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天子七日而殯(천자칠일이빈) : 천자는 사후 7일에 설빈하고
七月而葬(칠월이장) : 7월에 장사하며
諸侯五日而殯(제후오일이빈) : 제후는 사후 5일에 설빈하여
五月而葬(오월이장) : 5월에 장사하고
大夫士庶人三日而殯(대부사서인삼일이빈) : 대부·사·서인은 사후 3일에 설빈하며
三月而葬(삼월이장) : 3월에 장사한다
三年之喪自天子達(삼년지상자천자달) : 3년의 상을 지키는 일은 천자부터 서인까지 통용한다
庶人縣封(서인현봉) : 서인은 줄을 달아 하관하며
葬不爲雨止(장불위우지) : 장사를 비 때문에 중지하지 않으며
不封(불봉) : 봉분을 만들지 않으며
不樹(불수) : 묘역에 나무도 심지 않으며
喪不貳事(상불이사) : 상중에는 거상하는 일 이외의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17>천
自天子達於庶人(자천자달어서인) : 자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喪從死者(상종사자) : 상례는 죽은 자의 신분에 좇고
祭從生者(제종생자) : 제례는 산 사람의 신분에 좇는다
支子不祭(지자불제) : 지자는 세사를 받들지 않는다
<18>
天子七廟(천자칠묘) : 천자는 사당에 7대의 신주를 모신다
三昭(삼소) : 소에 3위
三穆(삼목) : 목에 3위이고
與大祖之廟而七(여대조지묘이칠) : 태조의 신주와 함께하여 모두 7위이다
諸侯五廟(제후오묘) : 제후는 사당에 5대의 신주를 모신다
二昭(이소) : 소에 2위
二穆(이목) : 목에 2위이고
與大祖之廟而五(여대조지묘이오) : 태조의 신주와 합계하여 모두 5위이다
大夫三廟(대부삼묘) : 대부는 사당에 3대의 신주를 모신다
一昭(일소) : 소에 1위
一穆(일목) : 목에 1위이고
與大祖之廟而三(여대조지묘이삼) : 태조의 신주와 함께 3위이다
士一廟(사일묘) : 사는 묘이고
庶人祭於寢(서인제어침) : 서인은 침에서 제사한다
天子諸侯宗廟之祭(천자제후종묘지제) : 천자와 제후의 종묘의 제사는
春曰礿(춘왈약) : 봄의 제향을 ‘약’이라고 하고
夏曰禘(하왈체) : 여름의 제향을 ‘제’라고 하며
秋曰嘗(추왈상) : 가을 제향을 ‘상’이라라고 하고
冬曰烝(동왈증) : 겨울 제향을 ‘증’이라고 한다
天子祭天地(천자제천지) : 천자는 천지에 제사하고
諸侯祭社稷(제후제사직) : 제후는 사직에 제사하며
大夫祭五祀(대부제오사) : 대부는 5사에 제사한다
天子祭天下名山大川(천자제천하명산대천) : 천자는 천하의 명산대천에 제사하는데
五嶽視三公(오악시삼공) : 5악의 제사는 3공의 경우에 비교하고
四瀆視諸侯(사독시제후) : 4독의 제사는 제후의 경우에 비교한다
諸侯祭名山大川之在其地者(제후제명산대천지재기지자) : 제후는 명산대천으로서 자기의 영지 안에 있는 것을 제사한다
天子諸侯祭因國之在其地而無主後者(천자제후제인국지재기지이무주후자) : 천자와 제후는 자기의 땅 안에 있는 인국의 주후자 없는 자를 제사한다
天子犆礿(천자직약) : 천자가 봄에 거행하는 약제는 특제로 하고
祫禘(협체) : 제는 합제로 하며
祫嘗(협상) : 상제도 합제로 하며
祫烝(협증) : 증제도 합제로 하며
諸侯礿則不禘(제후약칙불체) : 제후는 약제를 지내면 제제는 거행하지 않으며
禘則不嘗(체칙불상) : 제제를 지내면 상제는 거행하지 않고
嘗則不烝(상칙불증) : 상제를 지내면 증제는 거행하지 않으며
