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상수행의 입장에서 명상의 개념과 분류
2024.10.01.(화)
허휴정, 한상빈, 박예나, 채정호. ‘정신과 임상에서 명상의 활용: 마음챙김 명상을 중심으로’ 407-408.
세계어원영어사전(An universal etymological English dictionary)에 의하면 명상(meditation)의 어원은 라틴어 meditatio,동사 meditari로 “곰곰이 생각한다”라는 의미이나 현재에는 주로 동양의 영적인 훈련들을 번역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명상(瞑想)의 한자어원을 통해 그 개념을 살펴보면, 눈을 감고 조용히 생각한다는 뜻과 잡념과 고정관념을 사라지게 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정신의학에서 사용되는 명상이란 욕구와 생각에 집중된 주의를 다른 곳, 즉 감각에 할당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욕구와생각에 압도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신의학에서 사용되는 명상이란 욕구-생각으로 가는 정신자원을 줄이고 감각으로 정신자원을 보내는 훈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훈련을 통해 욕구-생각이 줄거나 사라지고 감각이 분명한 상태를 명상 상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명상은 크게 집중 명상(concentrative) 및 알아차림 명상(awareness)의 두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마음챙김 명상은 보통 알아차림 명상에 속한다고 말한다. 이 두 가지 명상은 모두 집중과 알아차림의 방법을 이용하지만, 상대적으로 어느 것에 더 강조점을 두느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마음챙김 명상 역시 보통 집중 명상 혹은 집중 명상의 요소와 함께 수행되고 있다. 실제로 마음챙김 명상의 긍정적 효과의 상당 부분은 집중명상의 요소에서 온다. 집중 명상을 사마타(samatha) 수행이라고도 부르고, 통찰명상을 위빠사나 명상(vipassan˗a meditation) 혹은 마음챙김(mindfulness meditation), 또는 사념처(四念處) 수행이라고 부른다. 사념처 수행이라는 또 다른 이름에도 드러나듯이 마음챙김 명상의 대상은 신(身), 수(受), 심(心), 법(法)의 4가지이다. 신(身)은 몸을 통해 느껴지는 감각을 뜻하며, 수(受)는 감각 혹은 생각에 따른 느낌이고, 심(心)은 마음의 상태로서 현대적 개념으로는 정서에 가깝다고 보고, 법(法)은 일반적으로 정신적 대상 혹은 요소로 해석된다. 이와는 별개로 최근에 정신의학에 활용되기 시작한 자비명상이 있다. 자비명상은 통상적으로는 선한 마음을 증진시키고, 선하지 않은 마음을 줄이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① 집중 명상
통상적으로 알려진 명상은 집중 명상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집중 명상은 다른 것들을 제외한 단 하나의 감각 혹은 경험, 예를 들면 호흡, 이미지, 소리, 생각, 단어 혹은 문장, 감정에 집중하는 것이다. 보통은 호흡에 따라 나타나는 배의 움직임이나 코의 자극, 꽃이나 점 등의 시각 자극, 혹은 물소리나 만트라 등 청각 자극에 자신의 욕구나 생각을 개입시키지 않고 순수한 주의를 집중시키고자 한다. 만약, 자연스럽게 마음이 집중할 대상을 떠나게 된다면, 이를 알아차리고 차분하게 다시 주의를 물체로 가져온다.이를 훈련 동안 반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서 욕구나 생각이 멈춰진 고요한 의식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알아차림 명상
알아차림 명상은 현재 의식 속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알아차리는 것, 즉 마음챙김을 강조한다. 명상을 하는 중 내부 혹은 외부 자극에 의해 생각이 변화한다면, 의식의 영역에 떠오르는 그것이 무엇이든 직접적으로 그것을 되돌리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집중 명상과 차이가 있다. 즉, 알아차림이란 지금-여기에서 개인적 욕구나 생각을 개입시키지 않고 관찰의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특히, 마음챙김이란 욕구, 생각, 감정, 감각 등으로 구성된 의식 위에 떠오르는 것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떠돌아다니는 마음을 차분하게 하고, 생각을 명료하게 하며 자신과 관련된 집착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는 마음을 열어 치유하고 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③ 자비 명상
자애 혹은 자비 명상은 모든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친절로 충만한 정서적 상태를 만드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자비 명상은 마음챙김 명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마음챙김 명상을 통하여 자비 명상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마음챙김 명상이 신체 혹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재의 경험에 무판단적인 태도로 알아차림을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자비 명상은 모든 존재가 경험하는 고통이 완화되는 것을 알아차리고, 모든 존재의 안녕을 생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자비 명상은 어떤 존재를 위한 특정한 소망을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누군가가 적개심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누군가가 정신적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누군가가 신체적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누군가가 스스로를 행복한 마음으로 잘 돌볼 수 있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연습은 처음에는 자기에 대한 자비로부터 시작하여, 타인에 대한 자비로 확대시켜나갈 수 있다. 자비 명상은 긍정적 정서를 배양하고, 자기 비난을 줄여나가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며, 이러한근거를 토대로 임상 상황에서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형태의 정서조절장애 환자들에서 부정적 정서를 가라 앉히고 긍정적 정서를 키워나가는 데 시도되고 있다.
첫댓글 토마토님, 과제 #1을 정리하면서, "세계어원영어사전" 까지 보면서, 그 개념을 잘 정리해 주었으며,
*****명상 수행의 여려가지를 잘 분류하면서 과제를 잘 마무리 해 주었습니다.
***점차 명상을 배우고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