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전통 문화속에 강·물, 햇볕·더위
발표: Tran Ngoc Them(전옥템, 베트남 호치민 대학 교수)
번역: 전후인 로안
우리가 이미 알다시피, 사람과 사람의 제일 멋있는 작품-문화-은 늘 환경과 친하게 지낸다. 또 한편으로 우리 거주 환경은 우리와 문화에게 영향을 끼친다.
베트남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강·물과 햇볕·더위가 많은 동남아에 속한다. 세계에는 강이나 물이 풍부한 곳에서 사는 민족이나 아니면, 햇볕·더위가 많은 곳에서 사는 민족들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강과 물, 햇볕과 더위 모두가 다 많은 곳은 아마 동남아 나라들 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는 일광이 많고 비가 많은 열대지역이다: 세계에서 연평균 강수량이 2000mm 이상으로 강수량이 제일 많은 지역이다.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연평균 강수량은 대략 500~700mm 가량이다), 동남아지역의 습도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속한다: 베트남의 연평균 습도는 대략 73~93%이다. 베트남과 동남아는 또한 섬과 군도의 세계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남아 역시 대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광, 더위와 비-습함-강-대양은 항상 동남아 각 국가의 전통문화를 지배하는 두 상수(常數)가 된다. 복합어인 강·물과 햇볕·더위라는 말은 정확하게 베트남의 두 특징을 반영할 수 있다.
1. 물질생활 속에서의 강․물
1.1.
베트남인들의 주요 식량을 공급하는 식물은 ‘벼’이다. 이 ‘벼’라는 식물은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며, 광합성을 위한 높은 습도, 높은 온도와 많은 열광을 필요로 한다. 베트남의 경우에, 밥은 식탁구제에서 70~80%(그 이상이기도 하다)를 차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어에서 ‘식사한다’라는 말은 ‘밥을 먹는다’라고도 부른다. 베트남에서 rau muong(라우 무어)은 밥 다음으로 사람들이 두 번째로 좋아하는 음식이다. Rau muong은 물에서 자라고 물에 따라 올라갔다 내려간다. Rau muong은 베트남의 상징 가운데 하나이다.
1.2.
쌀과 Rau muong 다음으로 해산물은 매우 중요한 음식에 속한다. ‘네억 맘(nuoc mam - 멸치젓과 비슷함)’과 각종 ‘맘(mam)’(생선 간장) 종류는 베트남인과 동남아인들의 독특한 음식으로 여겨진다.
농경지에서 일하는데 적합한 동물은 바로 ‘껀쪄우(물소: contrau)’로서 농민들에게 도움을 주는 주요한 동물이다(이 소는 북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이용되는 소와는 다르다). 새 종류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보편적인 물새는 다음과 같다. 황새, 홍학, 펠리칸, 두루미, 들오리, 들거위 등등이다.
1.3.
옛날부터 베트남 거주인들의 주요한 교통수단은 수로였다. 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인들은 잠수에 능하고, 수영을 잘하며 해전에 강하고 배를 능란하게 다루었다”라고 전하고 있다. ‘동선(Dong Son)’ 청동기에 조각된 무수히 많은 배의 형성 조각에서 이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강에서의 교통 수송 수단은 매우 풍부하다: 배, 거룻배, 보트, 모터보트, 뗏목, 나룻배, 선박 등등. 정크선(밑이 평평한 범선)은 사람 모양으로 보인다. 베트남인들은 배에 눈을 그리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 눈이 물귀신으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었으며, 어부들은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는 장소를 찾게 해줄 것이라고 믿기도 했다. 베트남이 크게 승리한 전투는 대부분 해전이었다. 역사라는 것은 두 번 반복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지만 옛 베트남인들은 같은 전술을 세 번까지 썼다. Bach Dang (밧땅)강의 어귀에서 막대기를 박았고, 938년, 981년, 1288년에도 중국군을 크게 무찔렀다.
