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 교실에서 많이 울고 많이 웃으며 다정스럽게 지낸 아이들이
적어도 남의 가슴을 아프게 하지는 않겠지! 비겁한 삶을 살지는 않겠지!
제 한 몸뚱이나 챙기는 그런 얄팍한 삶을 살지는 않겠지!
2004~2010년, 이어 2015년 저자가 서울경기글쓰기 모임 선생님들과 나눈 교실 이야기가 바탕이 되어 엮인 책. 다섯 해를 건너뛴 2015년에는 앞선 이야기를 되새김하긴 했지만, 관점과 풀어내는 방식이 조금 다르기는 하다. 일곱 해 동안 저자의 목소리를 담아낸 이 책은 모임 회원들끼리 제본해서 나눠 읽던 자료를 정식으로 출간하면서 진정한 교육 이야기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뺄 것은 빼고, 보탤 것은 보태고, 다듬은 지 두 해가 넘도록 네 분이 엮어온 열정은 올바른 삶을 살고 있다는 증거가 되어 인간 김익승이 말하는 교육의 모든 것을 드러낸다.
목차
추천사 1 “배워서 남 주자” 교육 실천가, 김익승 선생님
추천사 2 누구보다도 아이들과 자연을 사랑한 김익승 선생님
추천사 3 교사는 힘들어도 학생들이 즐겁도록
추천사 4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선생님을 닮을 수 있을까요?
머리말
1부 사람, 김익승
읽는 그대로│참교육의 지혜 주소서│참 선생 노릇의 어려움│새 학교에 와서│아무도 교장, 교감을 안 하려고 할 때│아직도 가르칠 학년을 몰라요│아직도 용기가 있다│아이들과 지낼 계획│꼭 차를 마셔야 한다면│수영체험학습│사람이 그리워서│죄 많은 선생│배운 사람들│떡이 먹고 싶어서│내가 좋아하는 먹을거리들│빡세게 일한 날
2부 교실 이야기
늘 되돌아가고 싶은 고향│스스로 움직이는 아이들│내가 많이 하는 말과 생각들│숨기고 싶은 이야기│울면서 한 식구 되기│그리움│더 보고 싶은 아이들│희수와 용주│벽은 어떻게 해서라도 헐어버려야만 옳은가│시와 노래│남을 위해 기도하기│아이들과 지내다가 지루할 때│실컷 노는 게 숙제│학급문고 이야기│이곳저곳 다니며 배우는 방학│올 줄 아는 어린이(퇴임사)
3부 글쓰기
선생님을 만난 이야기│평생 외로우셨던 분│너무 믿은 것도 죄│사실을 떠나면 글이 안 된다│차갑기만 한 비판│사람은 따뜻하게, 한 일은 냉정하게│아쉬움으로 남기겠습니다(이오덕 선생님께)│회보 글로 상처받은 이야기│가슴에 묻어두었던 말들│다시 한 번 스스로 불태워 달려가자│더 외로워야
나오며 후배들에게
편집 이야기 책을 엮으며
저자 소개
저 : 김익승
물 맑고 산 깊은 강원도 두메산골에서 반 화전민 농사꾼의 맏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975년부터 서울에서 초등학교 선생이 되어 ‘늘 되돌아가고 싶은 고향’ 같은 교실을 만들어 보려고 마흔두 해 동안 도시 아이들과 씨름했습니다. 1985년 12월, 사표를 가슴에 품고 힘겹게 교단에 서 있을 때 이오덕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이때부터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에 들어가 총무 네 해, 사무총장 두 해, 이사장 두 해 모두 여덟 해를 심부름꾼으로 일하며 회원들을 섬겼습니다. 교실에서는 글쓰기 교육으로 아이들 참삶을 가꾸는 데 힘쓰며 1986년부터 퇴직할 때까지 ‘배워서 남 주자’는 이름으로 학급문집을 꾸준히 만들어 왔습니다. 제자들의 결혼식 주례를 할 때마다 “앞으로 더 배우려 너무 애쓰지 마라. 지금까지 배워서 알고 있는 것들 가운데 단 하나라도 제대로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라.”는 말을 빠뜨리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웃음보다 먼저 ‘눈물’을 가르치고 싶어 했습니다. 나는 늘 죄 많은 선생이라 생각합니다. 교실을 벗어나 때 묻지 않은 자연 속에서 공부하는 상상을 멈춘 적이 없습니다. 차 짐칸에는 ‘늘 어디론가 떠날 채비를 하는 그대’(백창우 시 ‘그대 오늘은 어느 곳을 서성거리는가’에서)답게 온갖 물건들이 실려 있지요. 마음먹은 날이 오래이니 머지않은 날 ‘외로운 길 손잡고 같이 걷던 그리운 동무들’ 찾아 자주 떠나게 될 것도 같습니다.