烝則不礿(증칙불약) : 증제를 지내면 약제는 거행하지 않는다
諸侯礿犆(제후약직) : 제후는 약제를 특제로 거행하며
禘一犆一祫(체일직일협) : 제제는 한 해는 특제로 한 해는 합제로 거행하고 상제·증제는 모두 합제로 거행한다
<19>
天子社稷皆大牢(천자사직개태뢰) : 천자는 사직의 제사에 모두 태뢰를 희생으로 쓴다
諸侯社稷皆少牢(제후사직개소뢰) : 제후는 사직의 제사에 모두 소뢰를 쓴다
大夫士宗廟之祭(대부사종묘지제) : 대부와 사는 종묘의 제사를
有田則祭(유전칙제) : 밭이 있으면 제사를 지내고
無田則薦(무전칙천) : 밭이 없으면 천신한다
庶人春薦韭(서인춘천구) : 서인은 봄에는 부추를 천신하고
夏薦麥(하천맥) : 여름에는 보리를 천신하며
秋薦黍(추천서) : 가을에는 기장을 천신하고
冬薦稻(동천도) : 겨울에는 벼를 천신한다
韭以卵(구이란) : 부추를 천신할 때에는 알을 곁들여 쓰고
麥以魚(맥이어) : 보리는 물고기를 곁들이며
黍以豚(서이돈) : 기장에는 돼지를 곁들이고
稻以鴈(도이안) : 벼에는 기러기를 곁들인다
祭天地之牛角繭栗(제천지지우각견율) : 천지의 제사에 쓰는 소는 뿔이 고치나 밤알 만큼 돋은 송아지늘 쓰며
宗廟之牛角握(종묘지우각악) : 종묘의 제사에 쓰는 소는 뿔이 한 줄쯤 되는 어린 소를 쓰고
賓客之牛角尺(빈객지우각척) : 빈객을 접대하는 소는 뿔이 한 자씩 자란 큰 소를 쓴다
諸侯無故不殺牛(제후무고불살우) : 제후는 까닭 없이 소을 잡지 않으며
大夫無故不殺羊(대부무고불살양) : 대부는 까닭 없이 양을 잡지 않고
士無故不殺犬豕(사무고불살견시) : 사는 까닭 없이 개·돼지를 잡지 않으며
庶人無故不食珍(서인무고불식진) : 서인은 까닭 없이 진미를 먹지 않는다
庶羞不踰牲(서수불유생) : 여러 가지 맛있는 음식을 마련할 때에 희생을 넘어서는 안되며
燕衣不踰祭服(연의불유제복) : 연회의 옷이 제사의 옷보다 더 좋아서는 안되며
寢不踰廟(침불유묘) : 거실이 사당보다 더 좋아서는 안된다
祭器不假(제기불가) : 대부는 제기를 남에게서 빌려 쓰지 않으며
祭器未成(제기미성) : 제기를 만들기 전에는
不造燕器(부조연기) : 연거안체의 기물을 만들지 않는다
<20>
古者公田藉而不稅(고자공전자이불세) : 옛날에는 다만 공전을 백성의 힘에 의지하여 경작할 뿐이고 그 사전의 조세는 받지 않았다
市廛而不稅(시전이불세) : 시장에는 그 점포에 대하여서만 과세하고 그 화물에 대하여는 세금을 받지 않았다
關譏而不征(관기이불정) : 관소에서는 수상한 인물을 기차라할 뿐이고 그곳을 왕래하는 화물에 대해서는 세를 징수하지 않았다
林麓川澤以時入而不禁(림록천택이시입이불금) : 산림·천택의 산물을 채취하는 일은 비록 일정한 시기가 있으나 그 시기가 지나면 백성들과 함께 그 이를 취하고 금지하지 않았다
夫圭田無征(부규전무정) : 그리고 규전에 대하여는 과세하지 않았다
用民之力歲不過三日(용민지력세불과삼일) : 백성의 노력을 부역시키는 일은 1면에 3일을 넘지 못하여
田里不粥(전리불죽) : 전리는 공가에서 받은 것이니 팔 수 없으며
墓地不請(묘지불청) : 묘지는 남이 달라고 청할 수도 없고
司空執度(사공집도) : 사공이 자를 잡고
度地居民(탁지거민) : 땅을 측량하여 백성을 살게 한다
山川沮澤(산천저택) : 산과 내와 저습지와 소택지대의 건조하고 저습하고 춥고 따뜻한 것을 살펴서
時四時(시사시) : 그 4시의 기후에 맞추어 살게 하며
量地遠近(량지원근) : 땅의 멀고 가까운 것을 참작하여
