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rdue Pegboard Test 대상: Verbal Que를 알아듣고 실행할 수 있을 정도의 cognition
Preface
Ⅰ. Introduction 전두와 외측 뇌의 손상을 입은 환자 학습장애 아동 구별 학습장애를 가진 신경손상의 취학 어린이의 수행평가 언어재활을 위한 평가 지시 실독증의 수행 평가 purdue pegboard는 purdue univ. 의 산업심리학자는 Josep Tiffin. ph.D.에 의해 1948년 발명되었다. 그 이후로 이 보드는 널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것의 기본 디자인은 다양한 부분의 구멍에 하얀색 플라스틱 Insert을 포함한 것과 board 전체크기가 약간 변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변하지 않았다. 1960년에 첫 번째로 변화가 일어났는데, 두 가지를 비교해보는 연구가 35명의 편집자들과 교수들에 의해서 행하여졌다. 이 연구결과 두 board 사이엔 큰 차이점이 없으며 Appendix A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Appendix A. Table 8-15에 나오는 표준은 산업현장에서- 조립하기, 포장하기, 기계 작동시키기, 그 외 수작업 들하는 일에 적당한 직원을 선발하는데 있어서 숙련성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사용된 purdue pegbord에 관한 것이다. 두 가지의 작업이 측정되었는데 하나는 손, 손가락, 팔에 대한 gross movement를 다른 하나는 조립 또는 fingertip dextrity에 대한 것이다. 5가지에 각각 점수가 매겨졌다. (1) 오른손 (2) 왼손 (3) 양손 (4) 오른손+왼손+양손 (5)조립. 이 테스트는 특별히 그룹에 적용하기에 적당하다. 원래 표준 외에도 purdue pegboard test를 Louis D. Costa. Herbert G Vaughan. Jr. Eric Levista. Norman Farber는 뇌손상의 증상과 편측성(1963)에 적용하고 Joan Kane과 Richard P. Gill(1972)는 purdue pegboard를 학습장애아를 구별하는데 Richard A. Gardner와 Mmmelinda Broman는 5-16세 정상아 1334명과 신경학적 원인의 학습장애로 진단받은 212명 아이들의 수행력을 평가하는데 Norman H. Hamm과 Dennis Curtis(1980)은 직업재활 후보자를 평가 하는데 Susan C. Leslie. Richard J. Davidson과 Orit B. Batey(1985)는 독어장애에 활용했다. 이 각각의 적용. 문헌연구 그리고 다른 참고자료 이 매뉴얼에 있는 참고서적 목적을 참조하여 원문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시행 짝수매기기 검사결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있다.
Application 기민성의 두 가지 형태를 측정 1. finger, hands, arm의 grossmovement 2. assembly task에서 finger dexterity필요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vocational evaluation, 일과 관련된 적용, preemployment screening 하기 위해 사용된다. PT, OT: injury rehabilitation 하기 위한 목적이다. 