1.4. 집〔Nha〕
옛날에 베트남에서의 공통적이며 독창적인 것은 원두막 집을 짓는 것이다. 주로 물과 관련이 있는데, 즉 침수, 습도, 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두막은 지붕의 가운데가 낮고 지붕의 양쪽 같이 굽어 배 모양으로 만들어 강물이 있는 곳에서의 생활을 연상시킨다. 구부러진 지붕을 건축하는 것이 일반 사람들의 집에서는 오늘날 찾아 볼 수 없지만 사찰과 같은 큰 건축물에서는 여전히 보전되고 있다. 소수민족인 짬(cham)족의 절에서 배 형상의 구부러진 지붕이 역시 발견된다. 배 형상의 지붕건축은 “터이 응웬(Tay nguyen)" 산악지역에까지 퍼져있다. 또한 묘에도 배 그림으로 장식되었다.
원두막집 외에도 베트남에서 매우 널리 보급된 거주 형태가 있는데, 배집, 뗏목집, 물위에 여러 뗏목을 서로 엮어 이룬 마을 등등이다. 베트남에서는 강위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이 열리는 것과 신부를 맞이하려 배를 타고 가는 것은 매우 보편적이다.
1.5
물은 또한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리게도 한다. 베트남인들은 수해를 세 가지 재난(수해-화재-도둑 맞음)중에서 으뜸으로 친다. 홍수를 막기 위해서 건국 시기부터 베트남인들은 제방을 쌓았다. 이러한 치수 사업은 사정과 수정(son tinh - thuy tinh)의 전설 속에서도 기록되고 있다, 수세기 동안 견고한 제방 시스템은 농경지와 거주 지역 전역에서 만들어졌다. 20 세기 초까지 베트남의 총 제방 길이는 2,400km 에 달했으며 건설에 이용된 흙과 돌은 15,600,000㎥에 이르렀다. (만리장성에 쓴 돌만큼 사용했다)
물과 함께 하는 생활에서 농민들은 물을 사용하고 소비하는 것을 걱정한 것 뿐 아니라 물을 간직하고 공급하는 것까지도 신경을 썼다.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베트남인들은 논을 작은 구획으로 나누었다. 산악 지역에서는, 계단식으로 논을 만들어 물을 보존했다. 베트남 선
조들은 “가우 자이(gau dai : 두 살암이 물을 뜰 수 있는 도구)나 ”가우 송 (gau song: 혼자서 물을 끄는 도구) 과 같은 물을 뜨는 도구를 만들었다. 물이 강하게 흐르는 지역의 베트남인들은 “곤 느억 (con nuoc : 물레방아)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2. 정신생활에서의 강․물
2.1. 언어생활에서의 물
단어의 본래의 의미는 액체라는 뜻이지만, ‘nuoc(물)'이라는 단어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베트남인들에게 사용된다. 느억즉물은 국가라는 의미(viec nuoc)가 있고 환경이라는 의미(nuoc doc)와 강한 힘이라는 뜻(het nuoc)이 있다. 느억은 한계라는 의미(den nuoc nay)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결과의 의미(cha nuoc me gi)로서 사회적 지위의 의미(duoc nuoc)로서, 대응하는 행위로서의 의미(xuong nuoc), 인간 삶의 방식으로서의 의미(nuoc doi), 말이 달리는 방법으로서의 의미(nuoc dai), 장기를 두는 법으로서의 의미(nuoc co), 표면을 지시하는 의미(nuoc da)로서 쓰이기도 한다.
베트남 땅에서 강의 의미를 지니는 요소들을 내포한 지역의 이름이 무수히 많다. Ben Tre, Ben Nghe, Ben Thanh, Ben Duoc, Ben Hai, Ben Thuy 등에서는 모두 공통된 단어인벤(ben)을 가지고 있는데배를 대는 장소라는 뜻이다. Cua Ong, Cua Dai, Cua Lo등에서의 공통된 단어인끄어(cua)라는 단어의 의미는강물이 바다와 만나 흘러나가는 곳이란 뜻이며, Ha Noi, Ha Tay, Ha Dong, Ha Bac, Ha Giang, Ha Tien, Ha Tinh 등에서 공통된 단어인 하(Ha)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강’ 이라는 뜻이다. Hai Duong, Hai Hau, Hai Ninh, Tien Hai 등에서 공통된 단어인 ‘하이(hai)'라는 단어의 의미는 ’바다’라는 뜻이다. 호치민 지역에 한정하여 1,319개의 지역들이 강과 개울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특별히 홍강의 경우만 이름이 50여개가 있고, 길이가 1140㎞가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동남아에서 자연과 연관된 강에 대한 독특한 의미가 있는데 북방과 서양민족에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보통 비슷한 발음이 나는 단어들을 사용한다. 중국어에서다오(稻)라는 단어를가오로 발음하고 rice, riz, Reis, ris는 같은 서방의 단어는 sri로 발음된다. 오늘날 떠이 웅우엔지역 언어는 여전히 벼신을 Yang sri라고 부른다.
