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을 제외한 4개 지자체에 시설된 물놀이장 상당수가 우레탄 재질의 놀이 시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19일 본보가 확인한 결과 물놀이장의 놀이시설 바닥 대부분이 우레탄 재질로 설비된 것으로 드러났다. 물놀이장 주변은 보도블록이나 시멘트로 설비돼 있지만 아이들이 물놀이를 즐기는 놀이시설 바닥은 우레탄 재질로 처리돼 있었다. 이는 아이들의 미끄럼 및 부상 방지를 위한 조치로 보인다. 최근 문제가 된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도 이런 폐해를 막기 위해 기존 운동장 대신 설비된 것이다.
현재 울산에는 울주군을 제외한 4개 구에 물놀이장 12곳이 시설돼 있다. 이들 중 중구 성안 물놀이장은 이미 지난 16일 개장됐고 정식 개장식만 남겨둔 상태다. 나머지 물놀이장도 이달 말에서 다음 달 초에 걸쳐 모두 문을 열 예정이다.
문제는 이들 물놀이장의 놀이시설 밑바닥이 대부분 우레탄 재질로 조성돼 있어 물놀이장 내 수영장보다 놀이 시설에 주로 몰려드는 아이들이 유해 성분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들 바닥재에 대한 유해 검사가 실시됐을 가능성이 낮아 이런 우려를 더하고 있다.
최근 울산시교육청이 초등학교 33곳, 중학교 18곳, 고등학교 25곳, 특수학교 3곳 등 총 79곳에 대해 우레탄 트랙 유해성 검사를 실시했는데 2014년에 설비한 11곳에서 기준치 이상의 납 성분이 검출됐다.
마찬가지로 울산지역 4개 구가 경쟁적으로 물놀이 시설에 나선 게 2014년부터다. 당시 우레탄 트랙을 설치한 대부분의 학교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된 사실로 미뤄볼 때 당시에 시설된 물놀이장의 경우 ‘납’성분 등 유해물질이 발견될 가능성이 충분하는 게 관련 업계의 지적이다. 또 시교육청과 달리 4개 지자체가 유해성 조사를 했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다. 시교육청처럼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해 실시하지 않았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교육청은 2011년 4월 이후 우레탄 트랙에 대한 유해성 검증을 각 학교에 시달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학교들이 2014년까지 3년 동안 유해성 검사를 전혀 실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따라서 울산지역 4개 기초자치단체도 이런 사실을 알고 이들 시설에 대한 유해성 검사를 했느냐에 비판의 초점이 맞춰진다.
만일 사전 검사를 행하지 않았다면 4개 구는 이번 일로 지역주민들의 비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시 교육청의 유해성 검증 조사지시 전례가 있었음에도 지자체가 이를 모르고 행정조치를 소홀이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울산시는 지난 17일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한 공공체육시설에 대해 중금속 유해성을 검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시는 2010년 제품규격이 제정되기 전에 설치된 인조잔디 33곳과 고무 칩이 들어간 우레탄 트랙 15곳을 대상으로 10월까지 유해성 검사를 완료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물놀이장 시설에 대한 조사 여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정종식 기자 기사입력: 2016/06/19 [17:04] 최종편집: ⓒ 광역매일 http://www.kyilbo.com/sub_read.html?uid=179766§ion=sc74§ion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