환자의 base line을 얻기 위해, 장애의 progress and/or degree 기록하기 위해 사용한다. vocational evaluator: determine a sudject's ability aptitude for certain work-related application recomending placement in jods(기민성을 요구하는) 기민성 요구하는 일에 각각의 기술을 발달시키는 특별한 훈련 프로그램으로 사용 Administration 검사자는 홙가 각 테스트를 하기 전에 demostrating을 해줘야 한다. Test batteries and Timing 5가지로 종목을 나누어 점수를 매긴다. 1. Right hand (30s) 2. left hand (30s) 3. Both hand (30s) 4. R+L+Both hand (30s)-테스트를 실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합계낸 점수 5. Assembly (60s) Equiment Required 1. perdue pegboard test a. instruction manual b. 1 test board c. pins, collars, waashere d. score sheets 2. 적어도 testing table은 30inch 높이-테스트의 실행은 반드시 앉아서 한다. 3. 초를 읽을 수 있는 stop watch or clock Interpreation and Scoring 1. percentile scale 2. standard scale 3. verval scale
Ⅱ. Test 시행 ▸ Test-Tiffin(1948) Purdue Pegbord는 핀, collar, 그리고 보드 위쪽 4개 컵에 담긴 와셔로 되어있다. 테스트를 받는 사람은 적당한 높이의 탁자에 앉아야한다. Purdue Pegbord에서 컵 부분이 보드 위쪽에 가도록 하고 검사자는 바로 앞에 앉는다. 오른손 쪽 맨끝 왼손쪽 맨끝컵에 각각 25개의 핀을 놓는다. 오른쪽 안쪽 컵에는 20개의 collar, 왼쪽 안쪽 컵에는 40개의 와셔를 둔다.(fig 1.) 시험관은 검사를 잘 알고 있어야하고 여러 가지 task에 대한 시범도 보일 수 있어야 한다. 다음의 지시사항은 개인용이고 그룹으로 사용할 때는 적절히 수정되어야한다. 물론 오른손이 우세손으로 되어있다. 왼손이 우세손 일때는 검사대상자가 왼손을 우선 사용하고 왼손 검사결과 점수가 오른손의 표준표에 따라 시험관은 수정하여야 한다. 검사대상자가 자리에 앉고 시작할 준비가 되면 “이 검사는 당신이 손으로 얼마나 빨리 그리고 정확히 일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입 니다. 각 검사 전에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고, 연습할 시간을 갖습니다. 정확히 무 엇을 하는지 숙지하세요.” ▸오른손◂ 각 검사 전에, 주어진 수행에 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시범을 보인다. “오른쪽 컵에 있는 핀을 오른손으로 한 번에 하나씩 집고, 위쪽에 있는 구멍부터 하나씩 밑으로 내려가며 채웁니다(시범). 연습으로 몇 개 해 보실 수 있습니다. 시험도중에 핀을 떨어뜨리면 주우려고 하지 말고 컵에서 다른 핀을 집어서 계속하세요.” 핀을 꼽는데 발생하는 실수를 고쳐주고 질문에 대답한다. 검사자가 3-4개정도를 꼽고, 동작을 이해한 것 같으면 “그만, 이제 핀을 뽑아서 오른쪽 컵에 두세요.” “제가 ‘시작’ 이라고 이야기하면 오른쪽 옆에 가능한 많이 꼽는데, 위쪽부터 꼽으세요. 제 가 ‘그만’ 이라고 할 때까지 가능한 빨리 하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당신이 ‘시작’ 이라고 말 한 때부터 30초를 준다. “그만” 꼽힌 핀의 숫자를 세고 오른손 기록에 적는다. 이것이 검사자가 오른손으로 꼽은 전체 숫자가 된다. 구멍에서 핀을 뺀다. ▸왼손◂ (왼손 테스트의 지시상항은 오른손과 같다. 여기에 반복한다.)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시작한다: “왼쪽 컵에 있는 핀을 왼쪽 손으로 한 번에 하나씩 집고, 위쪽에 있는 구멍부터 하나씩 밑으로 내려가며 채웁니다(시범). 