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쉰소리 랑(㾿)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사나이 랑(郞)자를 했습니다. 사나이 랑(郞)자는 성부(聲符)로 어질 량(良)자에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를 했습니다. 사나이는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서 가치를 발휘하는 모양입니다.
+ = 㾿
피부병 반(㿀)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나눌 반(班)자를 했습니다. 나눌 반(班)자는 나누는 것은 구슬 옥(玉)자 두 개를 한 개씩 나누고, 나누는 도구는 칼이기에, 칼 도(刀,刂)자를 했습니다.
+ = 㿀
배부를 장(瘬)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베풀 장(張)자를 했습니다. 베풀 장(張)자는 의부(義符)로 활 궁(弓)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길 장(長)자를 했습니다. 길 장(長)자는 털이 긴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瘬
생인손 표(瘭)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불똥 튈 표(票)자를 했습니다. 불똥 튈 표(票)자는 불일 나서 불똥이 튀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서녘 서(西)자는 서쪽이라는 뜻이 아니라, 불똥을 손으로 잡는 모양이고, 보일 시(示)자는 보인다는 듯이 나니라, 불 화(火)자의 변형입니다.
+ = 瘭
놀라서 떨 참(瘮)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간여할 참(參)자를 했습니다. 간여할 참(參)자는 담 쌓을 루(厽)자 아래에 숱 많을 진(㐱)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사사 사(厶)자는 담을 쌓는 돌을 뜻하고, 숱 많을 진(㐱)자는 담을 쌓을 때 사용하는 흙과 짚을 썰어서 만든 흙의 매개물질을 뜻합니다. 짚을 절게 썰어서 흙과 개어 사용해야 담이 무너지지 않고 오래 단단하게 보전됩니다. 간여한다는 말은 서로 응집력을 가지고 관계를 맺는 것을 뜻합니다. 돌과 짚과 흙이 서로 간여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지요.
+ = 瘮
피부병 이름 족(瘯)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겨레 족(族)자를 했습니다. 겨레 족(族)자는 깃발을 그린 모 방(方)자에 ‘𠂉’자를 하고, 화살 시(矢)자를 했습니다. 한 깃발 아래 모여 무기를 가지고 방어하는 것이 한 겨레입니다. 뜻을 같이 하고(方) 목숨을 함께하는 것(矢)이 겨레(族)라는 말입니다.
+ = 瘯
연주창 라(瘰)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묶을 루(累)자를 했습니다. 묶을 루(累)자는 물건을 끈으로 묶은 모양입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짐을 십자(十字)로 묶은 표시이고, 실 사(糸)자는 짐을 묶은 끈을 뜻합니다. 연주창이라는 병은 목 언저리에 생긴 여러 개의 멍울이 곪아터져서 생긴 부스럼을 말합니다.
+ = 瘰
고요할 예(瘱)자는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생각하는 모양 협(㤲)자를 했습니다. 고요할 예(瘱)자는 묻을 예(瘞)자와 비슷합니다. 묻을 예(瘞)자는 낄 협(夾)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하여 묻었다는 뜻을 나타낸 글자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고요할 예(瘱)자는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생각하는 모양 협(㤲)자를 했습니다. 생각하는 모양 협(㤲)자는 고요할 예(瘱)자와 관련이 있습니다. 생각하는 경우에는 고요하기 마련이거든요. 묻혀도 고요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瘱
경풍 종(瘲)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좇을 종(從)자를 했습니다. 좇을 종(從)자는 네거리를 그린 다닐 행(行)자의 반쪽 조금 걸을 척(彳)자에 사람 인(人)자 두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발 지(止)자의 변형인 ‘龰’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따른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간체자(簡體字)로 ‘从’자를 사용합니다. 경풍이라는 병은 주로 어린이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로 깜짝깜짝 놀라며 푸른 똥을 싸는 병입니다.
瘲
병 나을 추(瘳)자는 병이 나아가는 것이기에,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높이 날 료(翏)자를 했습니다. 높이 난다는 것은 병이 날아가 없어진다는 뜻이니까, 병이 나아감을 표시한 글자가 된 것입니다.
瘳
장기 장(瘴)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글 장(章)자를 했습니다. 글 장(章)자는 입에서 나오는 소리라는 뜻으로 생긴 글자입니다. 설 립(立)자는 서 있다는 뜻이 아니라, 나팔을 표시한 글자이고, 가로 왈(曰)자는 입에서 나오는 말이라는 뜻이고, 열 십(十)자는 입에서 나오는 소리를 표시한 글자라고 받쳐 놓은 표시입니다. 글 장(章)자는 말을 기록한 것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장기(瘴氣)라는 말은 일종의 풍토병으로 축축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한 기운을 일컫는 말입니다.
