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내색소폰
색소폰의 소리는 "앙부쉬르(호흡 및 무는 방법) + 리드 + 피스 + 본체 " 의 조합입니다.
그 중요도 또한 위의 순서와 마찬가지 입니다. 부는 연습은 앙부쉬르를 연마하기 위함입니다.
초보에서 프로까지 평생 훈련과 연구를 하여야 할 부분으로소 색소폰의 모든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리드는 자체의 형태와 압력과 공기의 흐름에 다라 소리를 만들어 주는 근원이어서 대단히 중요합니만
가격이 싸고 소모품이라는 인식때문에 기능에 비해 중요도가 떨어진다고 인식되고 있습니다.
리드는 메이커 및 모델에 따라 천차 만별이고 지금은 인공 재료, 즉 플라스틱을 써서 만들기도 합니다.
리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리드의 두께와 연관이 있는 리드 세기입니다.
보통 세기는 숫자나 알파벳으로 표현하는데 낮은 숫자가 약하다 보심됩니다. 2번=소프트, 3=미디음, 4=스트롱
이런 식입니다만 초보자들은 주로 2호와 2-1/2 , 어린이와 여성은 1호 근방의 리드도 사용가능합니다.
처음 리드 세기를 선택하기위해서는 물론 피스와 조합입니다만 가능하면 약한 리드를 연습하면서 단계별로
세기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연습 기간에 대한 정해진 룰은 없습니만 1년에 반호 정도 올리는 것이 적당하며
리드의 세기를 점점 두껍게하여 3호 이상 적응이 되면 그 이후 피스 호수 올리는 것을 고려하심 됩니다.
프로 연주자들은 평균 3호를 사용하므로 최종 목표를 2-1/2 ~ 3호 정도가 적당 할것입니다.
마우스 피스는 한번 구입하면 잘 바꾸지 않으므로 처음에 비교 연주하면서 고르기를 하여야 합니다만
아쉽게도 국내 악기 상에서도 시연용 피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재즈의 본 고장 미국에서는 피스 시연은 당연한 것으로 여깁니다.
우리가 옷을 살때 입어 보고 살펴보고 하는 것 처럼 통신판매라도 많은 피스들을 보내어 줍니다.
한번씩 불어 보고 음색, 톤이나 성향, 앙부쉬르의 편안함 등을 비교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은 우리 환경에서는 일단 처음부터 좋은 피스(연주자들이 많이 쓰는 것...)를
구입해 놓고 시작하는데 많은 시행 착오를 거치는 잘못된 출발점이 되지요.
피스가 음질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들어 보진 않았습니다만
리드와 조합하여 색소폰 음색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지만 메이커에 따라 쓰겠다 못쓰겠다느니
그런 판단은 내리기 어렵습니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 연습을 통하여 음색을 만들어 갈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래되고 생산이 중단된 빈티지 모델은 선호하시는 분도 있는데 어쩌면 과거의 막연한 동경이라든지
신비감에 사로 잡혔다고 볼뿐입니다. 메이커마다 항상 개선이나 개발을 하여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게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현재의 모델이 더욱 과학적이고 음질에 있어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모델에 따라 음색이나 취향이 다른 것이지 빈티지가 좋다는 것은 다분히 주관적입니다.
메이커와 모델이 결정되면 피스 역시 리드와 마찬가지로 바람이 들어가는 오픈닝 갭 (혹은 팁갭)의 크기로
홋수를 정하고 있습니다. 낮은 숫자, 알파벳이 약한 피스입니다..
셀머에서는 C*, C** 가 표준 피스로 초보자에게 추천합니다만 프로 연주자 중에서 이 피스로
연주를 하고 있기 때문에 쎈 피스가 좋다는 편견은 버려야 할것 같습니다.
물론 오프닝 갭이 크면 리드와 간격이 커져 콘트롤에 대한 폭이 넓어 서브톤이 쉽다든지 깊고 웅장한 음색이 가능하지만
초보자들에게는 익숙해지기 위해 수년 이라는 훈련과정이 필요합니다..
큰 홋수의 피스에 약한 리드 조합으로 연주가 가능합니다만 리드가 약하게 되면 저음은 좋읍니다만
중고음 부터 음색이 가늘어 지면서 색소폰 특유의 허스키하면서 재즈틱한 분위기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많은 연주자들이 피스는 홋가가 낮더라도 리드를 강하게 하는 쪽으로 선호하고 있습니다..
피스 오프닝갭을 크게하고 리드만 소프트하게 쓴다면 소리는 쉽게 나지만 색소폰 특유의 음색 재현에는 실패입니다.
입술 주위의 근력이 상당히 커지면 자연스레 피스와 리드를 쎄게 하여도 무리가 없겠지요..