책 속으로
이 과정에서 오늘도 조금 전에 이 일과 관련해서 몇 가지 일이 있었지만, 가슴이 답답해서 다 못 쓰겠다. 그냥 머리로만 생각하고 찬찬히 기억나는 대로 낙서하듯 적어두어야겠다. 학교 교육과 관련한 소소한 일로 할 말들이 있어도 한 박자, 반 박자씩 늦춰서 낮은 소리로, 느리게 반응하려는데 뜻대로 안 된다. 여덟 달이니까 참 오래 참았다. 더 참고 견디기 어려울 것 같다. 이렇게 말로 하면 안 될까? 얼마나 끈질기게 해야 하나? 그냥 무시하면 될까? 생리하는 아이들을 참관 학습시키려고 사흘(결국 하루 줄어서 이틀이 되었지만)씩 수영장 데려가서 이렇게 불편하게 해야만 하나? 나도 이부영 선생처럼 그렇게 싸워 왔는데, 내 자신에게 아무 득도 없는 짓을 많이도 해 왔는데. 싸우는 것이 두려운 게 아니라 내 생각이, 내 하려는 일이 어그러질까 봐 신중해지고 있는 거다. ‘그 나이에 아직도…’ 하는 말도 부담스럽지만 눈앞에서 뻔히 일어나는 일들을 모른 체하지 못하겠다. 이런 내가 딱하고 딱하다. 내가 당한, 당할 불이익을 생각한다면 이러면 안 되지. 바보, 바보 김익승.
--- p.50
다른 말은 별일 없었는데 ‘죄 많은 선생이다’란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은 꽤 되더군요. 좋은 뜻에서가 아니라, “선생이 왜 죄인이냐? 선생만큼 착한 사람들이 어디 있느냐?”면서 날 이상하게 볼 때 정말 비애를 느꼈습니다. 나는 진짜 죄인입니다. 이 말들은 내가 입버릇처럼 내뱉고, 글로 쓰기도 하고, 무엇보다 내 마음가짐이나 행동을 할 때 나를 가다듬는 울타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 p.102
나는 아이들 일에 깊이 끼어들지 않고, 알맞은 거리를 두고 부딪치고 깨지고 하는 동안 아이들 스스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걸 믿고, 아주 특별한 경우 아니라면 해결사로 나서는 걸 삼가고 있다. 아이들과 선생 사이에 새로운 벽이 생길까 봐, 생긴 벽조차 아이들 스스로 힘으로 허물어버리게, 위험하지 않을 만큼 지들이 원래 지닌 지혜로 풀어가도록, 지나치지 않은 도우미가 되려 한다. 모른 체하면서도 늘 마음은 아이들 근처를 맴돌고 있다. 그게 타성이 되어 깜빡, 무관심이 될 수도 있으니 고삐를 놓치지는 말아야 할 테지만.
