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신학교는 1946년 9월 20일 일제말엽 일본정부의 신사참배강요에 항거해 오다가 투옥된 |
|
신앙의 지도자 고 주남선 목사, 한상동 목사등 옥중 신앙 동지들의 특별기도의 결실로 부산에서 |
|
개교한 학교이다. |
|
1961년 12월 28일 서울의 총회신학교(합동측)와 병합하였으나, 1962년 10월 17일 교단의 재분열로 |
|
다시 부산에서 복교하였다. |
|
1964년 9월 총회에서 총회직영신학교로 가결되었으며, 계속 발전해오다가 1970년 12월 30일 |
|
고신대학 인가와 함께 폐교조치되었다. |
|
그러나 1973년 고신대 교수의 논문 "신학적으로 본 법의 적용문제"가 성경에 위배되고(고전6:1-11) |
|
1974년 제24회 총회의 "신자간의 불신법정고소가 가하다"는 결의가 신학적인 변질(교리)과 생활의 |
|
불순(교회행정)을 초래하므로서 반고소 고려측 총회가 태동되고, 1976년 3월 9일 서울에서 |
|
고려신학교를 재복교하였다. |
|
1977년 2월 19일 고려신학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고려) 직영신학교로서 고려신학교 |
|
전졸업년도를 계승, 제31회 졸업식을 거행한 이래 지금까지 다수의 훌륭한 목회자를 양성하기에 |
|
이르렀다. |
|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로 삼각산 제일기도원, 서울 동도교회 교육관 및 신사동 376의 2번지로 |
|
이전하여 수업하다가 1983년 9월 6일 학교 교사를 서울 관악구 신림동 244-144에 신축하여 약 7년간 |
|
성장 발전하였다. |
|
마침내 하나님은 고려신학교 아카데미 캠퍼스를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268-18번지에 |
|
건립하도록 역사하시었다. |
|
1989년 7월 17일 기공 예배를 드린후 1991년 6월 20일 준공감사예배를 드림으로 참다운 신학 교육의 |
|
장을 펼치게 되었다. |
|
하나님의 축복으로 자유로가 개통되고 명실공히 고려신학교 아카데미 캠퍼스는 통일의 길목에 |
|
위치하게 되었으며, 경건과 학문의 신학교육이 비상의 나래를 펴고 있다. |
|
도서관의 증축과 함께 21세기의 정보화 사회에 성경적 기독교 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할 참 목회자 |
|
양성을 위해 밤낮으로 캠퍼스가 가동되고 있다. |
|
1996년 9월 19-20일에는 고려신학교 개교 50주년 복교 20주년 기념행사를 열고 50년의 감사와 |
|
새로운 50년을 서원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