현재까지도 중국어와 서방의 언어들은 통상 번역하기 위해서 자신들의 단어 주에서 가까운 의미의 단어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구분하기 위해서 ‘느억’(물)이라는 단어를 첨가하기도 한다. 중국어에서는 물소(con trau)를 번역할 때 thuy nguu(물에서 사는 소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후에 줄여서 nguu가 되었다. 또한 영어에서 water-buffalo는 후에 줄여서 buffalo가 되었고 중국어로 자오무옹(rau muong)은 ung thai(壅采: 물 야채라는 의미이다) 라고 부른다. 영국사람은 황새 같은 새 종류를 water-bird라고 부르고 수련은 water-lily라고 부르며 또한 수달은 water-rat이라고 부른다.
2.2. 종교생활 속에서의 물
벼를 심는 것을 업으로 삼는 동남아인들의 생활에 있어서 물은 제일 중요한 자연의 힘 중에 하나로서 경배되어졌다. 건기에는 구름, 비, 천등, 번개 노파들(신을 칭함)에게 경배하는 과정을 거쳐 비를 기원하였으며 비가 오기를 바라는 소망은 물을 길러 가는 것과 두꺼비를 숭배하는 것으로서 실현되었다. (동으로 만든 북 치기, 폭죽놀이) 이 모든 것들은 하늘이 비를 내려주기를 바라며 천등소리를 모방한 것이다.
백로, 뱀, 악어는 강변지역에서 다른 어떤 것들 보다 매우 보편적인 동물이기에 그 지역에 서 첫번째로 숭배되어지는 동물의 종류이기도 하다. 베트남인들은 다음과 같은 문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 “첫째가 새, 둘째가 뱀, 셋째가 코끼리”
악어와 용은 강물이 있는 지역의 재상으로 여겨지며 ‘므어족(Muong)'에게는 악어왕(bu khu)이라고 불리우며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용왕(Long vuong)으로 불리운다. Rong(베트남어), Long (중국어)은 모두 고대 동남아어 속에 Khrong과 Khrong이라는 단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그 단어의 뜻은 강물이라는 뜻이다. 베트남의 많은 지역들이 롱(long)과 종(rong)을 포함한 지명을 가지고 있다. 사람이 죽었을 때 가는 '저세상'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물이 있는 장소를 뜻한다. 베트남인들에게 구천이라고 여겨지는 그 곳에 가려면 반드시 배를 타고 가야 한다 고들 말한다. 동선 청동기에 죽은 사람은 배 형상을 한 나무로 깎아 만든 관에 안치되었다. 베트남 사람들이 조상에 대한 제단을 모실 때 술을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지만 맑은 물이 담긴 컵은 반드시 있어야 하고 모자람이 없어야 한다.
2.3 베트남놀이들도 강․물에 관련된 것이다
베트남과 동남아의 놀이들은 많은 부분들이 강물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놀이로는 미꾸라지 잡기 시합, 오리 잡기, 대나무 타고 걷기, 수영 시합, 다이빙 시합, 배 경주, 물소 싸움, 배(노) 젓기 시합, 꼬리잡기 등등이 있고 물 뿌리기, 물 빼앗기, 물 퍼붓기 등의 놀이는 베트남과 동남아의 많은 나라에서 행하여지는 놀이이다.
2.4.
음악과 연극 영역에 있어서 천둥소리를 모방한 연주는 돌을 두드리고, 동으로 만든 묵을 두드리고, 징을 치고, 중을 치고, 경(磬)을 치며, 목어를 두드리고, 캐스터내츠 형상의 악기를 쳤다. 이런 것들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 양도 매우 풍부하다. 강변지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상부상조와 연관된 강에 관련된 많은 노랫가락들이 있다. 베트남의 전통 수상인형극은 강물에서 생활하는 곳만 있는 특별한 예술형이다.