興事任力(흥사임력) : 일에 따라 부역을 시킨다
凡使民(범사민) : 무릇 백성을 사역함에 있어서는
任老者之事(임노자지사) : 힘이 적게 드는 늙은이의 일을 맡기고
食壯者之食(식장자지식) : 먹이는 것은 장년의 음식을 먹인다
<21>
凡居民材(범거민재) : 무릇 백성의 일용필수물을 수요에 대비하는 일은
必因天地寒煖燥濕(필인천지한난조습) : 반드시 천지의 춥고 다뜻함과 간조하고 저습함과
廣谷大川異制(광곡대천이제) : 넓은 골짜기와 큰 하천에 따라 그 제도를 달리한다
民生其間者異俗(민생기간자이속) : 그 사이에 살고 있는 백성들은 풍속이 다르며
剛柔輕重遲速異齊(강유경중지속이제) : 그 성질의 강유와 경중과 저속의 가지런하지 않으며
五味異和(오미이화) : 오미의 조화가 다르고
器械異制(기계이제) : 기계의 제작이 다르며
衣服異宜(의복이의) : 의복의 마땅함이 다르다
修其敎(수기교) : 그러니 마땅히 그들의 교화를 닦을 뿐
不易其俗(불역기속) : 그 습속을 바꾸지 않으며
齊其政(제기정) : 그들의 정치를 정제할 뿐
不易其宜(불역기의) : 그 마땅한 바를 바꾸지 말아야 한다
中國戎夷五方之民皆有性也(중국융이오방지민개유성야) : 중국과 사방의 오랑캐 그 오방의 백성들은 각기 특성이 있어서
不可推移(불가추이) : 그것을 미루어어 옮길 수는 없다
東方曰夷(동방왈이) : 동방의 오랑캐들을 ‘이’라고 한다
被髮文身(피발문신) : 그들은 머리털을 풀어헤치고 몸에 문신을 한다
有不火食者矣(유불화식자의) : 화식을 먹지 않는 자도 있다
南方曰蠻(남방왈만) : 남방의 오랑캐를 ‘만’이라고 한다
雕題交趾(조제교지) : 그들은 이마를 새겨서 단청을 그리고 발가락이 서로 향하였으며
有不火食者矣(유불화식자의) : 화식을 먹지 않는 자도 있다
西方曰戎(서방왈융) : 서방의 오랑캐를 ‘융’이라고 한다
被髮衣皮(피발의피) : 그들은 머리털을 풀어페치고 가죽옷을 입르며
有不粒食者矣(유불립식자의) : 곡식을 먹지 않는 자도 있다
北方曰狄(북방왈적) : 북방의 오랑캐를 ‘적’이라고 한다
衣羽毛穴居(의우모혈거) : 그들은 짐승털 옷을 입고 굴에 살며
有不粒食者矣(유불립식자의) : 곡식을 먹지 않는 자도 있다
中國夷蠻戎狄(중국이만융적) : 중국과 동이·서융·남만·북적이
皆有安居和味宜服利用備器(개유안거화미의복리용비기) : 다 그들 나름대로 편안히 사는 집이 있고 조화된 맛있는 음식이 있고 마땅한 의복이 있고 이롭게 쓰는 것이 있고 갖추어진 기물이 있다
五方之民(오방지민) : 5방의 백성이
言語不通(언어불통) : 말이 서로 통하지 않으며
嗜欲不同(기욕불동) : 기호와 욕망이 서로 같지 않으니
達其志(달기지) : 그들이 그 뜻을 통하고
通其欲(통기욕) : 그 욕망을 통해야 한다
東方曰寄(동방왈기) : 그 통역을 동방에서는 ‘기’라고 하고
南方曰象(남방왈상) : 남방에서는 ‘상’이라고 하며
西方曰狄鞮(서방왈적제) : 서방에서는 ‘적제’라고 하고
北方曰譯(북방왈역) : 북방에서는 ‘역’이라고 한다
凡居民(범거민) : 무릇 백성을 살게 하는 일은
量地以制邑(량지이제읍) : 땅을 측량하여 읍을 만들고
度地以居民(도지이거민) : 땅을 나눠주어 백성을 살게 한다
地邑民居必參相得也(지읍민거필삼상득야) : 땅과 읍과 백성의 사는 것은 반드시 그 상호관계를 참작하여 서로 마땅하게 해야 한다
無曠土(무광토) : 황폐한 땅이 없고
無游民(무유민) : 놀고 먹는 백성이 없으며
