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윤복과 미인도 ) |
신윤복(申潤福)(1758~?)은 신숙주의 동생 신말주(申末舟)의 11대손이며 그의 집안은 대대로 화공을 역임했는데 아버지 신한평이 연려실기술의 저자 이긍익의 아버지 이광사의 초상을 그린 것이 지금도 남아있다.
신윤복은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되며 김홍도(단원), 장승업(오원)과 함께 삼원(三園)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찍이 아버지의 화법을 익혔고, 선배 화원이자 당시 천재성을 인정받았던 김홍도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아래에서도 신윤복은 자신의 화풍을 개척하여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독특한 풍속화를 발전시켰다.
신윤복의 풍속화는 무엇보다도 남녀의 애정행각을 다룬 에로틱한 표현의 춘의도가 많다. 그는 양반귀족들의 위선과 불륜을 대담하게 파헤치고 풍자하면서 인간의 본질적이고 은폐되었던 면을 화폭에 담아냈다. 또한 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존재감을 얻지 못했던 여성들을 작품에 등장시키고, 더욱이 조선시대 가장 천한 신분에 속했던 기녀를 주인공으로 하여 기방(妓房)이나 여속(女俗)에 대한 관심을 고도의 회화성으로 끌어올렸다.신윤복은 풍속화를 통해 시대를 고발하거나 비판하기보다 현실을 긍정하고 낭만적인 풍류와 해학을 강조했다. 아울러 초상기법으로 그린 《미인도》(19세기 초)는 조선 여인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걸작으로 손꼽힌다.
조선 그림의 특징이기도 한 담채의 차분한 아름다움이 짙게 배인 화면의 미학은 주인공이 취한 다소곳한 자세와 가체가 얹힌 잘 빗질된 머리 형태, 정돈된 옷매무새에 의해 더욱 배가된다. 화면의 퇴색을 감안할 때 옅은 노랑저고리에 쪽빛 치마, 그리고 피부색에 가까운 안면 설채는 단조로워 보인다.
그러나 검자줏빛을 띤 머리 오른편의 댕기와 남색 끝동을 단 삼회장저고리의 자줏빛, 특히 선홍이 돋보이는 속고름은 담채 위주의 복색에 절묘한 액센트 효과를 준다. 앞으로 늘어뜨린 흰 치마끈은 당시에 유행하던 차림이었다
소매가 좁고 짧은 가슴의 삼회장저고리에 속옷을 여러 겹 껴입어 배추처럼 부풀린 옥색치마는 하후상박(下厚上薄)의 복식미를 대변한다.(이원복-한국미의 재발견)
가슴에 그득 서린 일만 가지 봄기운을 담아 (盤礴胸中萬化春)
붓끝으로 능히 인물의 참모습을 나타내었다( 筆端能與物傳神)
(하월산의 미인도 관상평)
가채를 정갈하게 얹은 여인이 연미색 삼회장저고리와 풍성한 옥색치마를 입었다. 갸름한 달걀형의 얼굴, 작고 섬세한 이목구비, 좁은듯 하며 아래로 향한 어깨는 한국적 미인상이라 할만 하다
가채머리 형태는 머리를 높게 하여 신분과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왕비와 궁녀들이 많이 하던 방식이나 아마 기생(?)의 신분이어서인지 머리 모양이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형태로는 아니 보인다 ,발제선의 형태가 각이 지고 뾰족한 느낌이 얼굴의 풍모와 어울려 보이지는 않는다 , 상정이 작고 중정과 하정이 길어 보인다 이러한 형태는 부모 및 윗사람 덕이 많지 않은 고단한 삶을 나타내는 관상적 형태라 할수 있다
이마의 형태는 다소 반항 기질이 있으면서 재치가 뛰어나다고 평가 할수 있다, 그러나 인당이 넓고 눈썹이 반달 형태로 미려하며 입이 작아서 톡똑 튀거나 저항적 기질은 많이 순화되고 뭇사람의 사랑을 받을수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전택궁(눈두덩)이 넓고 두툼하며 가느다란 곡선형의 눈썹이 높이 달렸다, 귀가 큰편으로 눈썹 언저리 정도로 위치하나 외륜이 다소 울퉁불퉁하며 미려하지 못하다, 귀의 형태가 면상과 조화미가 부족하다