2.5
입체 예술 속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은 물결형 무늬와 장식그림들이 있는데 그 그림에서 기원하는 동물의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다. 생선, 거북이, 용, 학 등이다.
베트남 사람들이 집에다 걸기 좋아하는 그림들은 잉어가 달을 쳐다보는 그림( ca chep trong trang )과 꼬마가 두꺼비를 안고 있는 그림(em be be coc)이다. 마을 공회당에는 주로 호수에서 목욕하는 그림(canh tam ao)과 배를 젓는 그림(cheo thuyen)들이 걸린다. 1990년에 출판된“Dong Son drums in Vietnam"이라는 책이 따르면 청동기 시대에 101개의 북(drum) 중에서 공포장식 그림이 있었다고 한다. 101개의 북 모두 물새 형상 무늬, 많은 새들이 생선을 입에 물고 있는 무늬 두꺼비 형상의 무늬, 배 형상의 무늬, 용과 악어의 형상 무늬가 있다.
3. 식생활, 거주생활, 휴식생활에 있어서의 대응
3.1. 식생활
식생활의 분야에서 서양인들이 육식을 많이 하는 편이다. 반면에 베트남 사람들은 채식을 많이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각 민족의 위와 같은 습관들은 자연적인 환경에 의해서 결정된다. 날씨가 추우면(음) 가축을 기르는 일이 발전하는데에 적합하다. 그리고 추위를 이기기 위해서는 육식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반면에 날씨가 더운 지대에서는 식물들이 잘 자란다. 식물을 먹는 것도 피서에 가장 적합한 것이다. 과일은 1쭉 (1쭉=과일 12개 또는 14, 16, 18개)을 한 단위로 셀 정도로 풍부하다.
베트남 사람들이 요리를 할 때에는 삶기, 끓이기(물, 야채, 소금, 양념 넣어서. 때로는 고기, 생선도 첨가), 샐러드(야채, 간장, 소금, 설탕, 땅콩, 갖은 양념 넣어 섞기), 절이기 같은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신맛이 나고(음), 물(음)을 많은 넣는 음식을 만들게 되고 그런 음식은 먹기도 쉽고 소화도 잘 되고 해열할 수 있다. 그래서 베트남 사람들은 쓴맛과 신맛을 내는 음식을 좋아한다. MUOP DANG(중간 크기의 호박만하고 표면은 울퉁불퉁 하고 맛이 쓰다). 멉땅국은 특별히 남부 지방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다.
이런 채식 생활은 인간과 자연 환경의 균형을 잡는것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래서 동양 종교에만 육식을 금지하는 전통을 가졌다. 육식을 금지하는 목적이 살생금지를 교육하는게 아니라 인간에게 음성이 나타나고 마음이 차분해져서 나쁜 짓을 많이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3.2. 거주생활
베트남 사람들은 더위를 피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집이 높고 문이 넓다” 는 공식을 사용한다. 추운 지방에서는 보온을 위해서 집이 작고 천장이 낮고, 벽이 두껍고, 문이 작으면서 좁다. 이것은 베트남의 주거와는 완전히 다르다.
더위를 피하기 위해서 베트남에서는 지붕과 천장은 높고, 방안은 넓고 통풍이 잘되는 공간을 만들었다. 집이 높지만 비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햇볕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문을 높게 하지는 않고, 더위는 피하고 시원하고 통풍은 잘 될 수 있도록 문을 넓게 만들었다. 베트남 사람들은 대나무를 얇게 벗겨서 큰 발을 짜서 문에 걸쳐 둔다.
지붕 양쪽 끝에는 삼각형 모양이 생기는데 이것은 방안의 더운 공기가 나가는 통로가 된다. 결국 공기가 들어오는 모든 문과 이 삼각형 모양의 통로는 모두 통풍이 잘 되게 하는 완벽한 시스템이 된다. 이 발은 뜨거운 햇볕을 가려주고 비뿌리는 것을 막아주며 바람이 들어올 수 있게 한다. 지붕의 아래에 시원하고 넓은 공간에 그늘이 만들어진다.