특히 처음 배우실때 피스와 리드로 인해 입술에 무리한 힘을 안들어 가도록 피스와 리드를 약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처음부터 힘들게 시작하면 색소폰 배우는 과정이 힘들어 쉽게 포기한다든지 색소폰 본체를 탓한다든지 시행 착오를 겪게됩니다.
색소폰은 소리가 쉽게 나고 다루기 쉬운 악기에 속합니다. 한두달이면 누구나 간단한 곡을 연주 할 수있는 악기입니다..
감사하게도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각자의 연습기를 남기게 되어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소중하게
들어 보게 너무나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권>
★ 유명 연주가별 피스 및 리드 사용 사례
- 소프라노 : 셀머 C, D 가 눈에 많이 뜁니다. 생각보단 약한 피스이지만 리드는 3호 정도로 센 리드입니다..
초보자들 이 범하기 쉬운건 피스를 세게하고 리드만 약하게 하시는데 톤이라든지 고음이 좋지
않게 되지요..
그리고 센호수는 앙부쉬르에 힘이 과하게 되어 톤 콘트롤이 어렵게 됩니다.
셀머메이커에서 표준 피스는 C*, C** 라고 표기하고 있어 처음시작하는 분 ~ 1,2 년 정도 되시면
이정도 피스가 적당합니다.
- 앨토 : 메탈, 비츌러, 버그라센 등을 많이 쓰시네요..
- 테너 : 오토링크 7, 8 호가 대다수 이네요... 소리 빵빵하지요 콘트롤 쉽구요.. 역시 테너는 힘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Name
Soprano
Alto
Tenor
Baritone
Cannonball Adderly Gregory 4 or 5
Gerald Albright Dukoff D7 Metal Beechler 7 Dukoff 7
Justo Almario Selmer D, Rico or Hemke Reeds Metal Beechler 6, La Voz or Hemke Reeds Metal Otto Link 8, Rico Reeds
Harold Ashby Otto Link
Gabe Baltazar Lakey 4*3 or Beechler S8S
Gary Bartz Vandoren A45
Bob Berg Metal Selmer G Metal Francios Louie
Jerry Bergonzi Hard Rubber Otto Link 6
Jay Beckenstein Selmer C*, Van Doren #3 reeds Beechler 6, Vandoren #3 Reeds
Tim Berne Rubber Berg Larsen 95/2, Vandoren Reeds
Jane Ira Bloom Metal Selmer D
Hamiet Bluiett RIA Medium / Lawton
Arthur Blythe Metal Berg Larsen 95/1, LaVoz Reeds
DonBraden Meyer #7, Vandoren #3 Reeds Lawton Metal, Vandoren #4 Reeds
Mike Brignola Lawton 6
La Voz Medium Hard Reeds
Nick Brignola Runyon 7 Runyon Bionix 8* Runyon Bionix 8* Runyon 9*
Michael Brecker Guardala 8 Guardala Studio Model, LaVoz Reeds
Nick Brignola Runyon
Ace Cannon Rubber Berg Larson 80/1 Rubber Berg Larson 90/1
Pete Christlieb Metal Berg Larsen 130/0, Rico Plasticover #2 Reeds
Clarence Clemons Dukoff D9, D11
Rico Plasticover
Arnett Cobb Otto Link (9?)
Rico Royal 3
Mark Colby Selmer H Hard Rubber Otto Link 8
George Coleman Vandoren A25 Meyer 5 Otto Link 7*
John Coltrane Metal Otto Link 6 star
Jay Corre Berg Larsen 110
Ronnie Cuber Otto Link 8*
Eddie Daniels Metal Otto Link 7*
Jay Davidson Dukoff Guardala Guardala MB Berg Larsen
Paul Desmond Gregory 4A-18M Rico 3 1/2 Reeds
Dennis Diblasio Lawton 8*B Lawton 7*B
Paquito D'Rivera Otto Link 6 Metal Selmer F
Bill Evans Guardala Studio Model, Vandoren Reeds
Lawrence Feldman Selmer D NY Meyer 6 w/wedge Otto Liink 7
Brandon Fields Selmer E Metal Beechler 8, Hard Rubber Berg Larsen 90/2 Metal Beechler 8 or 9
Med Flory Brilhart 5*
Frank Foster Yanigasawa 5 Lawton 10*B
Kenny Garrett Selmer E
Stan Getz Otto Link 8*
Kenny Gorlick Dukoff metal D8, Hemke #2 1/2 Reeds Beechler hard rubber S5S, Hemke #3 Reeds RIA metal 5, Hemke #3 Reeds
Johnny Griffin Metal Otto Link, 150 tip
Scott Hamilton Otto Link 10*
