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와 맞대결에서 茶로 웃은 펩시콜라
만년 세계 2위였던 펩시, 하이엔드 차로 포문 개방
서영수 차(茶) 칼럼니스트 ㅣ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8.05.05(토) 10:12:54 | 1489호
미국 뉴욕주 퍼체이스에 본사가 있는 펩시는 코카콜라 앞에만 서면 늘 작아지던 만년 세계 2위의 청량음료 회사였다. ‘펩시’는 그리스어로 ‘소화’라는 뜻이다. 노스캐롤라이나주 뉴번의 약사인 칼렙 브래드햄(Caleb Bradham)이 개발해 1893년부터 판매하던 소화를 돕는 음료를 1898년 ‘펩시콜라’로 작명하고 1903년 정식 브랜드로 론칭했다. 1886년부터 상품화된 코카콜라보다 12년 늦게 출발한 펩시는 120년에 걸쳐 치열한 라이벌 브랜드 경쟁을 코카콜라와 벌였다. 1923년과 1931년 파산 위기에 몰려 코카콜라에 두 번이나 인수 제의를 했지만 거절당했을 정도로 수모를 당했던 펩시였지만, 2015년에는 코카콜라의 하이엔드 차(茶)음료를 향해 포문을 먼저 열었다.
펩시를 세계 음료시장 정상에 올려놓은 CEO 인드라 누이 © AP 연합
1903년 펩시콜라 론칭 이후 만년 2위
탄산음료 시장에서 늘 수세에 몰리던 펩시의 홍보팀은 “펩시는 다른 회사처럼 가루를 휘젓는 방식을 배제하고 찻잎을 직접 우려서 만든다”며 코카콜라의 프리미엄 RTD(Ready To Drink·개봉해 바로 마시는 음료) 차인 골드 피크(Gold Peak)를 정조준했다. 차음료 시장에서 5.5%에 불과한 코카콜라의 시장점유율을 7배나 앞질러 40%를 상회하는 펩시의 자신감이 차음료 전선에서 선제공격을 가능하게 했다. 펩시는 자사 제품인 ‘퓨어 리프 티(Pure Leaf Tea)’가 갓 짜낸 생주스라면 코카콜라의 차음료는 농축액을 희석한 주스라고 폄하했지만 코카콜라는 반격에 나설 차 브랜드가 없었다.
10년 동안 15배 이상 몸집이 커진 RTD 차 시장에서 펩시는 고급화된 이미지와 전문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차 브랜드 립톤(Lipton)을 생산·판매하는 유니레버(Unilever)와 합작회사를 세워 일찌감치 연합전선을 구축해 왔다. 반면 골드 피크를 선봉으로 내세운 코카콜라는 2011년에 인수한 어니스트 티의 레몬음료 매출 신장에 고무돼 찻잎으로 우려낸 정통 공법의 차음료를 더 이상 주목하지 않았다. 펩시의 공세에 코카콜라는 당할 수밖에 없었다. 난공불락인 코카콜라의 탄산음료와 맞대결을 피하고 차음료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펩시의 최고 사령탑, 인드라 누이(Indra K. Nooyi)의 사업 다각화 전략이 주효한 결과였다.
2006년 8월14일 펩시의 5대 최고경영자(CEO)이자 첫 여성 CEO로 부임한 인드라 누이는 2001년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겸한 대표이사에 오르자마자 코카콜라를 꺾고 음료업계에서 시가총액 1위로 등극한 승리의 추억이 있었다.
펩시 역사상 처음으로 이룬 쾌거의 중심에 있는 인도 국적의 외국인 여성 경영자 인드라 누이는 담배 다음으로 해로운 음식으로 치부되고 있는 탄산음료 비중을 펩시의 전체 매출 중 20%로 줄였다. 코카콜라는 아직도 70% 이상을 탄산음료에 의존하고 있지만, 펩시는 건강음료 비중을 높였다.
*** 이어지는 기사내용은 글 퍼옴이 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을 클릭하시면 원본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7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