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VX동영상 종류정리] DIVX 란 포멧으로 압축하여 release 되는 영화 종류는 DVD-rip 만이 아닙니다. 여러 형태의 영화가 DIVX 포멧으로 압축되어 나옵니다. 현재 돌고있는 각종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캠(CAM), TS(Telesync), TC(Telecine), DVDRip 이렇게 나눌 수 있습니다.(VHS-Rip, Screener (SCR)추가) ● 1. Cam 극장에서 사람이 수동으로 캠코더로 녹화한 영화. 영상과 음성을 모두 캠코더로 처리하기 때문에 둘 다 상태가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가끔 사람이 지나가기도, 머리가 쑥 나오기도 합니다. 대체로 화면이 기울어져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MPEG 포멧으로 압축되어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DivX 는 아닌 셈이죠. 보통의 경우 미국에서 갓 개봉한 영화에 해당한다. ● 2. Telesync (TS) Telesync TS라고 줄여서 쓰기도 합니다. 영상은 Cam 버젼과 마찬가지로 극장에서 캠코더로 녹화하지만 음성은 따로 녹음하여 가져다가 나중에 다시 합쳐 인코딩을 한 버젼을 말합니다. 오디오 수준은 CAM보다는 양호하지만 Cam 버젼과 비교해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 3. Telecine (TC) Telecine TC라고 줄여서 쓰기도 합니다. 여러 방법을 이용해 영상과 음성을 얻지만 보통의 경우 테이프에서 추출합니다. Cam이나 Telesync에 비해서 보다 나은 영상과 음성을 보여준다. DVD에 비해 색감이 조금 떨어지는 단점(화면이 번쩍번쩍 거리는 느낌을 받습니다)이 있지만, 요즘 TC파일들도 굉장히 잘 나옵니다. 정식 DVD를 기다리지 못하실 때에는 TC판을 보셔도 무방할 듯 합니다.
● 4. VHS-Rip VHS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해서 만든 동영상으로, 캠버전 보다는 우수하나 DVD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화질이 떨어집니다. 화면비가 4:3이기 때문에 화면 위아래 검은 띠가 있습니다. ● 5. Screener (SCR) 영화제작이 완료되면 영화 개봉전에 영화 제작사에서 극장주에게 주어지거나 또는 영화사에서 홍보용으로 배포하는 VHS 테이프나 VCD(비디오CD)가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을 추출한 것으로, 지금은 DVD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가끔은 경고문구가 뜨기도 합니다. Cam 버젼보다는 화질이 좀 더 낫지만 그다지 높은 수준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잘 찍은 Cam 과 Screener는 구분하기 힘듭니다. 이 역시도 MPEG 로 포맷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6. Pdivx mPeg DivX 의 약자로 Screener 나 Cam 버젼으로 제작된 Mpeg 포멧의 동영상을 DivX 로 다시 인코딩한 것입니다. Cam 이나 Screener 와 화질 면에서는 다를 바가 없으나, 따진다면 원본 자체의 영상와 음성이 좋지 못한데다가 다시 한 번 인코딩을 거쳤기 때문에 영상, 음성 모두 형편없습니다. 굳이 장점이라면 DivX의 압축율이 높으니 매우 작은 용량으로 줄어드는 정도입니다. 위의 여섯 종류는 화질만 놓고 보면 그렇게 큰 차이가 없어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캠 (CAM) 버젼이라고 통칭하기도 합니다. smr 에서 release 하는 영화나 중국어 자막이 삽입된 영화들이 이 부류에 속합니다. ● 7. VCD 시중에 출시된 VCD(Video-CD)를 MPEG 포멧으로 인코딩하여 릴리즈된 동영상을 말합니다. 화질은 일반 비디오 테이프보다는 약간 낫지만, 역시 높은 수준의 영상과 음성을 기대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 8. DVD-Screnner DVD가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에 비평가 또는 극장주에게 주어지는 DVD에서 동영상을 추출한 것입니다. 화질은 DVD와 동일합니다. 다만,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다보면 중간중간 영어글자(배포금지, 복사금지)라던가 시간이 나오기도 합니다. ● 9. DVD-rip (DVDivX) DVD에서 동영상을 추출하여 DivX로 인코딩하여 만든 것입니다. 화질이 가장 뛰어나죠. 일반적으로 DivX 라 불리는 것이니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같은 DVDRip이라도 화질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코딩 방식에 따라서 DivX, SVCD, XviD 등의 방식으로 불립니다. ● 10. SBC Smart Bitrate Control 의 약자로 새로운 종류라고 하기보단 DivX 인코딩 방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DivX 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깍두기 현상(화면에 바둑판형식의 얼룩)을 어느정도 제거해주는 획기적인 방법입니다. 