Craig Handy Vandoren S25 Berg Larsen 105/1
John Harle Selmer Soloist B, Vandoren #3 Reeds Selmer S-80 C*, Vandoren #3 Reeds, Meyer 5M, Rico Royal #3 Reeds Selmer Solist B or S-80 C*, Vandoren #3 Reeds
Jimmy Heath Hard Rubber Selmer D
John Klemmer Metal Brilhart
Dave Koz Couf 8 Metal Beechler 7 Hard Rubber Berg Larsen
Steve Lacey Otto Link 12
Oliver Lake Selmer RIA 7
Don Lamphere Couf 7* Couf 5* Couf 8*
Dave Liebman Guardala Bari Plastic Reed Sugal
Joe Lovano Otto Link 9* Ebony Francois Louis 10*
Joe Lulloff Selmer S-80 C* Selmer S-80 C**
Meyer 5M
Beechler 7 Rousseau
Otto Link Selmer S-80D
Berg Larsen
Bob Malach Metal Otto Link 8*
Eric Marienthal Metal Beechler 8,
Vandoren 3 Reeds Metal Beechler 7 Berg Larsen 110/2,
Vandoren 3 Reeds
Branford Marsalis Bari Branford Marsalis Guardala
Mel Martin Peter Ponzol M-1 Peter Ponzol M-1
Jackie McLean Berg Larsen - Bari Reed
Charles McPherson Meyer 5 Arbex 7*
Bob Mintzer Berg Larsen 95/0 Dukoff LD 7
James Moody Otto Link 10* metal, Rico 3 Reeds, Oleg ligature
Gerry Mulligan Gale 5
Tommy Newsom Selmer S 80 Leonard Gullota 5* Brilhart 5* Hard Rubber Otto Link 6
Dick Oatts Wolf Tane 7 Berg Larsen 90/2 Otto Link 8
Scott Page Hard Rubber Otto Link
Charlie Parker Brilhart 5?
Maceo Parker Brilhart Ebolin
Ken Peplowski Beechler 5 Berg Larsen 110/0
Houston Person Lawton 10 metal
Lenny Pickett Selmer C* Meyer 5 BergLarsen 130/0 SMS Vandoren Reeds Hard Rubber Berg Larsen 115/0
Boots Randolph Dukoff D9, La Voz Med Reeds
Joshua Redman Metal Otto Link 9*
Jerome Richardson Selmer Hard Rubber Otto Link Metal Otto Link
Sonny Rollins Berg Larsen or Wolf Tayne
James Rotter Selmer S-80 C**
Vandoren Reeds Selmer S-80 C**
Vandoren Reeds Selmer S-80 C**
Vandoren Reeds Selmer S-80 C**
Vandoren Reeds
Marc Russo Yanigisawa 9 Meyer 6, Rico Plasticover Reeds Dukoff D9
David Sanborn Dukoff D7, D9
Pharoh Sanders Metal Selmer Metal Selmer
Tom Scott Strathon 8 or 9
Andy Shepard Bari
Wayne Shorter Hard Rubber Otto Link 10 Hard Rubber Otto Link 10
James Umble Selmer C*
Morgan 3C
Vandoren 3 1/2 Selmer C*
Vandoren 3 1/2 Selmer C*
Vandoren 3 1/2
Chris Vadala Selmer C* Meyer 7 Otto Link 8
Sadao Watanabe Meyer 5
Bobby Watson Vandoren A35
Ernie Watts Runyon 9 Lawton 9* Metal Otto Link - 160 tip opening
Ben Webster Metal Otto Link, Rico 3 1/2 Reeds
Kirk Whalum Dukoff 8* Guardala - Brecker
Edgar Winter Brilhart Level Air 6 Brilhart Level Air 6
Phil Woods Meyer 5, La Voz medium reeds
[출처] 색소폰 색소폰 마우스피스 & 리드 셋팅에 대하여..|작성자 하늘바람
좋아요
4
댓글 4
프로필사진
안개
채팅
저 리드를 사야하는데 진하샘이 자바 2호반이 좋다하셨는데 여성초보인 저도 괜찮을까요?
2008.04.25. 15:38 신고
답글
프로필사진
김의재
채팅
선생님 그리 말씀하셨다면, 그게 맞는거겠지요. 리드도 이것저것 써보고, 본인과 상통하는 것 찾으심이 옳을 듯...
2008.04.25. 15:51 신고
답글
프로필사진
이성훈
채팅
위내용들을 참고하시되 유의하셔야되는 점은 서양인들과 동양인들의 힘의 차이입니다.
또하나는 악기 경력에 따른 호흡조절의 능력입니다.
다른 사람의 사례를 참고하시는건 좋지만 맹목적으로 따라히시다보면 실망도 커지실 수 있습니다.
각각의 피스와 리드의 성질을 이해하시고 자기 입에 맞는 제품을 고르는 지혜가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