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조선시대를 주자학 일변도의 사상계라고 비난하면서, 불교나 도교가 절멸됐다고 서술하곤 했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경직된 성리학의 시대’로 알려졌던 17~18세기에 불교 사찰이 가장 많이 중건됐으며, 유학자들이 도교 제사와 결합한 제사를 수행하고 정리했던 사실을 소개한 바 있다. 〈중앙일보 2021년 5월 28일자 24면〉
부처·노자·공자는 서로 다른 분들이지만, 불교·도교·유가의 문제의식은 우리의 인생에서 수시로 뒤섞여 등장한다. ‘사는 게 고통이지’ 하는 순간 해탈이나 신선을 통한 초월을 갈망하기도 하고, ‘산 사람은 살아야지’ 하면서 현실로 돌아온다. 부처·노자·공자로 표상되고, 종교나 사상으로 정식화됐을 때는 마치 다른 것 같지만, 우리가 이 세상에서 갖는 처지나 질문에는 혼융돼 있다.
유가는 당초 초월성이나 죽음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었다. 고려시대에도 정치는 유가, 종교와 사상은 불교의 선학(禪學)이 맡았다. 도교는 도관(道觀)을 중심으로 민속의 제사·수련·장수를 위한 연단(鍊丹) 등으로 이어졌다.
송나라 때 일어난 유가의 전면적 재해석은 고려 말~조선시대에 걸쳐 영향을 끼쳤는데, 이 거대한 흐름을 신유학=성리학=이학이라고 부른다. 성리학은 불교와 도교를 받아들여 이기론(理氣論)이라고 하는 우주론을 기반으로 세계를 재해석했다. 당초 성리학은 삼교회통(三敎會通)의 사상으로 성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