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 왕이 #마그나카르타에서명 하는 장면을 상상해 그린 그림이에요.
위키피디아
하지만 존 왕은 "잃어버린 땅을 되찾아야 한다"며 전쟁을 멈출 생각을 하지 않았답니다. 급기야 전쟁에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세금을 더 걷기 시작했어요. 그러자 몇몇 귀족이 "더 이상 병사나 세금을 내놓지 않겠다"며 존 왕에게 맞서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귀족들은 선대 왕인 리처드 1세의 #십자군원정 탓에 많은 세금을 내어 불만이 많았는데, 존 왕이 더 많은 세금을 요구하자 참았던 불만을 터트리기 시작한 것이죠.
그럼에도 존 왕은 아랑곳하지 않고 전쟁을 일으켰고, 여느 때와 다르지 않게 또 패배하고 말았어요. 더 이상 참을 수 없다고 생각한 귀족들은 기사들을 이끌고 존 왕이 있는 런던으로 달려갔습니다. 인기기 땅에 떨어진 존 왕은 귀족들의 #무력시위 에 굴복해야 했고, 결국 그들이 내민 #양피지에서명 을 했지요.
▲ 1297년 #에드워드1세 가 발행한 개정판 마그나카르타 원본이에요.
이 원본은 지난 2007년에 열린 경매에서 2130만달러(약 200억원)에 거래됐어요.
1215년 존 왕이 서명한 이 양피지가 바로 근대적 헌법의 토대로 여겨지는 #마그나카르타 ( #Magna-Carta #대헌장 ) 입니다. 마그나카르타에는 #귀족의회 승인 없이 국왕이 마음대로 세금을 부과할 수 없고, 재판이나 법률에 근거하지 않고 사람을 체포하거나 국외로 추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어요. 사고뭉치 실지왕이 더 이상 폭압적인 통치를 하지 못하도록 재갈을 물린 것이죠.
그 전까지 영국 국왕은 마음대로 법을 만들고 그 법을 스스로 어겨도 되는 초월적인 존재였지만, 마그나카르타가 등장하자 상황이 달라졌어요. 왕도 반드시 따라야 하는, 왕보다 더 높은 법이 만들어진 것이죠. 또 사람들은 "시민은 왕도 침해할 수 없는 고유한 권리를 갖고 있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마그나카르타는 오직 #귀족의권리만보장 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후 300여 년간 국왕을 견제하고 귀족과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영국의회제도 가 발전하는 기틀이 되었어요. 훗날 평민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거나 부당한 왕의 통치에 저항할 때에도 마그나카르타는 그 근거가 되었고요. 영국 국왕이 의회와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재차 보장한 #권리청원 과 #권리장전 의 뿌리이기도 합니다. #근대적헌법 도 마그나카르타처럼 #전제정치 에 맞서 개인의 생명과 재산 등 #기본권 을 지키는 과정에서 탄생했어요.
◇ 최초의 성문헌법은 미국 헌법
1787년 마련된 미국의 헌법은 #세계최초 의 #근대적성문헌법 (문자로 적어 표현하고 문서의 형식을 갖춘 헌법)입니다. 그 전에도 여러 #성문법 이 있었지만, #미국헌법 처럼 통치 조직을 규정하는 동시에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한다고 명확하게 적어 놓은 법은 없었어요.
미국의 헌법도 개인의 권리를 위한 투쟁의 산물입니다. 영국이 식민 지배를 하던 시절 #아메리카대륙으로이주 한 사람들은 종교적 자유와 일정한 자치권을 인정받고 있었어요. 그런데 1763년 경제 사정이 나빠진 영국이 #아메리카식민지 에 더 많은 세금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답니다. 식민지 사람들은 "우리가 동의하지 않은 부당한 세금을 낼 수 없다"며 맞섰고, 이는 1776년 #독립선언 과 영국과의 #독립전쟁 으로 발전하였어요. 이 전쟁에서 #식민지민병대 가 승리를 거두면서 미국이라는 나라가 탄생한 것이죠.
#영국정부의강압 을 딛고 독립을 이끈 당시 미국의 지식인들은 미국 정부가 영국 정부처럼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통치 조직을 분산하고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성문헌법 을 택한 것이죠. 이렇게 헌법은 오늘날에도 민주주의와 시민의 기본권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규칙이자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출처: 프리미엄조선|[김승호]인천하늘고 역사 교사
기획·구성=배준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