연습으로 몇 개 해 보실 수 있습니다. 시험대상자가 3-4개정도를 꼽고, 동작을 이해한 것 같으면 “그만, 이제 핀을 뽑아서 오른쪽 컵에 두세요.” “제가 ‘시작’ 이라고 이야기하면 오른쪽 옆에 가능한 많이 꼽는데, 위쪽부터 꼽으세요. 제 가 ‘그만' 이라고 할 때까지 가능한 빨리 하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당신이 ‘시작’ 이라고 말 한 때부터 30초를 준다. “그만” 꼽힌 핀의 숫자를 세고 오른손 기록에 적는다. 이것이 검사자가 왼쪽 손으로 꼽은 전체 숫자가 된다. 구멍에서 핀을 뺀다. 오른손, 왼손 검사가 모두 마쳐진 후에, 검사자는 모든 핀을 제자리에 둔다. ▸양손◂ 다음 테스트는 양손을 함께 사용하여 한다. 다음과 같이 말하고 시작한다. “이 검사는 동시에 양손을 사용합니다. 오른손으로 오른쪽 컵에 있는 핀을 집는 동안, 왼 손으로 왼쪽 컵에 있는 핀을 집고, 위에서 아래로 꼽습니다. 양쪽 다 위에서 아래로 합니 다.(시범, 시범 후 핀을 제자리에 둔다.) 연습으로 양쪽 손으로 핀을 몇 개 꼽아보세요.” 3-4개 핀을 제대로 꼽으면: “그만, 연습했던 핀을 제자리에 두세요.” “제가 ‘시작’ 이라고 하면 양손으로 할 수 있는 한 핀을 많이 꼽으세요. 맨 위에 있는 구 멍부터 밑으로 꼽고 제가 ‘그만’이라고 할 때까지 빨리 해 보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시작’ 이라고 말 한 때부터 30초 준다. ‘그만’ 쌍으로 꼽힌 핀의 수를 기록한다. 검사자는 핀을 제자리에 둔다. ▸오른손 더하기 왼손 더하기 양손 (R+L+B)◂ 이 점수는 분리된 검사에 기초한 것이 아니고 위에 제시된 테스트의 결과 점수를 합산하여 얻는다. 이 점수는 오른손으로 옮긴 핀의 개수, 왼손으로 옮긴 핀의 개수, 양손으로 옮긴 핀의 쌍의 개수의 합이다. 양손으로 한 것도 합산해야 함을 기억하라. 첫 번째 세가지 검사결과 점수가 모이면, 합계를 “R+L+B"라고 적는다. 실제 테스트 동안에 이 점수를 기록할 필요는 없다. 양손 검사 후 바로 조립검사에 들어가도 좋다. ▸조립◂ 이 과정은 핀과 collar, washer를 조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동작을 시범으로 보여준다. “오른 손으로 오른쪽 컵에 있는 핀을 하나 집고 이것을 오른쪽 열 맨 위에 꼽는 동안 왼손으로 워셔를 집습니다. 핀을 꼽자마자 워셔를 핀 위에 떨어뜨리고 왼손으로 워셔를 꼽는 동안 오른손으로 collar를 집고, collar를 핀에 꼽는 동안 왼손으로 워셔를 집어 그 위에 떨어뜨립니다. 이 조립은 핀, 워셔, collar, 워셔로 구성되는데 왼손으로 첫 번째 조립의 마지막 워셔를 넣는 동안 오른손으로 핀을 집어 구 번째 조립을 시작합니다. 다음 구멍에 넣고, 왼손으로 워셔를 집어 떨어 뜨리고, 계속 그런식으로 해서 또 다른 조립을 완성시킵니다. 이제 연습으로 몇 개를 조립해 보세요.” 이 과정에서 강조할 것은 한 손은 핀, 한 손은 워셔, 한 손은 collar 그런식으로 양손이 항상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시험자가 핀-워셔-collar-워셔 조립과 같이 ‘양손이 번갈아서 하는’ 과정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4-5개의 완성품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검사자는 반드시 양손을 같이 움직여야 한다. 만약 못하면, 시험관은 좀 더 충분히 지시를 준다. 연습 후에 “그만, 이제 핀, collar, 워셔를 제자리에 두세요.” “제가 ‘시작’ 하면 가능한 한 많이 조립하는데, 오른쪽 구멍 맨 위부터 시작하세요. 제가 ‘그만’ 이라고 할 때까지 가능한 빨리 하세요.” “준비됐나요? 시작” ‘시작’ 이라고 말한 시간부터 정확히 1분을 준다. “그만” 조립한 개수를 세고 조립 칸에 기록한다. 1분 동안 조립된 부분의 개수이다. 