食節事時(식절사시) : 먹는 것을 제때에 먹고 일하는 것을 제때에 하면
民咸安其居(민함안기거) : 백성들은 다 각자의 사는 곳을 편안하게 여기며
樂事勸功(락사권공) : 일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부지런히 하여 공을 세우려고 힘쓰며
尊君親上(존군친상) : 임금을 높이고 웃사람을 친애하게 된다
然後興學(연후흥학) : 그렇게 한 뒤에 학교를 일으킨다
<22>
司徒修六禮以節民性(사도수육례이절민성) : 사도가 6예를 닦아서 백성의 성실을 절도 있게 하며
明七敎以興民德(명칠교이흥민덕) : 7교를 밝혀서 백성의 덕성을 함양하고
齊八政以防淫(제팔정이방음) : 8정을 정제하여 지나침을 막으며
一道德以同俗(일도덕이동속) : 도덕을 하나로 하여 풍속을 같게 만들고
養耆老以致孝(양기노이치효) : 기로들을 기름으로써 효도를 이루게 하며
恤孤獨以逮不足(휼고독이체불족) : 고아와 독신의 늙은이를 구휼하여 부족한 데 미치게 하고
上賢以崇德(상현이숭덕) : 어진이를 높여서 덕을 숭상하며
簡不肖以絀惡(간불초이출악) : 불초한 자를 가려서 악인을 내친다
命鄕簡不帥敎者以告(명향간불수교자이고) : 향에 명하여 가르칢에 쫓지 않는 자를 가려서 보고하게 하고
耆老皆朝于庠(기노개조우상) : 기로들이 다 향학에 모여서
元日習射上功(원일습사상공) : 선택한 좋은 날에 사례를 익히되 많이 적중시킨 자를 상등으로 하고
習鄕上齒(습향상치) : 향음주례를 익히되 나이 많은 이를 윗자리에 모신다
大司徒帥國之俊士與執事焉(대사도수국지준사여집사언) : 그렇게 하면 태사도가 나라의 준사들을 거느리고 가서 집사와 함께 예사를 집행한다
不變(불변) : 감화하여 고치는 일이 없다면
命國之右鄕簡不帥敎者移之左(명국지우향간불수교자이지좌) : 나라의 우향에 명령하여 가르침에 좇지 않는 자를 가려서 좌향으로 옮기고
命國之左鄕簡不帥敎者移之右(명국지좌향간불수교자이지우) : 나라의 좌향에 명하여 그곳의 가르침에 좇지 않는 자를 가려서 우향에 옮기게 한다
如初禮(여초례) : 그리하여 처음에 거행한 것과 같은 향사례·향음주례를 다시 거행한다
不變(불변) : 변경하지 않으면
移之郊(이지교) : 그를 교로 옮겨서
如初禮(여초례) : 처음과 같은 예를 행한다
不變(불변) : 그래도 고치지 않으면
移之遂(이지수) : 수에 옮겨서
如初禮(여초례) : 처음과 같은 예를 행한다
不變(불변) : 그래도 고치지 않으면
屛之遠方(병지원방) : 먼 곳으로 내쫓아서
終身不齒(종신불치) : 종신토록 취택하지 않는다
命鄕論秀士(명향논수사) : 향에 명하여 뛰어난 선비를 논평·선정하여
升之司徒(승지사도) : 사도에게 천거하게 한다
曰選士(왈선사) : 그 천거된 사람을 ‘선사’라고 한다
司徒論選士之秀者(사도논선사지수자) : 사도가 그 추천된 선사들 중에서 우수한 자를 논정하여
而升之學曰俊士(이승지학왈준사) : 학에 추천하며 그 추천된 자를 ‘준사’라고 일컫는다
升於司徒者不征於鄕(승어사도자불정어향) : 사도에게 추천된 자는 향의 요역이 면제된다
升於學者不征於司徒(승어학자불정어사도) : 학에 추천되고 사도에게 추천된 자로 향역이 면제된 자를
曰造士(왈조사) : 조사라고 한다
樂正崇四術(락정숭사술) : 악정이 4술을 숭상하고
立四敎(립사교) : 4교를 세우며
順先王詩書禮樂以造士(순선왕시서례락이조사) : 선왕의 시서예악에 따라 조사를 가르친다
春秋敎以禮樂(춘추교이례락) : 봄과 가을에는 예락을 가르치고