+ = 瘴
잃을 채(瘵)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제사 제(祭)자를 했습니다. 제사 제(祭)자는 제사상을 잘 차려놓은 모양입니다. 제사상에는 예나 지금이나 고기가 중요합니다. 제사 제(祭)자는 고기를 듯하는 육달 월(月,肉)자에 손을 뜻하는 또 우(又)자를 해서 차려놓는다는 뜻을 나타냈고, 아래에 제사상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보일 시(示)자를 해서 제물을 차려놓은 제사상을 나타냈습니다. 거북 채(蔡), 고운 옷 채(縩)자들은 제사 제(祭)자가 들어 있어서 ‘채’로 읽습니다.
瘵
기침 수(瘶)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기침할 수(欶)자를 했습니다. 기침은 목을 쥐어 짜듯해서 목을 좁혀 공기가 나가는 통로를 작게 해서 나가는 공기의 힘이 세도록 하는 숨길 청소의 한 형태입니다. 기침할 수(欶)자는 묶을 속(束)자에 하품 흠(欠)자는 해서 기침할 때 동작을 표시했습니다.
+ = 瘶
몸이 차가와지는 병 색(瘷)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조서 칙(敕)자를 했습니다. 조서 칙(敕)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묶을 속(束)자를 했습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 목(木)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나무를 묶은 모양을 했습니다. 조서 칙(勅)자도 묶을 속(束)자가 들어 있어서 ‘칙’으로 읽습니다. 조서(詔書)는 임금이 신하나 백성에게 내리는 글을 뜻합니다. 가시목 색(栜), 붙들 책(拺)자는 가시 자(朿)자가 들어 있어서 ‘색’ 또는 ‘책’으로 읽습니다. 몸이 차가와지는 병 색(瘷)자에서 조서 칙(敕)자는 묶을 속(束)자가 아니라, 가시 자(朿)자의 변형 글자로 보는 것이 좋을 듯싶습니다.
+ = 瘷
팔다리 병 가(瘸)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𦙲’자를 했습니다. ‘𦙲’자는 더할 가(加)자 아래에 고기 육(肉)자를 했습니다. 군살 노(胬)자를 보면 ‘𦙲’자도 ‘가’로 읽는 글자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 + = 瘸
미칠 조(瘹)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낚시 조(釣)자를 했습니다. 낚시 조(釣)자는 쇠 금(金)자에 구기 작(勺)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구기 작(勺)자는 낚시를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낚시는 뼈로도 만들지마는 쇠로 만들기에 쇠 금(金)자에 낚시의 모양을 한 구기 작(勺)자를 했습니다. 바라 조(刁), 입에 물 조(叼)자들을 보면 낚시 조(釣)자도 그 연원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瘹
부스럼 루(瘺)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샐 루(屚)자를 했습니다. 샐 루(屚)자는 주겁 시(尸)자 아래에 비 우(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주검 시(尸)자는 주검의 뜻이 아니라, 지붕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비가 오면 처마에 물이 흐르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
부스럼 루(瘻)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별 이름 루(婁)자를 했습니다. 별 이름 루(婁)자는 여자가 머리 장식을 한 모양입니다. 별이 여자의 머리처럼 아름답게 보인다는 말이겠지요. 별이 반짝이듯이 여자의 머리가 반짝이는 것은 아닐까요?
瘻 + = 瘻
병들 막(瘼)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말 막(莫)자를 했습니다. 없을 막(莫)자는 날 일(日)자의 위에는 풀로 가리고 아래에도 풀로 가려서 위아래를 모두 가린 모양을 해서, 해가 없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瘼 + = 瘼
앓을 근(瘽)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노란진흙 근(堇)자를 했습니다. 노란 진흙 근(堇)자는 누를 황(黃)자의 변형입니다. 모두 땅의 색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瘽 + = 瘽
두드러기 은(瘾,癮)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숨을 은(隱)자를 했습니다. 숨을 은(隱)자는 언덕 밑에도 숨었습니다. 손톱 조(爪)자와 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해서 가리고 숨긴 것을 나타냈습니다. 마음 심(心)자는 가리고 숨긴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 = 癮
혹 영(瘿yǐng)자는 혹 영(癭)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혹 영(癭)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갓난아이 영(嬰)자를 했습니다. 갓난아이 영(嬰)자는 여자 녀(女)자에 자개를 이어 꿴 목걸이 영(賏)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성부(聲符)이기도 하지만, 강보로 싸놓은 아기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며, 갓난아이 영(嬰)자는 회의(會意) 글자로 볼 수도 있습니다.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글자 모양대로 조개를 끈에 꿰어 목걸이를 만들어 목에 거는 조개로 만든 목걸이를 말합니다. 또 조개 목걸이 영(賏)자는 갓난아이가 강보에 싸여 있는 모양이기도 합니다.
癭
가슴 병 음(癊)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응달 음(陰)자를 했습니다. 응달 음(陰,隂)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이제 금(今)자와 이를 운(云)자를 했습니다. 이제 금(今)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ㄱ’자를 하여 지금까지 시간이 모여 쌓였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이제’라는 시점은 과거가 쌓인 시간입니다. 말한다는 뜻을 가진 이를 운(云)자는 구름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읊을 음(吟), 흐릴 음(霒)자는 이제 금(今)자가 들어 있어서 ‘음’으로 읽습니다. 응달 음(隂)자에서 길 장(镸)자를 한 것은 길다는 뜻이 아리라, 이제 금(今)자 아래에 이를 운(云)자를 한 글자를 간략하게 쓴 모사(模寫)입니다.