만약 8세트가 조립됐다면 점수는 32. 4파트를 구성한 각각의 개수이다. 만약 6세트가 완성되고 일곱 번째의 첫 번째 핀과 워셔가 제자리에 있다면 점수는 24+2 즉 26이다. 조립된 점수가 기록되고 검사자가 핀,collar, 와셔를 제자리에 두면 검사세션이 끝난 것이다. * 주의 : 원판 Purdue Pegboard는 각각의 과정을 3번씩 시도한다. 테스트 각각의 테스트는 다음 것으로 넘어가기 전에 3번 시행된다. 예전의 board로 시행되던 연구에 관한 정상의 결과는 Lafayette Instrument Company의 Model 32107의 점수칸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Ⅲ. Result ▸60세 이하◂ 1. 다음 중 하나 이상 적용되면 뇌손상이다. ① 왼쪽 11개 이하 ② 오른쪽 13개 이하 ③ 양쪽 10개 이하 ④ 왼쪽이 오른쪽 보다 많으면 ⑤ 오른쪽이 왼쪽에다 3을 더한 것 보다 많으면 ⑥ 위의 사항에 해당되지 않으면 뇌손상 아님 2. Lesion ① 왼쪽이 오른쪽 보다 많으면 왼쪽 lesion ② 오른쪽이 왼쪽에다 3을 더한 것 보다 많으면 오른쪽 lesion ③ 뇌손상인데도 위의 ①,②가 적용되지 않으면 양측성 뇌손상 ▸60세 이상◂ 1. 다음중 하나 이상 적용되면 뇌손상이다. ① 왼쪽 10개 이하 ② 오른쪽 10개 이하 ③ 양쪽 8개 이하 ④ 왼쪽이 오른쪽 보다 많으면 ⑤ 오른쪽이 왼쪽에다 3을 더한 것 보다 많으면 ⑥ 위의 사항에 해당되지 않으면, 뇌손상 아님 2. Lesion ① 왼쪽이 오른쪽 보다 많으면 왼쪽 lesion ② 오른쪽이 왼쪽에다 3을 더한 것 보다 많으면 오른쪽 lesion ③ 뇌손상인데도 위의 ①,②가 적용되지 않으면 양측성 뇌손상
Grooved Pegboard Test 지시(instruction) 아래의 관리 지시(administrative instruction)과 나이 곡선(age curve)은 Roanld Trites 박사. Royal Ottawa 병원. Ottawa, Ontario, Canada에 의한 신경정신과 테스트 책자를 참고했다. 세 가지 종합 테스트는 Trites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를 참고했다. - 어른 : 15살 0개월과 그 이상 - 청년기 : 9살 0개월 - 14살 12개월 - 아이 : 5살 0개월 - 8살 12개월
해설(description) Grooved Pegboard는 교묘하게(손끝으로) 다루는 손재주 테스트이다. 이 유니트는 홈이 마구잡이로 있는 25개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한 면에 키(Key)를 가진 못(Peg)은 넣기 전에 구멍에 맞게 돌려야 한다. 이 테스트는 대부분의 모든 Pegboard보다 좀더 복잡한 시각-운동 공동작용을 요구한다.
테스트 지시(instruction to the test) pegboard는 대상자의 중간(mid-line)에 두고, board는 테이블의 모서리에 두고 못(Peg)정리함은 board의 바로 윗 쪽에 둔다. 검사자는 테스트를 설명한다. 이것은 pegboard이고 저것은 못(pegs)입니다. (검사자는 각각을 지적하고 못과 부속물들 중에서 하나를 집어서 보여준다.) 모든 못들은 똑같습니다. 못들은 둥근축과 네모난 축의 홈을 가지고 있고, boards에는 구멍이 있습니다. 당신은 board의 홈과 못의 홈이 일치했을 때 이와 같이 구멍 안으로 못을 밀어 넣습니다. (검사자는 상단 줄을 채우면서 보여줍니다.) (못들은 제거하고, 정리함으로 다시 갖다 둡니다.) 제가 “하세요”라고 말할 때, 여기에서 시작하고 못들을 board 안으로 당신이 할 수 있는 한 빨리 당신의 우세한 손을 사용합니다. 당신은 상단을 채웠던 것과 똑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줄을 채우세요. 다른 질문있으세요? 시작, 당신이 할 수 있는 한 빠르게 시작하세요.
