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wanghwamun needs new name plate in Hangeul'
By Park UngPosted : May 20, 2024, 15:02 Updated : May 20, 2024, 17:06
광화문에는 한글로 새 명판이 필요하다'
SEOUL, May 19 (AJU PRESS) - The iconic signboard of Gwanghwamun, the main gate of Gyeongbokgung Palace in central Seoul, has once again become the center of a long-held debate, with scholars advocating for the use of Hangeul, the Korean alphabet. 서울, 5월 19일(아주프레스) - 서울 중심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상징적 현판이 다시 한번 한글 사용을 옹호하는 학자들의 오랜 논쟁의 중심이 됐다. .
The controversy has resurfaced last week after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Yu In-chon expressed support for the Korean-written signboard during an event marking the 627th birth anniversary of King Sejong the Great, the inventor of Hangeul.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주 세종대왕 탄생 627주년 기념 행사에서 한글 현판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뒤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Scholar Lee Dae-ro and Kim Ju-won, chairman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rgue that the signage should be written in Korean, urging the urgent replacement of the current one bearing Chinese characters. 이대로 대표와 김주원 한글학회 회장은 간판을 한글로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현행 한문 간판의 시급한 교체를 촉구하고 있다.
They emphasize its symbolic significance as the entrance to the birthplace of the Korean alphabet. Jiphyeonjeon or Hall of Worthies, a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by King Sejong and crucially involved in the invention of Hangeul, used to be there in the compound of the royal palace. 한글 발상지의 입구라는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세종대왕이 설립하고 한글 창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연구기관인 집현전은 원래 궁궐 안에 있었습니다.
세종대왕 동상 너머로 광화문의 중국 한자 간판이 보인다. 아주프레스 박종혁
Gwanghwamun, a cherished symbol of Korea's cultural heritage, stands proudly as not only Seoul's historical landmark but also one of the most frequented tourist attractions in the capital. But the presence of the Chinese-written signboard near the statue of King Sejong who created Hangeul, appears absurd, being an eye sore for many Koreans. 한국 문화유산의 소중한 상징인 광화문은 서울의 역사적인 랜드마크일 뿐만 아니라 수도에서 가장 자주 방문하는 관광 명소 중 하나로 자랑스럽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 동상 근처에 한문 간판이 있는 것은 많은 한국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할 정도로 황당해 보인다.
"Gwanghwamun, as the face of Korea, holds significant cultural importance for both foreigners and Koreans," Lee insisted. "It's shameful to se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rarely used these days" in such a prominent location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광화문은 한국의 얼굴로서 외국인과 한국인 모두에게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곳입니다.”라고 이대로 대표는 주장했습니다. 역사적 의미가 있는 이토록 눈에 띄는 장소에서 “요즘 거의 쓰지 않는 한자를 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Throughout the vortex of the country's turbulent history, the royal palace has undergone several destructions and reconstructions over time. Originally built in 1395, it was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It underwent reconstruction in 1865, but was destroyed again during the Korean War. In 1968, a Korean signboard handwritten by former strongman Park Chung-hee was put up, but it did not endure for long. In 2010, it was replaced with a Chinese-written plaque, following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s recommendation to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격동의 나라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왕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축을 겪었습니다. 1395년에 처음 건축되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865년에 중건되었으나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다. 1968년에는 박정희 전 독재자가 직접 쓴 한글 간판이 세워졌지만 오래 가지 못했다. 2010년 문화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라는 한문 명판으로 교체되었습니다.
Advocates for Hangeul including the two scholars propose a new signboard featuring the original archaic versions of Korean letters used in 1446 when it wa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ree years after the invention of Hangeul. 두 학자를 비롯한 한글 옹호자들은 한글이 창제된 지 3년 만에 전국에 널리 보급되던 1446년 한글의 원형을 형상화한 새 간판을 제안했다.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properly promoting Korean historical assets while preserving their values and meanings, especially as Korea and its vibrant culture gains global attention. 그들은 특히 한국과 한국의 활기찬 문화가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역사적 자산의 가치와 의미를 보존하면서 적절하게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im said, "When it comes to the Korea's main landmark, there is no room for disagreement" regarding whether the signboard's characters should be in Korean or Chinese. "Gwanghwamun is a place that comes first to mind for people around the world, and Hangeul is the nation's symbol, so the choice is clear," he added.
Park Ung
김 회장은 “한국의 주요 랜드마크라면 간판 글자를 한글로 써야 할지, 중국어로 써야 할지에 대해서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광화문은 전 세계인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고, 한글은 국가의 상징이기 때문에 선택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박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