+ = 癊
위장병 치(㿂)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𢽠’자를 했습니다. 검붉은 토란 치(藢)자도 ‘𢽠’자가 들어 있어서 ‘치’로 읽습니다.
+ = 㿂
이질 체(㿃)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띠 대(帶)자를 했습니다. 띠 대(帶)자는 한 일(一)자로 묶는다는 표시를 한 글자 아래에 덮을 멱(冖)자를 하고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옛 글자를 보면 나무의 윗부분을 묶어 놓은 그림 같기도 하고, 사람의 머리를 동여맨 표시 같기도 합니다. 하여튼 나무이든 사람이든 묶은 표시는 틀림없습니다. 막힐 체(滯), 으스름할 체(墆), 나른할 체(殢), 가시 체(蔕), 나른할 체(殢)자들은 띠 대(帶)자가 들어 있어서 ‘체’로 읽습니다.
+ = 㿃
앓는 소리 애(㿄)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잃는 소리 예(殹)자를 했습니다. 앓는 소리 예(殹)자는 감출 혜(匸)지 인에 화살 시(矢)자를 했고, 글자의 오른쪽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앓른 소리 예(殹)자는 화살에 맞고, 창에 찔려서 부상을 당하고 아파서 앓는 소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㿄
옴 선(㿅)자는 옴은 병이기에,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전염성이 매우 강한 병이래서, 옮길 사(徙)자를 했습니다. 옮길 사(徙)자는 길을 뜻하는 조금 걸을 척(彳)자 변에 걸음 보(歨)자를 했습니다. 걸음 보(歨)자는 걸음 보(步)자와 동자(同字)입니다. 걸음 보(步)자나 걸음 보(歨)자는 발 지(止)자는 상하(上下)에 해서 걸을 때 발자국을 떼어 놓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 = 㿅
벼가 벌레 먹어 병들 과(㿆)자는 벼가 병들었기에, 벼 화(禾)자에 병들어 기댈 녁(疒)자와 옷 의(衣)자를 했습니다. 옷 의(衣)자에서 쌀 과(裹)자가 연상됩니다. 벼가 벌레 먹어 병들 과(㿆)자는 벼 화(禾)자에 병들어 기댈 녁(疒)자를 해서 벼가 병들었다는 뜻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㿆
마비될 습(㿇)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익힐 습(習)자를 했습니다. 익힐 습(習)자는 밭(전(田)에서 날갯짓을 하며 날기를 연습하는 새를 그린 글자입니다. 서경덕(화담) 선생께서 어려서 어머니 심부름으로 나물을 뜯으러 밭에 나가보았더니, 새끼 새가 날갯짓을 하며 처음에는 한 치쯤, 두 번째는 두 치쯤, 세 번째는 세 치쯤 날아오르며, 이렇게 날개 짓 연습을 하는 것을 보느라고 어머니 심부름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집에 늦게 돌아왔습니다. 어머니께서 꾸짖으시자 새끼 새가 날갯짓을 공부하는 걸 보느라고 늦었다고 말씀 드려서 용서 받았던 옛 이야기도 있습니다. 박세채의 남계집에 전하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조모삭거상(朝暮數擧翔:아침 저녁으로 자주 날기를 연습한다)는 싯구가 생겼습니다.
+ = 㿇
코 먹을 옹(㿈,癰)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할미새 옹(雝)자를 했습니다. 할미새 옹(雝)자는 개미허리 변 천(巛)자 아래에 읍 읍(邑)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코 먹을 옹(㿈)자는 코 먹을 옹(癰)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코가 먹었다는 말은 냄새를 맡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귀가 먹으면 듣지를 못하고 눈이 멀면 보지를 못합니다. 할미새 옹(雝)자는 화락할 옹(雝), 삶을 옹(雝)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여기서 개미허리 변 천(巛)자는 물이 뜨거워져서 김이 오르는 모양을 표시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癰
황달병 황(癀)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했습니다. 누를 황(黃)자는 땅, 흙 빛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癀
병 복(癁)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돌아볼 복(復)자를 했습니다. 돌아올 복(復)자는 의부(義符)로 걸어간다는 뜻이 있는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갈 복(复)자를 했습니다. 갈 복(复)자 엎드린 사람을 표시한 ‘𠂉’자에 날 일(日)자를 하고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해서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 = 癁
병 고칠 료(療)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횃불 료(尞)자를 했습니다. 횃불 료(尞)자는 불이 붙은 횃불을 쳐들고 있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療
느른할 융(癃)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클 융(隆)자를 했습니다. 클 융(隆)자는 언덕 부(阜,阝)자 변에 뒤져올 치(夂)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한 그 아래에 낳을 생(生)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뒤져올 치(夂)자와 한 일(一)자는 합하여 내릴 강(夅)자를 쓴 것입니다. 언덕이 큰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癃
병들 초(癄)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그을 린 초(焦)자는 새 추(隹)자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해서 새를 불에 굽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 = 癄
혹 류(癅)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머무를 류(留)자를 했습니다. 머무를 류(畱)자는 머무를 류(留)자와 동자(同字)입니다. 머무를 류(留)자는 장부 구멍 묘(卯)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장부 구멍 묘(卯)자는 왕성할 묘(卯)자도 됩니다. 밭에 곡식이 잘 자란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장부구멍 묘(卯)가 장부를 매어 두기 위하여 구멍을 뚫은 것을 표시한 글자이기에 머무를 류(留)자를 머무를 류(㽞,畱)자로 쓰기도 합니다.
