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장. AutoCAD를 구성하는 FILE의 종류.
AutoCAD를 구성하고 있는 FILE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파일명
|
CAD내에 쓰임
|
비 고
|
*.pat
|
해치패턴 정의 목록 파일 | |
*.pcp
|
플롯 구성 매개 변수 파일 | |
*.pfb
|
postscrip 폰트 파일 | |
*.pgp
|
프로그램 매개 변수 파일 |
cad에 쓰이는 명령어의 |
*.plt
|
플롯 출력파일 | |
*.ps
|
postscrip 파일 | |
*.pwd
|
로그인 파일 | |
*.scr
|
명령 스크립트 파일 | |
*.shp
|
폰트정의 원본파일 | |
*.shx
|
컴파일된 폰트 파일 |
cad용 폰트파일 |
*.slb
|
슬라이드 라이브러리 파일 | |
*.sld
|
슬라이드 파일 | |
*.txt
|
속성 추출이나 템플렛 파일(CDF.SDF형식) | |
*.unt
|
단위파일 | |
*.xlg
|
외부참조 기로 파일 | |
*.xmx
|
외부 메세지 파일 | |
*.ads
|
ADS 응용프로그램파일 | |
*.adt
|
감사보고파일 | |
*.bak
|
도면 백업 파일 | |
*.bdf
|
VESA 폰트파일 | |
*.bkn
|
다음의 고유 이름에 연이어 중가하는 백업 파일 | |
*.cfg
|
구성파일 | |
*.dcc
|
대화색상 조정파일(DOS전용) | |
*.dcl
|
대화상자 정의 파일 | |
*.dfs
|
대화조정 언어 설명파일 | |
*.dwg
|
AutoCAD 도면 파일 |
설명할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
|
*.dxb
|
이진수 도면 파일 | |
*.dxf
|
도면 교환 파일 |
데이타 교환용 FILE |
*.eps
|
encapsulated postscrip 파일 | |
*.err
|
AutoCAD가 정지될때 생기는 오류 리스트 파일 | |
*.exp
|
ADS 실행 파일(DOS 전용) | |
*.flm
|
필름롤 파일(AutoShade를 위한 전용 파일) | |
*.hlp
|
도움말 파일 | |
*.hdx
|
도움말 색인 파일 | |
*.igs
|
IGES 교환파일 | |
*.lin
|
선 형태 정의 파일 | |
*.lsp
|
AutoLISP프로그램 파일 | |
*.mat
|
랜더링 재질파일 | |
*.mnl
|
매뉴파일과 연관된AutoLISP 파일 |
|
*.mnu
|
매뉴 원본 파일 | |
*.mnx
|
컴파일된 매뉴 파일 | |
*.msg
|
메시지 파일 | |
*.old
|
변환된 도면의 원래버전 파일 | |
*.arx
|
비쥬얼 베이직으로 만든 |
|
*.exe
|
C로 만든 응용 풀그램 |
여기에서 녹색으로 표시된 것은 알아둘 필요가 있는 파일입니다.
잠깐 그 쓰임에 대해 알아 보면....
*.pgp의 경우 : 외부에서 텍스트 화일로 존재합니다.메모장등에서 열어 수정
가능하며 캐드 내에서 ailas로 수정 가능하기도 합니다.
*.dxf의 경우 : 풀다운 메뉴의 export에 보면 dxfin / dxfout의 명령어가 있읍
니다. (그냥 커맨드 상에서 쳐도 됨)-맥스등에서 dxf로 저장된 것도 캐드내
에서 불러 드릴수 있읍니다.
*.lin의 경우 : linetype명령에서 load할때 쓰이는 파일
*.mnu / *.mnx 의 경우 : menu명령이나 customize menus에서 사용 가능.
*.arx / *.lsp / *.exe / *.exp의 경우
이것들은 응용 풀그램으로 보통 (load "*.*")나 (xload "*.*")로 사용 가능.
appload명령으로는 모두 가능하며, load로는 *.lsp xload로는 나머지가
가능.(*.exp는 윈도에서 사용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