또 다른 피서 방법은 집의 방향을 택하는 것이다. 베트남 사람들의 대표적인 방향은 남향이다. 베트남 속담에 “남자는 여자와 결혼하고 집은 남향으로 짓는다”는 말이 있다. 이 속담은 남자가 여자와 결혼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집을 지을 때에는 남향으로 짓는 것이 아주 당연하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베트남은 바다 근처에 있고 북동풍이 많이 부는 영역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남향은 사방 중에서 제일 유익한 방향이다. 왜냐하면 오전과 오후에 햇볕 비추는 것을 피하고, 서쪽에서 오는 뜨거운 공기와 동쪽에서 오는 폭풍을 피하게 되며 남쪽에서 오는 시원한 바람은 잘 받기 때문이다. 자연적인 바람에 대해 베트남에 이와 같은 속담이 있다. “ 자연적인 바람이 주는 시원함은 100명의 하인이 부채질을 해주는 것만보다 낫다” 또 “남풍이 오면 아직 눕지 않아도 코고는 소리가 난다”는 속담도 있다. 원시시대부터 베트남 사람들은 피서를 위해 남향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알았었다. HOA BINH(화병) 문화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이 살고 있었던 동굴은 대부분 남쪽이나 동남쪽을 향하고 있었다.
3.3. 휴식생활
베트남 사람들은, 줄기는 길고 부드럽고 연한 COI(꼬오이)나무를 둘로 나누어서 돗자리를 만들어 잤다. 꼬오이 나무 돗자리에 누우면 부드럽고 바람이 통해서 시원하고. 무엇보다 등 밑에 바람이 통하는 공간이 생기고. 꼬오이 줄기는 땀을 잘 흡수하기에 좋다. THANH HOA( 탱화)시 안의 NGA SON(응아선)동은 전국에서 돗자리를 만드는 유명한 지역이다.
HA NOI (하노이)에서 HANG CHIEU(항지예우)라는 거리는 전체가 거의 돗자리를 파는 거리이다. 현재 사람들은 매트리스하고 플라스틱 돗자리도 곳곳에서 많이 팔고 있지만 꼬오이 돗자리는 여전히 피서에 제일 효과적이고 건강에 가장 좋은 것이다.
더위에 대응하기 위해서. 부채에 대한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북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부채를 많이 사용하지만 부채는 언제부터 생겼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더운 지방에서만 부채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에서는 옛날부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부채를 만들었다: la co (라꺼-야자수과의 식물로 앞으로 지붕을 하거나 모자를 만든 나뭇잎), la dua (라즈어-야잣잎), mo cau (머까우-빈랑나무의 불엽포), nan tre (난뜨레-대나무로 만든현), giay (짜이-종이), lua (루아-견사??), long ngong(롱응옹-거위 깃털), long chim(롱짐-새 깃털), nga voi (응아버이-상아), doi moi (또이모이-대모의 등껍질)...등로 만든다.
HANOI(하노이)에서 HANG QUAT(항괏)라는 거리는 전체가 거의 부채를 파는 거리이다. 부채의 첫째 기능은 시원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햇볕을 막고 사람을 꾸며주고 집에서는 장신구가 되고 민속무대에서도 많이 쓰는 것이다. 베트남의 대부분의 신들은 항상 부채를 지니고 다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부채도 공예품이 될 수 있다.
시와 그림을 그리는 것외에 nghe thuat cham kim (응예투엇 짬김: 부채를 바늘로 찔러서 그림을 그리는 것)은 베트남에만 있는 것이다. 바늘로 찔러서 그린 부채의 아주 작은 구멍들을 통해서 빛을 비추면 아주 아름답고 섬세한 그림이 나타난다. 더위를 피하기 위해서 베트남인들은 나름대로 시간을 사용한다. 늦게 일어나고 하루종일 계속 일하는 추운 나라사람과 달리 베트남인들은 일찍 시작하고 시원한 날씨를 이용해서 일하고 제일 더운 시간에 한두 시간동안 낮잠을 잔다. 낮잠자는 것은 몸을 회복시키기도 하고 더위를 피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학교에 다니는 외국친구들은 7시 수업을 하지 못한다.