癅
중독 로(癆)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일할 로(勞)자를 했습니다. 일할 로(勞)자는 불 화(火)자 두 개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열나게 일을 하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힘쓸 노(努)자는 종 노(奴)자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종이기 때문에 억지로 힘을 써서 일을 하는 심리적 상태를 표시했습니다. 일하는 것이 힘쓰는 일이기도 하지만 억지로 하는 일은 힘을 써야 합니다. 하기 싫은 일을 힘을 들여서 하는 것에는 힘쓸 노(努)자를 쓰고 그저 힘이 드는 일에는 일할 로(勞)자를 씁니다. 공부에 노력(努力)한다는 노력(努力)은 노력(勞力)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노동(勞動)은 노동(努動)이라고 쓰면 안됩니다.
癆
간기 간(癇)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틈 한(閒)자를 했습니다. 틈 한(閒)자는 사이 간(間)자와 같이 쓰는 글자입니다. 문 문(門)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하던지 달 월(月)자를 하던지 햇빛(日)이나 달빛(月)이나 틈으로 새어들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간질 간(癎)자도 간기 간(癇)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癇
폐할 폐(癈)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쏠 발(發)자를 했습니다. 쏠 발(發)자는 풀이 자라는 모습을 그린 등질 발(癶)자 아래에 탄력이 있는 무기인 활 궁(弓)자를 하고,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모두 탄력이 있고 튀어 나오는 표시를 한 글자들입니다. 봄이 되어 삭이 나오고 물이 솟아 나오지요. 영어로는 스프링(spring)입니다. 쏠 발(發)자는 튀어 피어나는 듯의 글자입니다. 폐할 폐(廢)자도 쏠 발(發)자가 들어 있어서 ‘폐’로 읽습니다.
癈
앓을 단(癉)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홑 단(單)자는 한 사람이 밀거나 끄는 수레를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癉
가슴앓이 학(癋)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악할 악(惡)자를 했습니다. 악할 악(惡)자는 성부(聲符)로 버금 아(亞)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버금 아(亞)자는 무덤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글자입니다. 사람이 첫째이고, 죽음이 둘째라는 말이지요. 가슴앓이 학(癋)자와 악할 악(惡)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癋
암 암(癌)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바위 암(嵒,嵓)자를 했습니다. 바위 암(嵒,嵓)자는 산 산(山)자에 바위 모양을 한 입 구(口)자를 세 개 쌓아놓았습니다.
+ = 癌
피부병 반(癍)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얼룩 반(斑)자를 했습니다. 얼룩 반(斑)자는 무늬 문(文)자가 가운데 들어 있어서 얼룩 반(斑)자로 읽습니다. 칼 도(刀,刂)자가 들어가면 나눌 반(班)자가 되고, 무늬 문(文)자가 들어가면 얼룩 반(斑)자가 됩니다.
+ = 癍
간질 간(癎)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틈 간(間)자를 했습니다. 틈 한(閒)자는 틈 간(間)자와 같이 쓰는 글자입니다. 문 문(門)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하던지 달 월(月)자를 하던지 햇빛(日)이나 달빛(月)이나 문틈으로 새어들기는 마찬가지입니다.
癎
음병 퇴(㿉)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는 조개 패(貝)자 위에 가운데 중(中)자를 하고 가운데 중(中)자와 조개 패(貝)자 사이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를 하고 가운데 중(中)자와 조개 패(貝)자 사이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를 하고 가운데 중(中)자와 조개 패(貝)자 사이에 한 일(一)자 한 글자는 손을 좌우(左右)에 그린 글자입니다. 귀할 귀(貴)자는 재물을 취하는 표시입니다. 곧 재물이 귀하다는 것이겠지요. 상할 괴(蕢)자도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좇을 퇴(僓), 들피질 퇴(尵), 쇠퇴할 퇴(穨), 넘어질 퇴(蹪)자들은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퇴’로 읽습니다.
+ = 㿉
아플 참(㿊)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일찍이 참(朁)자를 했습니다. 일찍이 참(朁)자는 목멜 기(旡)자를 두 개하고 그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아침 일직 일어나서는 바로 말이 잘 안 나오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㿊
병들 환(癏)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놀라서 볼 경(睘)자를 했습니다. 놀라서 볼 경(睘)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옷 의(衣)자를 하고 입 구(口)자를 하여, 놀라서 숨어서 보며 입을 딱 벌린 글자입니다. 돌아올 환(還), 기내 환(寰), 입을 환(擐), 엷은 비단 환(繯)자들은 놀라서 볼 경(睘)자가 들어 있어서 ‘환’으로 읽습니다.