영화의 속도를 분석하여 인코딩 rate 를 변화시켜 주면서 DivX low motion 와 DivX high motion을 적절히 선택하게 하여 이 현상을 없애주는 것입니다. (오디오와는 상관없는 단지 영상 인코딩 기술이다.) [오디오-코덱 종류정리] ● 1. AC3 영상과는 전혀 관계가 없지만 DVD-rip 의 또 하나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음향을 DVD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입니다. 기존의 DivX 는 음향을 MP3 로 인코딩하기 때문에 DVD 와 같음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AC3 에서는 DVD 에서 지원하는 5.1 채널 사운드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따로 AC3 코덱과 5.1 채널 지원 스피커가 있어야 하겠지요. 또한 AC3 5.1채널로 사운드를 인코딩하게 되면 동영상의 용량이 대폭 늘어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DTS AC3보다는 더 나은 오디오코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의 음향감각으로는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습니다. [인코딩(릴리즈)팀 종류정리]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릴리즈 팀들은 WAF, JUPiT, JJH등이 있습니다. 다른 릴 그룹들이 화질이 안 좋다는 것은 아니나. 같은 파일을 비교해 봤을때. 위에 말한 팀들이 화질이 우수합니다.(이건 제 의견보단 여러 사람들의 말을 종합한겁니다) JJH는 한장짜리 파일만 만듭니다. 한장짜리로는 최고의 화질이라고 입소문이 나있으며, WAF는 원래부터 유명했었고. 두장을 기본으로 해서 네장, 다섯장 막 넘어갑니다. 장수는 많지만. 소장용으로 특히 유명하며. 그만큼 화질은 보장해줍니다. JUPiT는 요즘 새로 나오는 팀인데 개인적으로 JUPiT릴은 거의 눈물나는 화질인거 같습니다. 그만큼 화질이 좋다는 말입니다. 너무 깨끗해서 잡티까지 보인다는... 이외에도 TV프로 릴에 최강자 LUXURY등도 화질이 좋습니다. [기타] 자 이제 애니나라에 있는 감상용 파일제목들을 가지고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구분해보겠습니다... ex)Mr.and.Mrs.Smith.2005.TC.XviD.AC3.CD2-MiNY.avi 2005년도 개봉작 [미스터&미세스 스미스]를 MiNY 릴리즈 팀에서 AC3 오디오 코덱을 쓴 TC판 2장짜리로 만든 파일이라는 말입니다.. ex)Batman.Begins.2005.CAM.CD2-COBRA.mpeg 2005년도 개봉작 [배트맨 비긴즈]를 COBRA 릴리즈 팀에서 CAM판 2장짜리로 만든 파일이라는 말... CAM 파일은 끝에 파일명이 보통 mpeg이나 wmv로 끝납니다.. ex)사하라.2005.DVDSCR.XViD.AC-5.CH.2CD.MOF.avi 2005년도 개봉작 [사하라]를 MOF 릴리즈 팀에서 AC 5채널 지원하는 DVDSCR판 2장짜리로 만든 파일이라는 말... DVDSCR(일명 스크리너)이란 것은 DVD가 출시되기 전에 배포되는 DVD에서 추출하는 겁니다... ex)Simone.2002.DVD.SCREENER.XviD.AC3.CD2-DEiTY.avi 2002년도 개봉작 [시몬]을 DEiTY 릴리즈 팀에서 AC3 코덱으로 DVD.SCREENER(스크리너) 2장짜리로 만들었다는 말... 이제 이해되십니까? 근데, 간혹 저런 파일명을 다 삭제한뒤에 이름만 적혀잇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ex)타인의취향.The Taste Of Others,1999.avi 1999년도 개봉작 타인의 취향이란것 밖에 알수 잇는 파일정보가 없습니다. 임의로 파일명이나 릴리즈 그룹을 삭제한뒤 이름만 바꿔서 올리는 경우입니다. 즉, CAM인지.. DVD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지요. 가장 좋은 방법은 파일을 받으면서 바로 재생하여 화질을 확인하는게 좋겠습니다. 보통 클박에서 받을 때 보면 파일이 두개 형성이 됩니다 영화.avi._CRCDATA_ 이거하고 영화.avi._NEO_ 이거랑요...피박도 마찬가지로... 이중에서 두번째거를 곰플이나 다른 플레이어로 재생하면 받는 도중에도 재생이 됩니다...단, 윈미디어플레이어는 안됩니다. 화질 구분이 안 될 때에는 용량으로 구분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DVD 파일들은 700M 전후의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698.2M or 700.3M) 파일 용량이 700M를 많이 넘어간다던가. 많이 적다던가 하면. 거의 CAM일 확률이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