추가지시(어른, 청년기) 오른손 시행시, 검사자는 못들을 대상자의 왼측에서 오른족의 위치에 두고, 왼손 시행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하도록 지시합니다. 우세한 손으로 처음 시행하고 다음에 비우세 한 손으로 시행하도록 합니다. 검사자의 대상자가 최대한 빨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필요하다면 서두르라고 대상자의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못들은 정확한 질서와 지시 내에서 board안에 접어넣어야만 합니다. 종종, 비우세 한손으로 시행할 때, 부분적으로 새로운 줄의 처음 구멍을 지적해줄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단지 하나의 못은 한번에 집어야만 합니다. 만약 대상자는 한 개 이상을 집었다면 즉시 말해야 합니다. 또한, 단지 하나의 손이 사용해야 합니다. 때때로, 대상자는 다른 손을 못 주위에 가져다 도움을 주고자 시도할 것입니다. 대상자는 손을 계속해서 무릎에 두도록 이야기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board는 흔들리지 않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심각한 운동 손상의 경우, 대상자는 시야만으로도 과제를 시행해야만 합니다. 대상자의 수행에 영향을 주는 어떤 요소라도 기록되어야 합니다. e.g. 아픈 손가락, 인대 등등 만약 못이 바닥으로 떨어진다면, 검사자는 시행하는 동안 그것을 집으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차라리, 정확하게 꽂은 못들중 하나를 빼서 사용하도록 합니다.(흔히, 처음 또는 두 번째 못)
추가지시(아이) 아동용 설명서, 필요한 도구, 지시와 점수해석은 어른 해석과 모든 면들이 다음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단지 pegbaord의 처음 두 번째 줄은 채워야만 총 10점이다. 연속 순서를 정확히 할 뿐만 아니라 바로 지적할 필요가 있다. 만약 아동이 틀린 순서대로 한다면(정확한 순서로 집어넣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10개 못들을 되는대로 집어넣는다.) 이 테스트는 비표준 관리를 따라 “D"를 주어야 한다.
점수(scoring) 기록, 초, 시간의 길이는 각각의 시행 시작마다 요구된다. 대상자가 과제를 시작해서 마지막 못을 집어넣을 때까지, 또는 그 테스트가 지속되지 못할 때마다. 시도는 5분후에 끝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려움을 묘사하고 점수는 불완전한 테스트를 지시하는 “A"를 줍니다. 두 번째 점수는 각각 시행동안 “구멍에 넣기”의 수이다. “구멍에 넣기”는 대상자가 시도한 시간에서부터 정리함 속의 못을 집어 구멍에 정확히 넣는 것을 말한다. 만약 한 개 이상의 못을 정리함에서 집어서 고의적으로 버린다면, 구멍에 넣은 것이 아니다. 만약 못을 집은 손을 바꿔가며 하면 테스트가 되지 않고, 이것을 기록한다. 그러나 이것은 한 번 이상일 경우, 점수는 비표준 평가를 따라 “D"를 줍니다. 세 번째 점수, 못의 수는 각각의 시도마다 구멍 안에 정확하기 들어간 것이다. 우세 손으로 한 번 과제를 수행하고, 그 후에 비우세손으로 한 번 과제를 실시한다. 각각의 손에 대해 세가지 점수는(총 시간, 총 구멍에 넣은 수와 board에 정확하게 꼽은 못의 수) 정확한 점수를 얻는데 사용된다.
해석(interpretation) Grooved Pegboard test를 개인적으로 선택할 때, 이상적인 방법은 부분적으로 새로이 고용한 피고용인들이 테스트 하는 것과 그것들의 세부적인 순서 수행(감독자의 신용도 또는 고용된 시간)점수와의 관련성이 그것의 타당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접근적 확인은 테스트 점수가 그것의 타당성을 수집하는 증거가 될 때까지 피고용인을 선택하는 데 테스트 점수들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테스트 점수들은 감독자나 일하는 사람의 평가 그리고, 직업의 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사람들에게는 난해하다. 다른 확인 과정 방법은 모든 현재 피고용인들을 테스트하고 관련된 점수 신용도 또는 세부순서 수행을 운영하는 것이다. (Anastasi 1982 pp 65-101). Grooved Pegboard test는 속도, 손가락의 민첩성과 손재주들을 요구하는 직업들과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다. 조립하고 기계를 조작하는 직업에 적당하다. 라파예타 기계 회사는 항상 다양한 산업 세팅 또는 학문적 연구에서 모을 수 있는 확인된 데이터에 흥미를 보여왔다. 물론, 이 테스트 점수는 의학적, 인지, 운동, 감각과 개인적 요소들의 값비싼 샘플 환경 내에서 단지 신경정신과적 실습에서 진단적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준비는 Mattews. Cleeland & Hopper (1970)가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MS)은 CNS 손상을 가진 “control"환자들보다 훨씬 늦다는 것을 발견했다. MS를 가진 환자들(N=30)은 평균 320.40 초(S.D.=176.98)인 반면 controls(N=30)는 평균 171.77초(S.D>=48.20)이다. 차이점이 확연하다. (t=5.13 , p. .01, r=.690). 24번 테스트 연구에서 그룹별 차이(p.6)상의 상당한 유용성은 Grooved Pegboard test, Static Steadiness Test, Maze Coordination Test 와 Measure of Finger Tapping speed에서 볼 수 있다.