+ = 癏
위독할 괴(癐)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모일 회(會)자를 했습니다. 모일 회(會)자는 사람이 모인다는 뜻을 나타내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사람이 모여서 떠든다는 뜻으로 가로 왈(曰)자를 했다고도 봅니다. 또는 모일 회(會)자가 시루 증(曾)자와 흡사하여 똑 시루를 가운데 두고 사람들이 모였다는 뜻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여물광 괴(廥), 기 괴(旝), 띠 매듭 괴(襘)자들은 모일 회(會)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 = 癐
아플 농(癑)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농사 농(農)자를 했습니다. 농사 농(農)자를 했습니다. 농사 농(農)자는 굽을 곡(曲)자 아래에 별 진(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굽을 곡(曲)자는 농작물을 수확해서 그릇에 가득 담아 놓은 모양을 표시한 글자이고, 별 진(辰)자는 기후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농사는 기후 조건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옛말에 “하늘이 먹여야 먹을 수 있다.”고 한 것은 기후가 잘 해 주어야 수확을 잘 볼 수가 있다는 말입니다.
癑
병 나을 유(癒)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나을 유(愈)자를 했습니다. 나을 유(愈)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에 성부(聲符)로 점점 유(兪)자를 했습니다. 병이 나아가니, 마음이 점점 좋아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 = 癒
발에 난 부스럼 미(癓)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작을 미(微)자를 했습니다. 작을 미(微)자는 의부(義符)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미묘할 미(𢼸)자를 했습니다. 미묘할 미(𢼸)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우뚝할 올(兀)자를 하고, 몽둥이 수(攵)자를 했습니다. 큰 산 속에 미묘한 것들이 많이 있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癓
심화병 역(癔)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뜻 의(意)자를 했습니다. 뜻 의(意)자는 살 립(立)자 아래에 날 일(日)을 했고, 마음 심(心)자를 더 했습니다. 날(日)마다 세우는(立) 마음(心)이 뜻(意)입니다. 사람의 마음이 그렇게 수가 많아 서로 다르다는 표시입니다. 심화병 역(癔)자는 억 억(億)자와 통운(通韻)입니다. 억 억(億)자는 뜻 의(意)자가 들어 있어서 ‘억’으로 읽습니다.
+ = 癔
악창 옹(癕)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누그러질 옹(雍)자를 했습니다. 누그러질 옹(雍)자는 돼지해 밑 두(亠)자 아래에 작을 요(幺)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돼지해 밑 두(亠)자는 새를 잡아 지붕이 있는 안전한 곳에 넣어 두었다는 표시이고, 작을 요(幺)자는 새의 먹이이며, 새 추(隹)자는 잡혀온 새가 안정을 찾아가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새의 마음이 안정을 찾아 누그러진다는 말입니다. 편안한 자리와 먹을 것이 잇으면 마음이 누그러진다는 말이지요. ‘악창’이라는 말은 매우 질이 나쁜 부스럼을 뜻합니다.
+ = 癕
적취 벽(癖)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벽(辟)자를 했습니다. 임금 벽(辟)자는 법 벽(辟)자도 됩니다. 임금 벽(辟)자는 사람을 그린 ‘𡰪’자 옆에 문신을 새길 때 사용하는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매울 신(辛)자를 해서, 벌을 마음대로 줄 수 있는 임금을 표시했습니다. 임금 벽(辟)자는 법과 벌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임금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적취(積聚)란 몸 안에 쌓인 기(氣)로 인하여 덩어리가 생겨서 아픈 병을 뜻합니다.
+ = 癖
두드러기 뢰(癗)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우뢰 뢰(雷)자를 했습니다. 우뢰 뢰(雷)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우레 치는 번갯불의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癗
창질 려(癘)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일만 만(萬)자를 했습니다. 일만 만(萬)자는 전갈을 그린 글자입니다. 일만이라는 수가 전갈처럼 무섭다는 말입니다. 힘쓸 려(勵), 갈 려(厲), 여귀 려(禲)자들은 일만 만(萬)자가 들어 있어서 ‘려’로 읽습니다. 창질은 창명이라고도하는데, 창병(瘡病)은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癘
속 끓일 서(癙)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쥐 서(鼠)자를 했습니다. 쥐 서(鼠)자는 쥐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癙
어리석을 담(癚)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이를 첨(詹)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하고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수준이 높은 데에 도달했음을 나타냈습니다. 멜 담(擔), 쓸개 담(膽), 편안할 담(憺)자들은 이를 첨(詹)자가 들어 있어서 ‘담’으로 읽습니다.