4. 의복에서의 더위 대응
4.1.
베트남 사람들의 복장의 특징은 각 시대를 지나는 동안 자연환경의 요인, 혹은 자연환경에 의존하는 요인의 두 가지 요소에 의해 지배되었다.
더운 기후 탓에 여러 시대를 거치는 동안의 베트남 여성의 평상시 상의(上衣)는 옘(YEM)였고 하의(下衣)는 바이(VAY-치마)였다. 치마를 입는 것이 통풍이 잘되고 더운 기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에서 작업을 하기에 매우 적당했기 때문이다(치마는 바지 가랑이가 없기 때문에 논에 들어갈 때 항상 쉽게 걷어올릴 수 있었다. 중국인의 복식방법과 비교될 때 베트남 사람들은 치마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자신들의 전통문화의 독특함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있다.
남성들에게 있어 평상시 옷을 안 입고 하의는 초기에는 성기 가리개인 코(KHO)만 입었다. 코는 하나의 긴 천을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끈으로 보통은 앞에서 뒤쪽으로 배 둘레를 묶으며 코의 끝은 보통 뒤로 트여있다(앞으로 트여있는 때도 있다). 코는 시원하게 입을 수 있어 더운 기후에 알맞으며 또한 일을 할 때 쉽게 움직일 수 있기때에 그것은 훙왕 시대에 전형적인 의복이었을 뿐 아니라 또한 그 후에 도 꽤 오랫동안 일부 사람들에게서 사랑 받았다.
19세기에 와서 병사들을 구분할 때도 녹색 코군(지방군사), 적색 코군(상비군), 황색 코군(조정 방위군)등 여전히 “코”라는 단어를 썼다. 바이-옘과 코는 베트남 여성과 남성의 ‘미’기준이 되었다.
추운 나라에서 온 외국사람들은 베트남에 한 번 살게 되면 이해할 것이다
문화라는 것은 어느 한 민족의 삶안에 안정적이고, 음(陰)의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족문화의 본질은 도시 지역보다는 농촌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한 민족을 대표하는 의복은 전통적인 농촌지역의 여성의 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를 대표하는 복장인 사리(Sary), 일본의 기모노, 한국의 한복이 있듯이 베트남에는 아오자이와 논 라가 있는데 모두가 여성들의 복장이다.
4.2
베트남의 아오자이와 논라는 모두 각각의 고유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베트남 여성의 아오자이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것은 아오 뜨 턴(ao tu than)이다. 아오 뜨 턴은 네 자락의 천으로 재단되며, 뒤쪽에는 두 개의 자락이 등뼈를 따라 연결되어있고, 앞쪽에는 단추가 없는 두 자락의 천이 자연스럽게 팔랑거리고 있거나 혹은 서로 여며지도록 묶여져 있기도 하다.
더운 지역에서 살았기 때문에 베트남인의 전통문화는 음(陰)적인 것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어 비밀스러운 것을 좋아하고 밖으로 드러내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기 때문에 색상에 있어서 베트남의 전통적 의복인 아오자이는 축제때 입는 것이라도 어두운 색상, 즉 진한 회색, 고동색과 같은 음의 색상만을 사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식과 축제는 즐거워야 했으므로 베트남인들은 이러한 모순을 아오자이의 안에 다양하고 화려한 색상의 아오 웅안(ao ngan)을 보일 듯 말듯하게 걸치는 것으로 해결했다. 제일 안쪽에는 목을 가리고, 가슴에는 흰색 혹은 붉은 색의 앰(yem)을 입었다.
또한 음적인 것을 지향하고, 섬세하고, 신비스러우며, 잘 드러내지 않는 전통 때문에 전통적인 베트남 여성들의 아오자이는 일반적으로 통이 넓게 재단되고, 허리부분을 가려서 여성몸매의 아름다움을 감추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전통 복장 안에 허리를 묶은 띠가 있는데, 이것은 천으로 만든 일종의 주머니로서, 몸매의 아름다움을 드러내 주기도 했다.