冬夏敎以詩書(동하교이시서) : 겨울과 여름에는 시서를 가르친다
王大子王子(왕대자왕자) : 왕태자와 왕자와
羣后之大子(군후지대자) : 여러 제후들의 태자와
卿大夫元士之適子(경대부원사지적자) : 경·대부·원사의 적자와
國之俊選(국지준선) : 나라의 준사·선사들이
皆造焉(개조언) : 다 취학한다
凡入學以齒(범입학이치) : 모든 입학은 다 나이 순서로써 한다
將出學(장출학) : 장차 학에서 나오게 되었을 때에
小胥大胥小樂正簡不帥敎者(소서대서소락정간불수교자) : 소서와 대서와 소악정이 의논하여 가르침에 쫓지 않은 자를 가려내서
以告于大樂正(이고우대락정) : 대악정에게 보고하면
大樂正以告于王(대락정이고우왕) : 대악정은 그것을 왕에게 보고한다
王命三公九卿大夫元士皆入學(왕명삼공구경대부원사개입학) : 왕은 3공·9경·대부·원사에게 명하여 다 입학하게 한다
不變(불변) : 그리고 고치지 않으면
王親視學(왕친시학) : 왕이 친히 학에 나아가 살펴본다
不變(불변) : 그래도 변하지 않으면
王三日不擧(왕삼일불거) : 왕이 3일 동안 성찬을 들지 않고
屛之遠方(병지원방) : 그들을 먼 변방으로 내친다
西方曰棘(서방왈극) : 서방에 보내는 것을 ‘극’이라고 한다
東方曰寄(동방왈기) : 동방으로 보내는 것을 ‘기’라고 한다
終身不齒(종신불치) : 종신토록 추종하지 않는다
大樂正論造士之秀者(대락정논조사지수자) : 대악정이 조사의 뛰어난 자를 평정하여
以告于王(이고우왕) : 왕에게 보고하고
而升諸司馬(이승제사마) : 사마에게 추천한다
曰進士(왈진사) : 그를 진사라고 한다
<23>
司馬辨論官材(사마변논관재) : 사마가 관리로 등용할 만한 인재를 변론한다
論進士之賢者(논진사지현자) : 진사의 어진 자를 논평하여
以告於王而定其論(이고어왕이정기논) : 왕에게 보고하여서 그에 논평의 가부를 논정한다
論定然後官之(논정연후관지) : 논의가 결정된 뒤에 관직을 맡기고
任官然後爵之(임관연후작지) : 관직을 맡긴 뒤에 작위를 주며
位定然後祿之(위정연후록지) : 작위가 정한 뒤에 녹을 준다
大夫廢其事(대부폐기사) : 대부가 그 맡은 일을 폐하면
終身不仕(종신불사) : 그 몸이 죽을 때까지 출사시키지 않으며
死以士禮葬之(사이사례장지) : 죽으면 사의 예로서 장사한다
有發則命大司徒敎士以車甲(유발칙명대사도교사이차갑) : 군대를 출동시킬 일이 발생하면 대사도에게 명하여 사에게 수레를 달리고 병갑을 사용하는 법을 가르치게 한다
凡執技論力(범집기논력) : 모든 기능을 가진 자는 그의 실력의 우열을 논평하여
適四方臝股肱決射御(적사방라고굉결사어) : 사방으로 나가게 한다 그들은 팔·다리를 걷어붙이고 사어의 승부를 결행한다
凡執技以事上者(범집기이사상자) : 모든 기능을 가지고 위를 섬기는 자는
祝史射御醫卜及百工(축사사어의복급백공) : 축·사·사·어·의·복과 모든 공장들이다
凡執技以事上者不貳事(범집기이사상자불이사) : 무릇 기능을 가지고 위를 섬기고 있는 자들은 다른 일을 맡지 않으며
不移官(불이관) : 벼슬을 옮기지도 않으며
出鄕不與士齒(출향불여사치) : 본향에 나가서는 사와 추종하지 않는다
仕於家者出鄕不與士齒(사어가자출향불여사치) : 대부의 집에서 벼슬하는 자도 향에 나가서 사와 추종하지 않는다
<24>
司寇正刑明辟以聽獄訟(사구정형명벽이청옥송) : 사구가 형벌을 바르게 하고 죄를 밝혀서 옥송을 처리하는 데는
必三刺(필삼자) : 반드시 세 번 물어서 처단한다
有旨無簡不聽(유지무간불청) : 만약 범죄의 의사는 있었으나 범행의 실천이 없는 것이면 유죄로 처리하지 않는다