+ = 癚
소름끼칠 름(癛,癝)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줄 품(禀,稟)자를 했습니다. 줄 품(稟)자는 지붕을 표시한 돼지 해 밑 두(亠)자에 물건을 쌓아 저장해 둔 표시를 한 돌 회(回)자를 하고, 글자의 맨 아래에 벼 화(禾)자를 해서, 곡식 창고에 벼를 저장해 둔 표시를 했습니다. “광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찰 름(凜), 창고 름(廩), 위태할 름(懍)자들은 줄 품(稟)자가 들어 있어서 ‘름’으로 읽습니다.
+ = 癛
어루러기 전(癜)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큰 집 전(殿)자를 했습니다. 큰 집 전(殿)자는 펼 전(展)자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진열해 놓은 것을 지키는 글자입니다. 펼 전(展)자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장인 공(工)자를 네 개 한 글자입니다. 진열해 놓은 모양을 표시했지요.
+ = 癜
문둥병 라(癞lài)자는 문둥병 라(癩)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문둥병 라(癩)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힘입을 뢰(賴)자를 했습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짐질 부(負)자에 묶을 속(束)자를 했습니다. 짐질 부(負)자는 힘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 목(木)자의 중간에 입 구(口)자를 해서 나무에 묶어 둔 표시를 했습니다. 게으를 라(懶)자도 힘입을 뢰(賴)자가 들어 있어서 ‘라’로 읽습니다.
+ = 癩
종기 소(㿋)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울 소(喿)자를 했습니다. 울 소(喿)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입 구(口)자를 세 개 해서 나무에 새들이 앉아 시끄럽게 노래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㿋
목구멍이 아릴 험(㿌)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다 첨(僉)자를 했습니다. 다 첨(僉)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두 개 하고 사람 인(人)자를 또 2개 했습니다. 두 사람을 합해놓은 모양입니다. 증험할 험(驗), 험할 험(險), 험할 험(嶮), 오랑캐 이름 험(獫), 간사한 말 험(譣)자들은 다 첨(僉)자가 들어 있어서 ‘험’으로 읽습니다.
+ = 㿌
옴 개(㿍)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풀 해(解)자를 했습니다. 풀 해(解)자는 뿔 각(角)자 변에 칼 도(刀)자를 하고 소 우(牛)자를 했습니다. 소를 잡아 부위별로 고기를 발라내는 일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샅샅이 뒤져서 정리하고 설명하는 것을 해(解)라고 합니다. 옴 개(㿍)자와 풀 해(解)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㿍
종기가 화근거릴 분(㿎)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클 분(賁)자를 했습니다. 클 분(賁)자는 삼십을 뜻하는 대 세(㔺)자 또는 풀 훼(卉)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재물이 많음을 나타내거나 재물이 풀이 무성한 것처럼 많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㿎
손발이 저릴 군(㿏)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무리 군(群)자를 했습니다. 무리 군(群)자는 의부(義符)로 양 양(羊)자에 성부(聲符)로 임군 군(君)자를 했습니다. 양들은 떼를 지어 함께 다니지요.
+ = 㿏
날지 못할 별(癟,㿜)자는 병상(病床)에 있으면 날지 못하니까,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날려면 스스로 날아야하기에, 스스로 자(自)자에 둥글 윤(侖)자나 피리 약(龠)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 윤(侖)자나 피리 약(龠)자는 빈들거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난다는 말은 현실에서 노력해서 스스로 더 높이 점프하는 자세와 힘을 말하는데, 그런 자세와 힘이 없는 경우를 듯하는 글자입니다. 그저 현실에 안주(安住)하여 빈들거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 㿜
앓을 제(癠)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가지런할 제(齊)자를 했습니다. 가지런할 제(齊)자는 꽃대가 가지런하게 올라와서 꽃이 피어 있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癠
어리석을 치(癡)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의심할 의(疑)자를 했습니다. 의심할 의(疑)자는 비수 비(匕)자와 화살 시(矢)자는 무기(武器)에 다쳤다는 말이고, 발 소(疋)자와 그 위에 역삼각형과 같은 글자는 가서 본다는 뜻입니다. 칼과 화살에 찔렸는데 살았나? 죽었나? 의심하여 가서 본다는 말입니다. 또는 칼이나 화살에 맞았는데 걸어갑니다. 그러니 공격을 제대로 했는지 의심하기도 할 것입니다.
癡
옴 선(癣)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선(鮮)자를 했습니다. 고울 선(鮮)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양 양(羊)자를 했습니다. 물고기나 양 고기는 모두 좋은 고기들입니다. 그래서 곱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고울 선(鮮)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癣 鮮
병 약(㿑)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꿩 적(翟)자를 했습니다. 꿩 적(翟)자는 깃 우(羽)자에 새 추(隹)자를 해서, 날개가 발달하고 꼬리가 짧은 암꿩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뛸 약(躍)자도 꿩 적(翟)자가 들어 있어서 ‘약’으로 읽습니다.
