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밟지않은 하얀 눈이 허리까지 쌓인 깊은 산에 가보지 않은 사람은
겨울산의 아름다음을 모릅니다.
그런 산을 한 번 다녀오면 1년동안 쌓인 스트레스가 다 풀립니다.
고생한 댓가를 충분히 보상해 주는 것이 겨울 설산 산행입니다.
올해처럼 따뜻한 겨울에는 주말 산행인들이 맞추기 힘든 눈산행을
조례동문삼악회에서 처음 추진했는데
하늘이 도우셔서 우리가 가는 전날 저녁부터 산행 내내 눈을 뿌려 주었습니다.
이번에도 양재근(21회) 동문의 알선과 후원으로 고급스러운 산행을 하였습니다.
9명의 동문이 참석하여 근교산행과 또다른 재미를 함께하였습니다.
산행지는 우리나라(남한)에서 5번째로 높은 계방산을 6시간 강행군으로 낙오자 없이
무사 산행하였습니다.
참으로 황홀한 산행이었고 모두 만족해 했습니다.

윤두령이 아니고 "운두령"-사진을 퍼왔더니 ~~1150 고지에서 출발합니다.
쉼터에서 전망대까지가 힘든 코스이며 다른 곳은 쉽습니다.

독립문에서 출발한 솔라티에 5명과 모란역에서 출발한 무쏘에 탄 4명이 만나
문막휴게소에서 아침식사.

천정이 높고 좌석이 넓은 승합차의 리무진 '솔라티'
양재근 동문이 기사 비용은 부담(후원)했습니다.

참석자는 차비 3만원과 식사2끼 2만원 해서 5만원씩 부담했습니다.

계방산은 오대산국립공원 범위 안에 있습니다.
여기는 평창군과 홍천군의 경계지역인 "운두령"입니다.

계방산은 우리나라에서 5번째 높은 산입니다.
한라산(1950m),지리산(1915),설악산(1708),덕유산(1614),계방산(1577)
함백산(1573),태백산(1567),오대산(1563,)가리왕산(1561),인제 가리봉(1561) 순서입니다.

"9인의 특공대" 용감한 동문 ,멋을 아는 동문 들입니다.
우측부터 조상호(15회 산악회장,김영철(22회),김종민(18회),김종민(18회),정병규(22회),
김종오(19회),이선자(19회),이상규(20회),양재근(21회),고영재(17회) 입니다.

기온이 높아 1200고지의 산길도 질퍽한 흙길 이었습니다.

출발할 때 산길은 날씨가 따뜻했습니다.

올라 갈수록 눈이 많이 쌓였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눈산행을 위해 몰려들었습니다.
그나마 '코로나19' 독감때문에 산행객이 줄어들어 좀 낫습니다.

무릅에 연골이 없어도 제일 열성적으로 산행하시는 김종민 동문(18)

틈나는대로 이렇게 현수막을 펴면 나중에 사진이 폼이 납니다.

이런 산행을 하다보면 겨울이라는 계절이 좋습니다.

친구신랑 선배와 함께~~~

이런 설경은 산에 오르는 사람만이 즐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다섯번째 산을 무시하는 복장 아닌가요?
신사는 산행할 때도 남다른 복장입니다."손시려 죽겠그만,주머니 속의 보물 핫팩"

적막한 산골에 남녀 한 쌍?---추워서 아무 생각 없다구요?

매주 산에 가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다는 김영철 동문(22).
여자 동문도 한 명 있는데~~~안 왔어요

만주 독립군들 같습니다.

안개가 자욱한 설산은 몽환적인 분위기

깔닥고개 공략에 앞서서 심신 재무장.

높은산 겨울산행 필수품 비닐텐트---이 것이 없으면 추워서 식사를 못합니다.


"끝까지~~간다"

하늘과 땅의 경계가 애매한 날씨입니다.

실제로는 차갑지만 포근할 것 같은 백설 입니다.

상고대 터널을 지나며 혓바닥으로 한 번씩 핥아 봅니다.

7인용 비닐텐트에 12명이 들어갔습니다.몰골들이 말이 아닙니다.

정병규 동문(22)이 끓여준 굴라면---정상에서 소주와 함께.

조상호 대장님의 돼지갈비,이선자 동문의 홍어회,양재근 동문의 홍어무침,
김종민 동문의 굴전, 각자 가져온 도시락,과일 등은 모두 꺼내지도 못했습니다.
정상에서 마시는 와인맛을 아시나요?

상비마을 출신들 - 김종오(19).양재근(21).김종민(18)

계방산 정상에 드디어 도착했습니다.정상에는 의외로 사람이 많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30분 더 걸린다는 긴 코스를 선택했습니다.
주목 군락지를 거쳐 이승복 생가터로 내려오는 길이랍니다.

이 여자가 누구냐고 궁금증을 갖지 마세요.산에 가면 다 친구랍니다.