附從輕(부종경) : 처벌하려면 가벼운 죄에 좇고
赦從重(사종중) : 놓아 주려면 비록 무거운 죄의 협의가 있을지라도 용서한다
凡制五刑(범제오형) : 무릇 다섯 가지의 형벌을 처단할 때에는
必卽天論(필즉천논) : 반드시 천리에 좇아야 한다
郵罰麗於事(우벌려어사) : 책벌은 마땅히 그 사건에 따라서 시행되어야 한다
凡聽五刑之訟(범청오형지송) : 무릇 5형의 옥사를 처리할 때에는
必原父子之親(필원부자지친) : 반드시 부자유친의 윤리에 근본을 두고
立君臣之義(립군신지의) : 군신유의의 도리에 입각하여
以權之(이권지) : 죄를 저울질하여 알맞게 처리하며
意論輕重之序(의논경중지서) : 죄의 경중에 따르되
愼測淺深之量(신측천심지량) : 깊고 얕은 양을 신중히 헤아려서
以別之(이별지) : 형량을 구별해야 한다
悉其聰明(실기총명) : 총명을 다하고
致其忠愛(치기충애) : 충심과 애정을 기울여
以盡之(이진지) : 정상을 남김없이 알아야 한다
疑獄(의옥) : 의심스러운 옥사는
汜與衆共之(사여중공지) : 널리 여러 사람들과 함께 의논해야 한다
衆疑(중의) : 여러 사람들이 죄를 의심하거든
赦之(사지) : 놓아주되
必察小大之比以成之(필찰소대지비이성지) : 반드시 경중을 옛날의 판결례를 살펴서 시행한다
成獄辭(성옥사) : 옥사가 이루어지면
史以獄成告於正(사이옥성고어정) : 문서를 맡은 관리가 옥정에게 보고한다
正聽之(정청지) : 옥정이 듣고
正以獄成告于大司寇(정이옥성고우대사구) : 옥사가 성립되었다는 것을 대사구에게 보고한다
大司寇聽之棘木之下(대사구청지극목지하) : 대사구는 그것을 극목의 아래에서 살펴보고
大司寇以獄之成告於王(대사구이옥지성고어왕) : 대사구는 옥사가 성립된 것을 왕에게 보고 한다
王命三公參聽之(왕명삼공삼청지) : 왕은 3공에게 명령하여 차명해 듣게 하고
三公以獄之成告於王(삼공이옥지성고어왕) : 3공은 옥사가 성립된 것을 다시 왕에게 고한다
王三又(왕삼우) : 왕은 세 번 용서하라고 한다
然後制刑(연후제형) : 그런 뒤에 형벌을 단행한다
凡作刑罰(범작형벌) : 무릇 형과 벌을 규정하는 법을 제정할 때에는 가
輕無赦(경무사) : 벼운 죄라도 용서하지 않는다
刑者(형자) : 형이란 것은
侀也(형야) : 형의 뜻이니
侀者(형자) : 형은
成也(성야) : 이루는 것이다
一成而不可變(일성이불가변) : 형벌이란 것은 한 번 성립되면 변하지 못한다
故君子盡心焉(고군자진심언) : 러므로 군자는 마음을 극진히 기울이는 것이다
析言破律(석언파율) : 그 언사를 번복하고 법률을 파괴하며
亂名改作(란명개작) : 명물을 변란하고 제도를 변개하며
執左道以亂政殺(집좌도이란정살) : 이단사도를 가지고 정사를 어지럽게 하는 자는 죽인다
作淫聲異服奇技奇器以疑衆殺(작음성이복기기기기이의중살) : 음란한 음악과 이상한 의복과 기이한 잡기와 진기한 기물을 만들어서 여러 사람을 의혹하게 만든 자는 죽인다
行僞而堅(행위이견) : 허위를 행하나 견고하여 깨뜨릴 수 없으며
言僞而辯(언위이변) : 허위를 말하면서도 변명하여 굽히지 않으며
學非而博(학비이박) : 그 학문이 정도가 아니건만 지식이 박흡하고
順非而澤(순비이택) : 잘못을 아름답게 꾸며서 그 말이 유창하고 윤택하여 막힘이 없어서
以疑衆殺(이의중살) : 여러 사람들을 의혹하게 만드는 자는 죽인다
假於鬼神時日(가어귀신시일) : 귀신 시일의 길흉·복서에 가탁하여
卜筮以疑衆殺(복서이의중살) : 여러 사람들을 의혹하게 하는 자는 죽인다