+ = 㿑
배알이 주(㿒)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목숨 수(壽)자를 했습니다. 목숨 수(壽)자는 오래 살아서 몸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을 그려서 표시한 글자입니다. 털도 많이 나고, 허리도 구부정하고, 먹는 것을 밝히는 늙은이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잘 표시한 글자입니다. 쇠 부어 만들 주(鑄), 머뭇거릴 주(躊), 투호 살 주(籌), 짝 주(儔)자들은 목숨 수(壽)자가 들어 있어서 ‘주’로 읽습니다.
+ = 㿒
짐승의 발에 생긴 병 협(㿓)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와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大)이 옆구리에 사람(人)을 끼고 있는 모양입니다.
+ + = 㿓
가려울 양(癢)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기를 양(養)자를 했습니다. 기를 양(養)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밥식(食)자를 해서 양(羊)의 양식(糧食)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밥식(食)자 안에는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습니다. 이 좋을 량(良)자가 성부(聲符)입니다.
+ = 癢
부스럼 절(癤)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마디 절(節)자를 했습니다. 마디 절(節)자는 의부(義符)로 대나무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곧 즉(卽)자를 했습니다. 곧 즉(卽)자는 밥그릇을 앞에 놓고 있는 모양입니다. 지금 바로 먹을 수 있다는 말이지요. 대나무는 마디가 분명한 나무입니다. 또 대나무는 결이 반듯한 나무입니다. 한번 마음먹으면 그대로 진행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곧 즉(卽)자를 한 것은 바로 대나무 그것이라는 뜻입니다.
+ = 癤
적취 징(癥)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부를 징(徵)자를 했습니다. 부를 징(徴,徵)자는 조금 걸을 척(彳)자에 미묘할 미(𢼸)자에서 안석 궤(几)자리에 임금 왕(王)자를 한 글자를 했습니다. 부를 징(徵)자를 총체적으로 보면 작을 미(微)자에서 안석 궤(几)자 자리에 안석 궤(几)자를 빼고 임금 왕(王)자를 했습니다. 부를 징(徵)자는 등용된다는 뜻도 있습니다. 임금이 부른다는 뜻이지요. 적취(積聚)란 몸 안에 쌓인 기(氣)로 인하여 덩어리가 생겨서 아픈 병을 뜻합니다.
+ = 癥
사마귀 묵(癦)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먹 묵(墨)자를 했습니다. 먹 묵(墨)자는 검을 흑(黑)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해서 검은 흙임을 나타냈습니다. 고요할 묵(嘿), 먹 묵(墨), 쐐기 묵(蟔)자들은 검을 흑(黑)자가 들어 있어서 ‘묵’으로 읽습니다.
+ = 癦
두드러기 뢰(㿔)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밭 갈피 뢰(畾)자를 했습니다. 밭 갈피 뢰(畾)자는 밭 전(田)자를 세 개 했습니다. 밭의 경계선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니 밭의 갈피를 나타내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밭 갈피는 접힌 밭의 경계선을 뜻합니다.
+ = 㿔
연주창 력(癧)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지낼 력(歷)자를 했습니다. 지낼 력(歷)자는 성부(聲符)로 다스릴 력(厤)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발 지(止)자를 해서 지난다는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 = 癧
곽란 곽(癨)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빠를 곽(霍)자를 했습니다. 빠를 곽(霍)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비가 오면 새가 비를 피하려고 더 빨리 날아가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 癨
약물중독 뢰(癩)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힘입을 뢰(賴)자를 했습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묶을 속(束)자 오른쪽에 칼 도(刀)자와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돈을 칼로 베어 나누어 묶어 주어서 힘을 보태준 표시를 했습니다. 사실 칼 도(刀)자와 조개 패(貝)자를 합한 글자는 짐질 부(負)자입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짐을 져서 듬직하게 재물이 많아서 힘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 = 癩
성낼 적(癪)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쌓을 적(積)자를 했습니다. 쌓을 적(積)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꾸짖을 책(責)자를 했습니다. 꾸짖을 채(責)자는 임금 주(主)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주인 주(主)자는 주인의 뜻이 아니라, 가시를 그린 글자입니다. 꾸짖을 채(責)자는 가시와 조개(貝)를 한 글자에 담아 놓은 글자지요. 돈을 무섭게 또는 하찮게 여긴다는 뜻입니다. 마땅히 꾸지람을 받아야겠지요. 길쌈 적(績), 자취 적(蹟)자들은 꾸짖을 책(責)자가 들어 있어서 ‘적’으로 읽습니다.
