 빠뜨리지 않고 먹는 요령이다.
생표고버섯은 20~30분 정도 햇볕에 놓아두면 비타민D 함량이 증가한다. 버섯은 하루 30g 정도가 적당하다.
표고버섯의 경우 매일 2~3장이면 충분하다. 버섯은 급하게 먹는 것보다 충분히 씹어서 삼키는 것이 좋다.
입속에서 타액과 잘 섞이면 유효성분이 더 잘 흡수돼 항암 효과를 상승시킨다.
쇠고기표고볶음
열량(1인분 기준) : 175Kcal
활용 : 손님초대상, 도시락
재료(4인분 기준)
쇠고기 240g, 표고버섯 80g, 양파 1개, 식용유, 참기름, 간장, 설탕
요리법
1. 쇠고기는 채썬다.
2. 표고버섯은 씻은후 끓는 물에 데친 후 채썬다.
3. 양파는 껍질을 벗겨 씬은후, 반갈라 채썬다.
4.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쇠고기를 넣어 볶다가 양파, 표고버섯을 넣고 볶는다.
5. 간장, 설탕으로 간을 맞추고 참기름을 넣는다.
표고전
열량(1인분 기준) : 103Kcal
활용 : 손님초대상, 생일파티, 술안주
재료(4인분 기준)
표고버섯 200g, 밀가루 20g, 식용유 20g, 달걀 1개, 소금, 후추
요리법
1. 표고는 기둥을 자르고 잘 씻어 손질한 후 물기를 빼놓고 소금, 후추로 간을 한다.
2. 1에 앞뒤로 밀가루를 고루 묻힌다.
3. 2에 달걀옷을 입혀 기름두른 프라이팬에 지져낸다.
팁
1. 버섯에 밀가루를 묻힐때 체를 이용하면 직접 밀가루를 묻히는 것 보다 깔끔하면서도 알맞게 묻혀져 마무리가 곱다.
1. 수분이 90% 이상이고 단백질이 1.5~2.0% 정도 함유되어 있다. 탄수화물은 3~6% 정도로 펜토산,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덱스트린 등이 들어있어 버섯요리의 맛을 돋구는 원인물질이 된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₁,B₂를 비롯해 비타민 D의 전구물질인 에르고스테린이 0.2~0.3% 정도 들어 있다. 특히 표고버섯에 들어 있는 핵산성분인 구아닐산은 버섯특유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으로 핵산 복합 조미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찌개
열량(1인분 기준) : 142Kcal
활용 : 일상식
재료(4인분 기준)
대파 1대, 깐감자 150g, 양파 50g, 다진마늘, 호박 150g, 고춧가루, 풋고추 1개, 표고버섯 150g, 두부 1/3모, 소금, 국물용멸치 10g, 된장 3큰술
요리법
1. 국물용멸치로 멸치국물을 우려낸다.
2. 두부를 1cm 두께로 썰어둔다.
3. 표고는 기둥을 떼고 깨끗이 씻어 1cm 두께로 채썰어둔다.
4. 1의 육수에 된장을 풀어넣고 감자, 양파, 호박을 넣어 끓인다.
5. 재료가 적당히 익으면 풋고추, 홍고추, 표고를 넣어 함께 끓이다가 마늘, 고춧가루,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6. 두부를 넣어 잠깐 끓이고 파를 넣고 살짝만 더 끓여낸다.
팁
1. 버섯은 오래 끓이면 향이 없어지므로 잠깐만 끓인후 불에서 내린다.
버섯잡채
열량(1인분 기준) : 148Kcal
활용 : 반찬, 일상식
재료(4인분 기준)
표고버섯 10장, 느타리버섯 100g, 팽이버섯 100g, 쇠고기 100g, 피망 1개, 진간장 1큰술, 참기름, 소금, 식용유 3큰술 * 쇠고기 양념 - 다진 파 2큰술, 다진 마늘 1큰술, 진간장 1큰술,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요리법
1. 쇠고기는 5cm 길이로 채썰어 갖은 양념을 해서 재어둔다.
2. 표고버섯은 미즈근한 물에 불려 기둥을 떼어내고 물기를 꼭 짠후에 채썬다.
3. 느타리버섯은 끓는 물에 데쳐서 물기를 짠후에 길이로 찢어 놓는다.
4. 팽이버섯은 밑둥을 짜르고 깨끗이 씻는다.
5. 피망은 반 갈라 씨를 털어내고 채썬다.
6.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달군후 밑양념을 한 쇠고기를 볶다가 버섯들을 넣어 볶고 피망을 맨마지막에 넣어 볶는다.
7. 진간장으로 간을 맞추고 참기름을 뿌린다.
버섯닭죽
열량(1인분 기준) : 413Kcal
활용 : 보양식
재료(4인분 기준)
닭 1마리, 표고버섯 4개, 양송이버섯 10개, 죽순 1개, 김, 대파, 통마늘, 소금, 후춧가루, 참기름 * 양념장 - 간장 1큰술,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
요리법
1. 쌀은 씻어서 불린뒤 물기를 뺀다.
