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표 '시스템 공천' 두고 당내 득실론 복잡...'중진 35% 감산' 페널티 여파는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국민의힘이 4월 총선을 앞두고 공천 룰을
대대적으로 정비하면서
역대급 '중진 현역 물갈이'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당내 현역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역력한 모습입니다.
특히 당 의석 지분의 절반을 차지한
영남권 의원들의 경우도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가 내세운
'시스템 공천'의 면면을 예의주시하고 있답니다.
지난 17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당내 4~5선 중진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시스템 공천을 하겠다"고 공언했는데요.
이날 오찬에는 5선 김영선·서병수·정우택·
정진석·조경태·주호영 의원,
4선 권성동·권영세·김기현·김학용·박진·
윤상현·이명수·홍문표 의원 등이 참석했답니다.
이에 중진들은 보수당에서
최초로 실시되는 '시스템 공천'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세부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부분에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는데요.
한 위원장이 피력한 시스템 공천이라는 것이
정량적 평가보다 영남·중진 물갈이를 위한
'정성 평가'에 치중된 것이 아니냐는 취지의
우려도 나온 것으로 전해집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중진 회동 후 취재진에게
"이기는 공천, 룰에 맞는 공천을 할 것이다.
거기에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했답니다.
또 그는 "어떤 취지에서 과거에 안 해오던
시스템 공천을 보수당에서 처음 실시하게 된 것인지
설명해 드렸고, 그 취지에 대해
굉장히 잘한 것이라는 게 대부분의 반응이었다"라며
이날 오찬에서는 중진들이
소위 '공천 물갈이'에 대한 반발은 없었다고
일축했답니다.
다만 이날 당 지도부와 중진 회동은
공천 룰 개편에 대한 사전 양해를 구하는 취지의
상견례 자리였던 만큼,
이날 자리에서 중진 물갈이 우려가
직접 표출되지는 않았다는 것이
참석자 전언입니다.
이날 오찬에 참석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한 위원장이 이른바 물갈이를 위해
공천룰을 만드는 것이 아닌
'선(先) 공천룰, 후(後) 인선' 기조를
명확히 했기 때문에 오찬에서는
대체로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면서도
"다만 공천룰의 디테일(세부안)과 관련해서는
구체적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다소 찝찝한 부분은 있다"고 했답니다.
국민의힘은 시스템 공천에
기반한 룰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앞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16일 1차 회의에서 현역 의원 중
하위 10%에 해당하는 7명을 컷오프하는 한편,
하위 10~30%에 해당하는 18명은
경선 득표율에서 20%를 감점 처리한다는
방안을 내놨답니다.
아울러 동일 지역 3선 이상 현역의 경우
15%의 감점 페널티를 적용키로 했는데요.
여기에 현역 및 당협위원장의 경우
당무감사 결과에 따라
최대 20% 감산될 수 있어, 3선 이상 현역은
평가 하위 10~30%에 속할 경우
최대 35%의 페널티가 적용되는 셈입니다.
현재 최대 35%의 페널티 적용 대상에 포함되는
3선 이상 중진 현역은 영남권 의원 10명 등
총 22명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의 한 영남권 의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당무감사 결과야 승복할 수 있는 부분이라지만,
동지역 3선 이상 페널티는 다소 과한 측면이 있다"며
"공천 개혁 명목으로 지역구 기여도가
큰 의원들의 노고를 깎아내리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컷오프된 의원들이
이를 승복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했답니다.
또 당내 일각에선 한동훈 비대위의
'시스템 공천' 면면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서도
불안감이 감지됩니다.
한 의원은 "시스템 공천이라는 큰 틀에서의
개념에는 환영하는 바다.
하지만 이미 '답이 정해진'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인적 쇄신 차원에서 공천 룰을
수술대에 올리는 것은 지도부로서
어찌보면 당연한 소임일 수 있겠으나,
적어도 내부 의견수렴 절차 정도는
거칠 수 있었던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은 있다"고 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