눈이 가늘고 옆으로 긴편이나 애처로워 보이는 눈빛을 하고 있다,턱이 옛사람 치고는 크지 않으며 둥근듯 하면서 다소 뾰족한 느낌이다, 코끝이 풍요하고 콧망울도 배합이 맞게 멋드러져 보이나 코가 다소 크게 보인다 , 목이 길지만 다소 두꺼운 느낌이다
전체적으로 요즘말로 세련되고 멋을 아는 여성이며 시문이나 , 춤,가무에도 능한 탤런트적 재주가 있는 여성으로 평가 된다 그러나 서방이 준수하고 가정운이 있는 양반집 아낙이 아님이 분명하다, 많은 미술평론가나 관상가들이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한국적 미인이라며 찬사를 늘어 놓고 있다, 그러나 하월산이 보는 측면에서는 즉 아름다운 미인이긴 하지만 비련의 여인으로 본다 즉 한남자의 사랑을 받고 어엿한 가정을 꾸려가는 여인이 아닌 뭇남자과 애증을 쌓아야 하는 가련한 면이 엿보이는 관상이다
인상학 박사인 박경숙(원광대학교 동양문화학 박사=인상학(?)박사)씨는 얼굴의 삼정이 조화롭고 오악이 단정하며 이마,준두,지각의 균형미가 돋보이며 공손한 미인상이다,액각과 발제선이 둥그스럼하고 미려히여 윗사람의 사랑과 귀여움을 받는 선한 상이다. 코가 잘생겨서 중년에 운기가 좋고 재운이 좋다 했다 ,또한 피부가 매그러우며 근육과 골격의 조화가 아름다운 귀격의 여인이라 본다고 했다(박경숙-조선시대 미인의 관상학)
일부는 긍정 하지만 상당한 오류가 있다, 오관과 오악의 배치가 조화로운 편이 못된다, 중년의 운기와 재운이 뛰어나지 못하며 절대 귀격의 여인이 아니다, 인상학 박사 라고 하는 분들의 관상평을 그대로 받아 들이면 관상은 잘못된 길로 가기 쉽다
(하월산관상역학 연구원)
|
첫댓글 하월산 님 글 잘 보앗읍니다. 감사합니다.
신윤복 씨의 화풍이...양반귀족들의 위선과 불륜을 과감하게 파헤치는데....평가 좋은 분이시고.
암튼. 그림속 여자분. 속칭 돈많은 관상이라 보신걸 보니 유명한 기녀엿나 봅니다.
아네! 감사함니다, 저는 재물복이 좋다고 보지 않았습니다, 관상적으로
돈이 많다고 평가 하기 어렵습니다
하월산 님의 관상은 일반적인 분 들과는 좀 다르신가 봅니다.
똑같은 인물도 관상가마다 표현의 뉘앙스는 다를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재,관,육친등 여러 운명적 요소를
볼때에 그릇을 먼저 파악 할줋 알아야 함니다, 그리고 나서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보아야 하는 것임니다
코가 잘(?)생겨서 중년에 운기가 좋고 재운이 좋다고 단순하게 평가 해버리면 초보적 통변이라 할수 있습니다
재뭃을 재백궁이라는 코로 인기를 눈썹으로 대표해서 단식적으로 판단하면 오류가 많습니다, 더구나 관상가,인상학 박사라고 하는 분들이 단순하게 그렇게 표현 한다면 한심하지 않나 함니다, 특별하지 않은 경우 외에는 최소 2-3 정도는 거론 하면서 답을 내려야 틀리지 않습니다
미간이 넓으면 다음하다고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넓게 보입니다
콧구멍이 보이지 않으니 재물복이 있습니다
그 시대에는 저고리 소매가 좁았었나 보군요
소매폭도 신분에 따라 달랐었나 봅니다
인당이 넓으면 대체로 마음이 넓습니다, 성에도 관대한 경향을 띰니다, 그러나 그이유 하나로 다음
하다고 결론을 짓는것은 싱당한 무리가 있숨니다, 않그런 사람도 많다는 거죠,
또 콧구멍이 않보이면재물복의 한 조건은 됨니다, 이 경우도 콧구명 하나로 재물의 결론을 내리면
오류가 많습니다, 그것 보다는돈을 짤 않쓰는 사람이라 할수
있는데 이 여인은 짠순이는 아님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