2. 물 12컵에 닭을 넣고 끓이다가 대파와 마늘을 넣어 누린내를 없앤 후 핏물이 나오지 않을 정도로 푹 삶는다.
3. 닭이 익으면 건져서 살을 발라내고 가늘에 찢어 소금, 후춧가루, 참기름으로 무친다.
4. 양송이 버섯과 표고버섯은 채썰어 놓고, 죽순은 빗살 모양을 살려서 썬다. 김은 살짝 구워 채썬다.
5. 냄비에 불린 쌀을 넣어 볶다가 닭육수를 넣고 끓인다.
6. 5의 쌀이 퍼지면 닭살,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죽순을 넣어 끓인다.
7. 간장, 다진파,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8. 완성된 버섯닭죽을 그릇에 담고 김을 얹은 뒤 양념장과 함께 낸다.
버섯전골
열량(1인분 기준) : 255Kcal
활용 : 손님초대상, 해장요리
재료(4인분 기준)
송이버섯 2개, 싸리버섯 2개, 표고버섯 3개, 밤버섯 3개, 능이버섯 3개, 무우 150g, 호박 80g, 죽순 60g, 대파 2대, 풋고추 1개, 홍고추 1개, 두부 1/3모, 흰떡 1컵, 들깨즙 6컵, 소금 1큰술
요리법
1. 물에 불린 들깨를 믹서나 맷돌에 넣고 같은 양의 물을 부어 간다.
2. 들깨가 갈아지면 체에 밭쳐 찌꺼기는 버리고 즙만 받아낸다.
3. 송이버섯은 밑둥에 붙어 있는 모래를 씻어내고 끝을 조금 잘라낸 다음 껍질을 말끔히 벗겨 결대로 찢는다.
4. 싸리버섯과 밤버섯, 표고버섯은 흐르는 물에 씻어 연한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가 건져서 결대로 찢는다.
5. 능이버섯은 소금물에 문질러 씻은 뒤 물기를 빼고 갓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면서 결대로 찢는다.
6. 무우와 호박은 길이 5~6cm, 폭 1cm 정도로 도톰하게 썰고 고추와 대파도 같은 크기로 썬다.
7. 두부는 길이 5~6cm, 폭 3cm로 썰고 흰떡은 어슷썰기한다.
8. 냄비에 들깨즙을 부어 끓이다가 무우와 죽순, 흰떡을 먼저 넣고 한소끔 끓인다.
9. 흰떡이 말랑말랑해지면 찢어 놓은 버섯을 한꺼번에 밀어 넣어 버섯의 향이 충분히 우러나도록 끓인다.
10. 마지막으로 호박, 두부, 파, 고추 등을 모두 넣고 살짝 끓인다.
11. 두부가 떠오르면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불에서 내린다.
팁
1. 버섯전골은 다른 양념을 넣지 않고 갖가지 버섯과 들깨즙, 소금간만으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버섯해물탕
열량(1인분 기준) : 125Kcal
활용 : 해장요리, 일상식
재료(4인분 기준)
미나리 40g, 대파 1대, 쑥갓 40g, 다진마늘 1큰술, 무 200g, 풋고추 2개, 홍고추 1개, 콩나물 120g, 굵은고춧가루 2.5큰술, 소금 1작은술, 후추, 국물용멸치 20g, 오징어 120g, 다시마, 다진마늘 1작은술, 다진생강, 표고버섯 60g, 양송이버섯 60g, 만가닥버섯 60g, 팽이버섯 40g
요리법
1. 야채를 깨끗이 씻어 콩나물은 깨끗이 다듬고 무는 사방 3cm 크기로 나박썰기를 한다.
2. 홍고추와 풋고추는 어슷썰기하고 쑥갓은 6cm 길이로 썰어 준비한다.
3. 버섯은 깨끗이 손질하여 다듬어 놓는다.
4. 국물용멸치와 다시마로 국물을 우려낸다.
5. 4에 무를 넣어 끓이다가 국물이 우러나면 고춧가루, 다진마늘, 다진생강, 후추로 양념한다.
6. 오징어슬라이스, 콩나물을 넣고 한소끔 끓인후 미나리, 풋고추, 홍고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만가닥버섯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한다.
7. 거의 완성되면 팽이버섯과 쑥갓을 넣어 완성한다.
팁
1. 표고버섯은 물에 불린후 기둥을 떼고 큼직하게 썰어 사용한다.
1. 수분이 90% 이상이고 단백질이 1.5~2.0% 정도 함유되어 있다. 탄수화물은 3~6% 정도로 펜토산,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덱스트린 등이 들어있어 버섯요리의 맛을 돋구는 원인물질이 된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₁,B₂를 비롯해 비타민 D의 전구물질인 에르고스테린이 0.2~0.3% 정도 들어 있다. 특히 표고버섯에 들어 있는 핵산성분인 구아닐산은 버섯특유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으로 핵산 복합 조미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