호적상 나이는 할머니지만 마음은 소녀.
대부분 사람들은 깨끗한 눈밭에서 굴러보고 싶답니다.

주목나무 군락지에는 멋있는 고목들이 많습니다.
정상부터 계속 눈이 옵니다.

시작이 반인데 이제 마무리만 남았지요.

이 곳에서 살고 싶네요

자세히 감상하세요~~~

온통 눈이 쌓인 심산

와~~~~이렇게 좋을 수가

선동은 내가했고 뒷받침은 양재근 동문이 하여 이 산행을 추진했습니다.

조용한 산꾼 정병규 동문---고로쇠물과 굴라면으로 오늘 산행을 평정했습니다.

산신령이 두고간 지팡이?

우리 조상호 대장님도 오랫만에 푸짐한 눈산행을 하셨습니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주목나무

엊저녁 전화 한 통화로 합류한 이선자(19) 동문이 앞장서서~~

이 고산이자 심산의 계곡물이 얼지않고 흐르다니 올겨울은 비정상임이 맞습니다.

이승복 생가터 마당---겨울철 밭곡식을 저장해던 곳
1968년 11월 무장공비들은 그 해 1월 청와대 폭파를 목표로 서울에 침투하였던 북한민족보위성정찰국 소속의 124군부대로서, 침투지역 일원에서 공포분위기 속에서 주민들을 선전·선동하는가 하면, 양민학살 등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북한이 무장공비를 투입한 것은 1·21사태 이후의 대남공작 실패를 만회하고 남한에서의 민중봉기를 유도하려는 거점 마련에 있었습니다.
나아가서 미국의 월맹에 대한 북폭중지와 파리평화협상회의의 진전에 따른 월남전의 종식에 초조한 나머지 한반도에서의 긴장조성을 통한 중국·소련의 군사원조 획득과 대대적인 정치위기 은폐의도에서 감행되었습니다.
무장공비들은 15명씩 8개 조로 편성되어 10월 30일, 11월 1일, 11월 2일의 3일간 야음을 타고 경상북도 울진군 고포해안에 상륙, 울진·삼척·봉화·명주·정선 등으로 침투하였습니다.
무장공비들은 군복·신사복·노동복 등의 갖가지 옷차림에 기관단총과 수류탄을 지닌 채 주민들을 집합시켜서 북한책자를 배포, 북한의 발전상을 선전하는 한편, 정치사상교육을 시키면서 ‘인민유격대’ 가입을 강요하였습니다.
울진군 북면 고숫골의 경우, 11월 3일 새벽 5시 30분쯤 7명의 공비가 나타나서 “경북경찰대에서 주민등록증 사진을 찍어주러 왔습니다.”라는 말로 마을사람들을 모은 다음, 사진을 찍고 위조지폐를 나누어 주며 사상선전을 하고 유격대지원 청원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였습니다.
이 때 이 마을에 나타난 양양군 장성읍에 거주하는 전병두(32세, 노동)를 대검으로 찔러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른 지역에서의 만행도 잇따랐습니다.
삼척군 하장면의 한 산간마을에서는 80세 노인, 52세의 며느리, 15세의 손자 등 일가 세 사람이 난자당하였으며, 평창군 산간마을에서는 10세의 이승복(李承福) 어린이가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는 절규와 함께 처참한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한편, 공비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신고하자, 당국은 11월 3일 오후 2시 30분을 기하여 경상북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 ‘을종사태’를 선포하고, 대간첩대책본부의 지휘 아래 군과 향토예비군을 출동시켜 소탕전을 벌였습니다. 소탕작전 결과 11월 16일까지 사살 31명, 생포 2명의 성과를 올렸으며, 연말까지는 침투했던 공비 대부분이 사살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공비에 의해 피해를 입은 민간인과 소탕작전중 전사자는 모두 18명이었다. 생포된 공비의 증언에 따르면, 일당은 1968년 7월부터 3개월간 유격훈련을 받고 10월 30일 오후 원산에서 배로 출발하여 그 날로 울진해안에 도착하였으며, 복귀 때에는 무전지시를 받기로 하였으나 실패하여 독자적인 육상복귀를 기도하였다는 것입니다.
한편, UN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이 사건이 한반도의 긴장을 초래, UN의 평화통일노력을 방해하였다는 결론을 내리고 UN총회에 특별보고를 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북한의 이러한 대담한 대남교란행위는 국민의 반공태세를 한층 다지게 하였습니다.

여기가 이승복 생가----
계방산 골짜기 외딴집이라 60년대 울진삼척침투 무장공비들이 북으로 도주하던 길에
들어와 배를 실컷 채우고 이승복을 비롯 가족을 몰살시킨 곳입니다.

저녁식사는 맛집인 "장평막국수"집에서 따뜻한 메밀칼국수로 몸을 녹였습니다.
산행을 좋아하는 선후배 동문 여러분 함께 합시다~~
첫댓글 좋은 모니터 대형 화면으로 보니 더더욱 멋집니다.
멋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