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과 삼처전심(三處傳心)
부처님은 평소 난행 고행을 하면서 수행정진한 두타제일(頭陀第一) 마하가섭을 귀중히 생각하면서 열반에 들 때 까지 세 번에 걸쳐서 부처님의 마음을 전하였으니, 이를 두고 ‘삼처전심(三處傳心)’이라고 한다.
첫째, 다자탑 전분좌 (多子塔 前分坐)
부처님이 어느 날, 사위국 급고독원에 있는 다자탑 앞에서 설법을 하는데, 교화를 나갔다 돌아온 가섭존자가 자리가 없어 서성이고 있었다. 그때 부처님은 가섭존자를 부르더니 부처님이 앉으신 자리의 절반을 내어주며 앉게 하였다. 이것이 첫번째로 마음을 전한 것이라 한다.
둘째, 영산회상(靈山會上) 염화미소(拈花微笑)
부처님이 영산에서 설법을 하시다가 갑자기 꽃 한송이를 집어 들어 묵묵히 대중에게 보였다. 대중은 부처님의 의중을 몰라 어리둥절한 눈으로 바라만 볼 뿐인데, 가섭존자만이 부처님의 눈을 보며 빙그레 미소 지었다. 그때 부처님은 대중을 향해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에게 정법안장(正法眼藏)과 열반묘심(涅槃妙心)이 있으니,
실상은 상이 없는 미묘한 법문이라. 마하가섭에게 부촉하노라.”
세째, 사라쌍수하(沙羅雙樹下) 곽시쌍부(郭示雙趺)
부처님이 ‘구시나가라’에서 열반에 들 때, 멀리 교화 나갔던 가섭은 부처님의 열반을 지켜볼 수가 없었다. 가섭이 늦게서야 소식을 듣고 울며 달려왔을 때는 이미 부처님의 유체는 입관(入棺)을 마친 뒤였다. 가섭이 제자로써 부처님의 열반을 지켜보지 못한 허물을 외치며 애통히 울고 있을 때, 관속의 부처님의 두 발을 관 밖으로 내놓으며 광명을 놓았다는 것이다.
선종에서는 이들 ‘삼처전심’을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유일한 근거라 하여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청허(淸虛) 선사는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 “세존이 삼처전심한 것이 선지(禪旨)가 되고, 일대소설이 교문(敎門)이 되었다.”고 선언하였다.
교외별전은 선종(禪宗)에서 말이나 문자를 쓰지 않고, 따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진리를 전하는 일을 말한다. 이는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과 함께 선(禪)의 입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이다.
[출처] 부처님과 삼처전심(三處傳心)|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