+ = 癪
미칠 전(癫diān)자는 미칠 전(癲)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미칠 전(癲)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꼭대기 전(顚)자를 했습니다. 꼭대기 전(顚)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참 진(眞)자를 했습니다. 참 진(真zhēn)자는 참 진(眞)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참 진(眞,真)자는 눈 목(目)자에 눈 목(目)자 위에는 비수 비(匕)자를 했고, 눈 목(目)자 아래는 받쳐놓은 모양을 했습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두 눈을 받들고 본다는 뜻이 있는 글자들로 눈 목(目)자를 위아래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참이란 보태거나 빼지 않고 바로 눈으로 보는 것 그것만을 말한다는 글자입니다. 메울 전(塡), 성할 전(闐), 거꾸로 될 전(傎), 산 무더기 전(厧), 칠 전(搷), 우듬지 전(槇), 성할 전(滇), 앓을 전(瘨), 넘어질 전(蹎), 메일 전(窴), 바람개비 전(鷆), 사랑니 전(齻), 귀막이 옥 전(瑱)자들은 참 진(眞)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癲
종기 염(㿕)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이문 염(閻)자를 했습니다. 이문 염(閻)자는 문 문(門)자에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을 표시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절구 확처럼 생긴 구덩이에 사람이 빠진다는 뜻이지요. 불 댕길 염(焰)자도 함정 함(臽)자가 들어 있어서 ‘염’으로 읽습니다.
+ = 㿕
종기 로(㿖)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밥그릇 로(盧)자를 했습니다. 밥그릇 로(盧)자는 성부(聲符)로 호피 무늬 호(虍)자를 하고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밥통 위(胃)자에서 밭 전(田)자와 같이 그릇에 담긴 밥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㿖
옴병 퇴(㿗)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무너질 퇴(頹)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퇴(頹)자는 대머리 독(秃)자에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퇴(頹)자는 머리털이 없어진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머리털이 없어지면 늙어서 죽을 때가 다 된 것입니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 무너질 때가 된 것이겠지요.
+ + = 㿗
옴 선(癬)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고울 선(鮮)자를 했습니다. 고울 선(鮮)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양 양(羊)자를 했습니다. 물고기나 양 고기는 모두 좋은 고기들입니다. 그래서 곱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고울 선(鮮)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癬
혹 영(癭)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갓난아이 영(嬰)자를 했습니다. 갓난 아이 영(嬰)자는 엄마가 안고 있는 강보에 싸인 아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니는 엄마에게 조개 패(貝)자 두 개로 표시할 수 있는 가치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겠지요. 조개 패(貝)자는 돈을 뜻한다고 보기 보다는 아기를 보자기에 싼 모습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癭
두드러기 은(癮)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숨을 은(隱)자를 했습니다. 숨을 은(隱)자는 언덕 밑에도 숨었습니다. 손톱 조(爪)자와 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해서 가리고 숨긴 것을 나타냈습니다. 마음 심(心)자는 가리고 숨긴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 = 癮
병 영(㿘)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경영할 영(營)자를 했습니다. 경영하는 데는 리듬이 필요합니다. 음률 려(呂)자는 사람의 등뼈가 질서 있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꽃 영(榮), 밝을 영(瑩), 무덤 영(塋)자들은 모두 ‘𤇾’자가 들어 있어서 ‘영’으로 읽습니다.
+ = 㿘
여윌 구(癯)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볼 구(瞿)자를 했습니다. 볼 구(瞿)자는 눈 목(目)자를 두 개 한 아래에 새 추(隹)자를 해서 겁이 많은 새가 두 눈을 크게 뜨고 보는 모양을 했습니다.
+ = 癯
코 먹을 옹(癰)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할미새 옹(雝)자를 했습니다. 할미새 옹(雝)자는 개미허리 변 천(巛)자 아래에 읍 읍(邑)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코 먹을 옹(㿈)자는 코 먹을 옹(癰)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코가 먹었다는 말은 냄새를 맡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귀가 먹으면 듣지를 못하고 눈이 멀면 보지를 못합니다. 할미새 옹(雝)자는 화락할 옹(雝), 삶을 옹(雝)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여기서 개미허리 변 천(巛)자는 물이 뜨거워져서 김이 오르는 모양을 표시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癰
기운 가득할 비(㿙)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성낼 비(奰)자를 했습니다. 성낼 비(奰)자는 그물 망(罒)자를 세 개 하고, 아래에 큰 대(大)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성이 나서 눈을 부릅뜨고, 이빨을 드러내고 으르렁거리는 모습입니다. 흥분된 상채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㿙
병들어 몸이 구부정해질 련(癴)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걸릴 련(攣)자를 했습니다. 걸릴 련(攣)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를 했습니다. 어지러울 련(䜌)자는 실 사(糸)자가 두 개 말씀 언(言)자가 한 개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실이 엉키면, 말이 엉키면 그 이상 어지러운 것은 없습니다.
癴
날지 못할 별(㿜)자는 병상(病床)에 있으면 날지 못하니까,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날려면 스스로 날아야하기에, 스스로 자(自)자에 피리 약(龠)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피리 약(龠)자는 빈들거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난다는 말은 현실에서 노력해서 스스로 더 높이 점프하는 자세와 힘을 말하는데, 그런 자세와 힘이 없는 경우를 듯하는 글자입니다. 그저 현실에 안주(安住)하여 빈들거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 㿜
마르는 병 란(癵)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저민 고기 련(臠)자를 했습니다. 저민 고기 련(臠)자는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자를 했습니다. 난새 란(鸞), 나무 이름 란(欒), 둥글 란(圝)자들은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마르는 병 란(癵)자도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 = 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