4.3
서구와의 교류의 영향으로, 20시기 초부터 전통적인 아오자이는 점차 개량되었다. 한편, 아오자이는 아오 뜨 턴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하며, 서구적으로 직접적인 신체의 아름다움의 노출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방향으로 (즉, 양(陽)성적으로)개량되었다.
a) 색상의 다양화(어두운 색상에서 벗어남)
b) 몸에 달라붙도록, 즉 가슴이 두드러지고, 허리부분이 꼭 맞도록 단정하게 만들어짐
c) 옆구리 부분의 트임이 위로 더 올라가 갈비뼈 부분이 드러남
d)부드럽고 얇은 천으로 만들어짐
e) 아오 까인과 안에 입던 옘이 사라지고 서구에서 유입된 브래지어로 가슴을 정리함
다른 한편, 신식 아오자이는 전통적인 특징들인 섬세하고 신비스러움(음성적인 것)이 또한 계승되고, 고도로 발전되어, 아오 뜨 턴과 비교할 때, 신식 아오자이는 오히려 더 비밀스럽고 신비스러운 면을 지니게 되었다.
a) 전통 아오 뜨 턴이 두 자락을 앞으로 늘어뜨려 펄럭거리게 한 반면, 신식 아오자이는 앞의 두 자락을 연결하여 앞을 덮는 하나의 긴 자락이 되게 하였다.
b) 전통 아오 뜨 턴은 단지 앞자락을 여미며, 아오 융안, 옘, 목이 살짝 드러나게 한 반면, 오늘날의 아오자이는 단단하게 세운 높은 목의 모양을 선호한다.
c) 색상에 있어서 비록 신식 아오자이에서는 어두운 색상이 사라져 엷은 색상들만을 사용하였으며(흰색, 옅은 파랑, 연분홍, 연노랑, 연보라 같은)일반적인 베트남 여성들의 아오자이에서 오직 소수의 사람들만이 밝은 빨강, 노랑과 같은 화려한 색상을 입거나, 두드러지는 꽃장식, 문양들을 사용했다.
이러한 보수적인 성격은 음(陰)적인 성격을 보완하는 방법으로써 양적인 경향을 둠으로 인해 균형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민족전통의 뛰어난 면과 서구의 영향이 결합된 신식 아오자이는 이를 입는 여성이 신체적으로, 그리고 앞에서 보면 여전히 단정하고 비밀스럽게 보이도록 했으나, 동시에 매우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기도 했다. 바로 은밀하고 미묘하게, 완곡하게 드러내는 이 독특한 음(陰)적인 성질 안에 내재된 양(陽)적인 성질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민족의 뛰어난 면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아주 짧은 시간동안 신식 아오자이는 널리 보편적인 것이 되었고 베트남 전통의복의 상징이 되었다.
4.4.
의복 이외에도, 베트남인의 복장을 이야기할 때, 다른 부수적인 부분(장식)들도 빼놓을 수 없는데, 비록 부수적이기는 하지만, 머리에 쓰는 것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논(non)과 같은 것은 베트남 사람의 전형을 만들어 내는 일에 있어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는 햇살이 매우 뜨겁고,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지역에서의 식물문화의 흔적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발이 시원하게 하기 위해서 나무나 골풀, 풀, 코코넛잎으로 만든 신을 신는다. 농사를 지을 때에는 매발로 한다.
베트남사람들은 논라(nonla)을 많이 쓰고 다니다. 논라는 원쁠 모양 때문에 비와 햇살을 막아준다. 부채꼴 모양의 야자 잎사귀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푸터(Phu Tho)나 빈푹(Vinh Phuc)과 같은 중원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초목의 잎이다.
특별한 종류의 논(non)의 경우에는, 얇은 두 잎사귀들 사이에 기술자가 고향의 모습이라든가 시구 등을 새겨 넣는다. 그러한 각 문양들이나 시구들은 햇살을 받을 때, 비로소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논(non)을 논 바이 터(non bai tho)라고 부른다. 논(non)의 안쪽 면에 이따금 사람들은 둥글고 작은 거울을 연결시켜놓기도 한다.