연령에 따른 장악력과 손의 기민성 평가 가톡릭대학 의과대학 재활의학과 김윤태∙강세윤∙김형신∙신병순 1) 손기능 평가의 목적 : 손기능 장애의 정도,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동작의 제한, 작업능력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함 2) 손기능 평가의 이점 : 장애의 정도 뿐 아니라 치료의 효과 판정 및 예후측정, 직업적합성 여부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 3) 본 연구의 목적 : grip 및 pinch strength와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purdue pegboard 및 pennsylvania bi-manual worksample의 연령에 따른 정상평균치를 구하고 그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 4) 연구대상 : 상지 및 손기능에 자애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이학적 검사와 신경학적 검사상 이상소견이 없으며, 상지 관절구축이 없는 남녀 158명을 대상함. 연령에 따라 11~15세의 10대 초반, 16~19세의 10대 후반, 20~29세의 20대, 30~39세의 30대, 40~49세의 40대, 50~59세의 50대와 60세 이상군으로 분류. Handedness는 글씨쓰기 및 식사시 사용되는 손을 dominat hand로 정함. 5) 연구방법 : dominant hand, nonfdo-minant hand, both hands, assembly의 순으로 시행하여 점수를 구하였고, 측정과 평가는 숙련된 1인의 작업치료사가 3번 반복하여 시행하였으며 평균치를 구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PC SAS yersion 6.0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령군마다 각각의 측정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성별 및 handednessdp 따른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연령군간의 비교는 분산분석을 시행.
6) 결과 ① 기민성검사 * Purdue pegboard: 모든 연령군에서 domi-nant hand가 nondominant hand보다 의의있게 빨랐으며, 양손 수행 항목이 한손 수행 항목의 점수보다 그 값이 작았다. 10대 후반군보다 20대에서 감소했으며, 연령에 따라 점차 감소, 60세 이후에는 현저하게 감소, 남녀간에는 모든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전반적으로 점수가 약간 높은 경향을 띄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편마비환자의 일측 대뇌병변이 병변 동측 상지기증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2월달/대한재활학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혜원 고영진 강세윤 서선숙
◆서론: 편마비 환자들의 재활평가와 치료는 주로 마비측 즉 대뇌병변의 반대측에 촛점이 맞추어져 왔으며, 건측은 종종 간과되거나 마비측에 대한 기준점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시 마비측이 아닌 건측에서도 기능의 저하를 보이며 이로 인해 기능 회복의 지연을 보이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일측 대뇌병변이 있는 편마비 환자에서 파악력 및 기민성을 측정하여 병변 동측 상지기능에 영향이 있는지, 재활치료 시작시와 종결시 상지기능의 변화가 있는지, 또한 손상 받은 대뇌반구에 따라 기능저하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일측 대뇌병변 후 발생한 편마비 환자의 재활치료시 초기평가, 치료계획 및 예후 판정 등에 도움을 받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②재활치료 종결시 대뇌병변 동측 상지의 장악력, 파악력 및 기민성 검사는 우측 대뇌병변이 있는 남자 환자군의 장악력을 제외하고 재활치료 시작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소견을 보였다. ③손상받은 대뇌병변에 따른 파악력, 장악력 및 기민성의 저하정도는 겸자 파악력을 제회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편마비 환자에서 일특 대뇌병변이 병변 동측 상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장악력을 제회한 파악력 및 기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므로 초기 재활치료계획 수립시 대뇌병변 동측 상지기능에 대한 평가 및 치료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000년도 2월달/대한재활학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혜원 고영진 강세윤 서선숙 AJOT september / October 2000, Volume54 N umber 5 AJOT January / February 2002, Volume 56 Nu mber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