--- p.146
겨울답지 않게 날씨가 푸근하더니 내일 저녁부터 다시 추워진답니다. 선생님 계신 하늘나라에도 눈 오고 비도 오고, 봄, 여름, 가을, 겨울도 있을까요? 제 생각에 선생님은 어릴 적 살던 바로 그런 동네에서, 그리워하던 동무들과 정답게 나무와 풀과 새들이랑 어울려 참으로 오랜만에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계실 것 같습니다. 아니, 그러셔야 합니다. 며칠 전 강원도 산골에 갔다가 밤새 내린 눈이 온 세상을 하얗게 덮은 걸 보았어요. 마치 제가 꿈을 꾸고 있는 게 아닐까 싶을 만큼 아름다움에 넋을 잃었지요. 그땐 그냥 편안했습니다. 그런데 이놈의 서울에 오니 틈만 나면 그곳이 어른거리네요.
--- p.190
위에서 지적한 대문에 ‘글쓰기 지도자’란 말이 나옵니다. 이 말을 어떤 뜻으로 쓰셨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나처럼 실제 아이들 교육은 안 하고 글쓰기 교육을 바로잡는 운동 같은 것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바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을 말한 것인지 모르지만, ‘우리 모임이 뛰어난 글쓰기 지도자를 기르는 것만이 목적이라면…’ 했는데, 우리 모임의 목표는 회칙 제1조에 밝혀 놓았습니다. 지난날 글쓰기회 총무 일까지 맡아 본 선생님이 글쓰기회의 목적을 모를 턱이 없는데, 어째서 이런 말씀을 하시는지요? 회칙에 밝혀 놓은 목적과는 아주 다르게 우리 회가 변질이 되었다고 보시는지요? 더구나 그다음 말에는 더욱 놀라겠습니다.
--- p.231
출판사 리뷰
우리 아이들 ‘있는 그대로’를
언제쯤 온전히 사랑할 수 있을까?
“우리 반 아이들과 함께 지내는 한 해 동안 도시 아이들에게 ‘고향’을 만들어 주고 싶다. 헤어져 이 세상을 살아가다가 지치고 힘들 때, 외로울 때 되돌아보면 마음에 위로를 주고 힘을 주는 ‘따뜻한 고향 뒷동산’ 같은 시절이 되게 해주고 싶다. 나는 그 고향 뒷동산 작은 바위나 참꽃 한 그루쯤 되면 좋겠다.”
선생님 교실에서 ‘그리움’이라는 공책을 봤습니다. 졸업한 제자들이 선생님을 찾아왔다가 남긴 글이 대부분이었는데, 애틋하고 열렬한, 애처롭고 눈물 나는 삶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습니다. 선생님을 그리워하고, 고향 같은 교실을 생각하며 힘든 세상살이를 견디는 이야기, 서로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이야기가 마음을 따뜻하게 했습니다. 이 기록을 세상 사람들이 본다면 누구든 나쁜 마음을 먹다가도 착하고 평화로운 사람이 될 것 같았습니다. 선생님의 사는 모습이 더 많이,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생각만 하다가 어떻게 해보지도 못하고 십 년이 지났습니다.
서울경기글쓰기회에서 선생님의 글을 모아 엮어낸다기에 그때의 마음이 되살아나 함께 참여했습니다. 지금에야 선생님의 글을 다시 읽습니다.
선생님의 글은 세 갈래로 나뉩니다. 집안의 아들, 남편, 아버지, 이후 할아버지로 산 삶이 담긴 글은 ‘사람 김익승’으로 이름했고, 아이들 앞에 부끄럽지 않은 참 선생으로 살아온 삶을 담은 글은 ‘가르침’으로, 글쓰기회 일꾼으로 살아온 삶은 ‘글쓰기’로 이름하여 나누었습니다.
사람 냄새가 물씬 나는 ‘사람 김익승’은 땀 흘려 일하는 사람 편에 서 있습니다. 불평등한 교육 현실에 고뇌하고, 아이들 편에 서지 못한 자신을 스스로 꾸중합니다. 교육의 질곡에서 떨리는 목소리로 잘못된 것을 바로 세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선생으로 살면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가르침 속에서 배워 함께 성장하는 교실을 봅니다. 뭐니 뭐니 해도 ‘김익승’은 선생입니다. 아이들 앞에 서 있을 때 빛나 보입니다.
이 책은 바로 사람 김익승의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