베트남에는 논(non)의 제작으로 유명한 장소들이 많이 있었다. 하 떠이 지역에는 랑 쭈옹(lang Chuong)이 있고, 하 띤(Ha Tinh)지역에는 끼 아인(Ky Anh), 꾸앙 빈(Quang Binh)에는 바 논(Ba Don), 트어 띠엔(Thua Thien)지역에는 후에의 논 바이 터(non bai tho)가 유명하다.
비와 햇살을 막아주는 것이 논(non)의 주요 역할이다. 그러나 이외에도 종합적이고, 활동적인 문화적 전통과 더불어 베트남 사람들은 논을 매우 창조적인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거울을 달고 있는 논을 가지고 길을 걸을 때나, 시장에서 여성들은 발걸음을 멈추고 머리를 덮고 있던 거울을 쉽게 꺼내 볼 수 있었다. 나무 그늘 아래서 걸음을 멈추고 휴식을 취할 때에 논은 무더운 공기와 햇살을 흔들어 쫓아내는 부채가 되기도 한다. 우물가에서 논은 바가지가 되어 사람들의 갈증을 풀어주고, 얼굴, 손발을 씻을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바람 부는 날씨에 논은 하나의 작은 벽이 되어 성냥불을 지피고, 담뱃불을 붙일 수 있도록 막아주기도 한다. 밖에서 누워 잠을 잘 때, 논은 눈을 덮어 가려서 눈부심으로부터 막아준다. 물건 담는 용기가 부족할 때, 논은 레몬이나 구아바 등의 과일에서부터 각종 생선, 야채 등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되기도 한다.
그밖에도 논은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여준다. 즉, 젖은 눈동자 매력적인 미소, 보조개, 하얀 피부의 목덜미, 머릿결 등과 같이 하늘이 여성에게 주신 아름다운 면들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논 아래로 어렴풋이 나타나 아른거릴 때, 더욱 아름답고, 몇 배는 더욱 유혹적이다. 논과 사람은 외적으로도 잘 어울리고, 또한 논은 섬세하고, 은밀한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문화와 잘 부합된다.
4.5.
이렇게 아오자이와 더불어 논은 베트남인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조금도 뒤지지 않는 상징이 되었다. 아오자이와 논은 무대예술, 그림 등에 많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는 시와 음악에도 마찬가지다. 화가인 또 응윽 번(To Ngoc Van)의 한 경우만 살펴보더라도 그는 이러한 주제들을 가지고 수십 점에 이르는 작품을 그렸다. 베트남 여성들은 세계 어느 곳을 가더라도 논과 아오자이로 인하여 모든 사람들로부터 그들이 베트남사람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베트남을 방문하고 돌아가는 외국인들은 거의 모두가 자신의 짐 속에 기념품으로서, 그리고 친구에게 선물할 몇 개씩의 논을 넣어 가지고 가는 것처럼 보인다.
시간은 흐르고, 세월은 바뀌어 공업화된 생활의 리듬과 더불어 논라는 대도시 속에서 점점 그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이러한 현상은 논라(nonla)의 여유 있고, 정체된 듯한 삶과 함께 나타난 농업문화의 산물임을 상기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사람의 걸음걸이의 속도는 논 풍(논 바 띰)과 잘 부합하고 자전거를 탈 때에는 반드시 논라(nonla)를 써야하지만 오토바이를 탈 때에 논을 쓴다는 것은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 왜냐하면, 바람이 불어 논이 얼굴로 내려와 매우 위험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주요 원인과 더불어 논은 점차 모자로 대체되고 있다. 그 위치를 유목민을 기원하는 모자에게 양보하고 있다.
비록 베트남에서 공업화와 현대화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도 긴 시간동안, 베트남의 문화는 더운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의 농업 문화로서의 흔적을 지속해서 유지해 나갈 것이다. 더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시원하고, 부드럽고, 가벼운 것이 늘 선호되고 필요하다는 사실은 이미 하나의 공통된 규칙이나 관념과도 같이 되어버린 사실이다. 그처럼 아오자이와 논라는 여전히 베트남인을 대표하는 문화적 상징으로 존재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이상이 다양한 베트남 전통문화에서의 강․물, 햇볕․더위에 대한 그림인데 아직도 부족한 그림이라고 생각된다.
강․물, 햇볕․더위는 베트남 사람과 물질생활고 정신생활을 지배하는 두 상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