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국보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Stele of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탑비.
인기멤버
hanjy9713
2023.07.02. 22:18조회 0
댓글 0URL 복사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Stele of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탑비.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의 탑비(塔碑)이다. 탑비(부도비)는 승려의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행적 등을 기록한 비석으로, 고승(高僧)이 입적한 후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승탑(부도)과 함께 세워졌다. 탑비의 건립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 비문의 일부가 훼손되어 언제 비석이 세워졌는지 알 수 없었으나, 1725년(영조 1)에 모각(摹刻)한 탁본이 발견되어 887년(신라 정강왕 2)에 탑비가 건조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진감선사 혜소
혜소(慧昭)는 774년(신라 혜공왕 10)에 태어나 850년에 입적한 승려이다. 804년(신라 애장왕 5)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26년간 중국에서 활동하다가 830년(신라 흥덕왕 5)에 귀국하였다. 이후 장백사에 들어가 신도와 제자들에게 당나라에서 배워온 선법(禪法)과 불교음악인 범패(梵唄)을 널리 알렸고, 그 결과 범패는 선종의 수행 방법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850년 옥천사(현 하동 쌍계사)에서 혜소가 입적하자, 당시 신라의 국왕이었던 문성왕은 혜소에게 시호(諡號)와 탑호(塔號)를 내리려 하였으나 탑비를 세우지 말라는 혜소의 유언을 듣고 그 뜻을 거두었다. 885년 헌강왕은 혜소의 가르침을 잊지 않기 위해 혜소에게 '진감(眞鑑)'이라는 시호(諡號)와 '대공영탑(大空靈塔)'이라는 탑호(塔號)를 내리고, 혜소의 탑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탑비의 구성과 형태
귀부·비신·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귀부와 이수는 화강암으로, 비신은 흑대리석으로 제작되었다. 비석의 전체 높이는 3.6m이고, 이 중 비신의 높이는 2m이다.
귀부(龜趺)는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로 비신과 이수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귀부는 목이 짧고 얼굴은 용의 형상으로 묘사되었다. 귀부의 등에는 육각형 모양의 귀갑문(龜甲文)이 새겨져 있으며,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기 위해 홈을 판 자리)의 각 면에는 구름 문양을 장식하였다.
비신(碑身)은 탑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혜소의 행적에 대한 기록 등이 새겨져 있다.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던 최치원(崔致遠)이 직접 비문을 짓고 해서체(楷書體)로 글씨를 썼다. 비문의 내용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단은 서론으로 혜소가 당나라로부터 선을 전한 인물임을 밝혔고, 2단에는 혜소의 생애와 공덕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3단은 비문의 찬술 과정을, 4단에는 사언고시체의 게송(偈頌: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노래)을 기록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의 비문은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경주 승복사지 대숭복사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의 비문과 함께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에 속한다.
이수(螭首)는 탑비의 머리 부분으로 장식적인 역할과 비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수의 앞면 중앙에는 제액(題額: 비석의 명칭이나 비석의 주인공을 새긴 부분)이 위치하고, 그 주변으로 용·구름·연꽃 등을 조각하여 이수를 장식했다. 이수의 가장 윗 부분에는 소원을 들어준다는 구슬인 보주(寶珠)를 올렸다.
가치 및 의의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는 통일신라시대에 범패를 처음으로 도입한 진감선사 혜소의 탑비라는 점과 최치원이 직접 비문을 찬술하고, 글씨를 쓴 탑비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비석에 새겨진 비문에는 혜소의 행적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 제도, 불교 문화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역사학·불교학에서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며, 비석에 쓰인 글자는 금석학·서예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비록 비신은 많이 손상되었으나, 귀부와 이수의 보존 상태는 양호하며 귀부와 이수의 화려한 조각 장식은 통일신라시대 탑비의 대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지도
[네이버 지식백과]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Stele of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anjy9713님의 게시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