此四誅者不以聽(차사주자불이청) : 이 4가지의 죄로써 죽여야 할 자에 대하여는 다시 심청하지 않는다
凡執禁以齊衆(범집금이제중) : 무릇 금령을 시행하는 것은 여러 사람을 가지런하게 하기 위함이다
不赦過(불사과) : 그러므로 비록 과실인 경우에도 용서하지 않는다
有圭璧金璋(유규벽금장) : 규벽과 금의 장식이 있는 구슬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시자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命服命車(명복명차) : 명복·명거를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宗廟之器(종묘지기) : 종묘의 기물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犧牲不粥於市(희생불죽어시) : 희생을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戎器不粥於市(융기불죽어시) : 병기를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된다
用器不中度(용기불중도) : 일용의 기물이 척도에 맞지 않는 것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 팔아서는 않되며
兵車不中度(병차불중도) : 병거로서 척도에 맞지 않는 것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시장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布帛精麤不中數(포백정추불중수) : 포백의 곱고 거칠음이 맞지 않고
幅廣狹不中量(폭광협불중량) : 폭의 넓고 좁음이 양에 맞지 않는 것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 팔아서는 안되며
姦色亂正色(간색란정색) : 간색이 정색을 어지럽게 만드는 물건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 팔아서는 안된다
錦文珠玉成器(금문주옥성기) : 금문·주옥과 아름답게 만든 기물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되며
衣服飮食(의복음식) : 의복·음식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된다
五穀不時(오곡불시) : 5곡의 제철이 아닌 것과
果實未孰(과실미숙) : 과실의 익지 않은 것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된다
木不中伐(목불중벌) : 벌체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때에 벤 나무를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 팔아서는 안되며
禽獸魚鼈不中殺(금수어별불중살) : 죽이기에 적당하지 않은 때에 잡은 금수어별을
不粥於市(불죽어시) : 저자에서 팔아서는 안된다
關執禁以譏(관집금이기) : 관소에서는 금령을 집행하여 기찰을 행하고
禁異服(금이복) : 이상한 의복을 금하며
識異言(지이언) : 이상한 언어를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