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왕기 상의 개요와 연대
열왕기 상의 개요
열왕기 상의 기록연대는 제1차 포로에서 귀환하기 이전인 561B.C.-537B.C.사이의 기록으로 보인다.
기록목적은 남북조 왕들의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께 순종하는 삶과 거역하는 삶을 대비해서 참된 번영과 행복한 삶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아옴을 교훈하기 위한 것이다.
열왕기 상의 특징은 이스라엘이라고 하는 한 나라가 분열하는 이유가 솔로몬의 죄로 말미암으며 하나님이 같이하실 때 솔로몬의 영화가 있었으나 남북조가 갈린 후에는 번영과 누리는 삶보다는 아노미적 혼란과 이런 혼란이 백성으로 극에 달하는 고난을 겪게 한다는 것을 잘 기술하고 있다.
열왕기 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솔로몬의 통치(왕상1:1-4:34)
2. 솔로몬의 건축사업(왕상5:1-9:28)
3. 솔로몬의 부와 명성(왕상10:1-29)
4. 솔로몬의 타락과 벌(왕상11:1-43)
5. 분열왕국 시대(왕상12:1-22:53)
중요 연대
1050 B.C.왕정(王政)이 시작되다. 사울이 이스라엘 초대 왕이 되다.
1010B.C.* 사울 왕과 3 아들이 블레셋과 길보아 전투에서 죽다.
* 다윗이 유다의 왕이 되다.
1005B.C.사울의 4자 이스보셋이 길르앗 마하나임에서 왕이 되다.
1003B.C.다윗이 유다, 이스라엘 십이 지파의 통일왕국 왕이 되다.
970 B.C.솔로몬이 이스라엘 통일왕국의 왕이 되다.
959 B.C.966 B.C솔로몬 성전 건축 시작하여 959 B.C에 완공하였다.
930 B.C.* 르호보암이 분열 후 남조(南朝) 유대 초대 왕(930B.C.-913B.C.)이 되다.
(왕상 11:43-14:31; 대하 9:31-12:16)
* 여로보암이 분열 후 북조(北朝) 이스라엘 초대 왕(B.C. 930-909)이 되다.
(왕상11:26-14:20; 대하10:12-13:20)
913B.C.아비얌 유대 2대 왕(913B.C.-910B.C.)이 되다. (왕상14:31-15:8; 대하13:1-14:1)
910B.C. 아사 유대 3대 왕(910B.C.-872B.C.)이 되다. (왕상15:8-24; 대하 14:1-16:14)
909B.C.나답 이스라엘 2대 왕(909B.C.-908B.C.)이 되다. (왕상14:20; 15:25-28)
908B.C.바아사가 이스라엘 3대 왕(908B.C.-886B.C.)이 되다. (왕상15:27-16:7;
대하 16:1-6)
886B.C.엘라 이스라엘 4대 왕(886B.C.-885B.C.)이 되다. (왕상 16:6-14)
885B.C.시므리가 엘라왕을 죽이고 7일간 왕 노릇 하다. (왕상16:9-20)
885B.C.오므리 이스라엘 5대 왕이 되다. (885B.C.-874B.C.)이 되다. (왕상16:16-28)
874 B.C. 아합이 이스라엘 6대 왕(874B.C.-853B.C.)이 되다. (왕상16:29)
872B.C.여호사밧 유대 4대 왕(872B.C.-853B.C.)이 되다. (대하20:31-34)
853B.C.아하시아 이스라엘 7대 왕(853B.C.-852B.C.)이 되다. (왕상22:40-왕하1:18;
대하20:35-37).
852B.C.요람이 이스라엘 8대 왕이 되다. 12년 치세하다.
848B.C.여호람이 유대 5대 왕이 되다.
841B.C.* 아하시아가 유대 6대 왕이 되다.
* 아하시아의 어머니 아달랴가 왕의 자손을 다 죽이고 유대 7대 왕이 되다.
841B.C.예후 이스라엘 9대 왕이 되다. 유다 요람 왕 11년이다.
835B.C.* 요아스가 유대 8대 왕이 되다.
814B.C.여호와하스 이스라엘 10대 왕이 되다.
798B.C.요아스 이스라엘 11대 왕이 되다.
796B.C.아마샤가 유대 9대 왕이 되다.
793 B.C.-753B.C.이스라엘 12대 여로보암 2세(793B.C.-753B.C.)가 통치하다.
792B.C.웃시아(아사랴)가 유대 10대 왕이 되다.
771B.C.-754B.C.요나의 활동 시기로 이스라엘 여로보암 2세 치세 시기이다.
760B.C.-753B.C.아모스 선지자 활동 시기이다.
750 B.C.요담이 유대 11대 왕이 되다.
740 B.C.-680년 이사야 선지자가 예언 활동을 한 기간이다.
735B.C.아하스가 유대 12대 왕이 되다.
728B.C.-697B.C.미가 선지자 활동한 기간이다.
722B.C. 아시리아에 의해 북조 이스라엘이 멸망하였다.
715B.C.히스기야가 유대 13대 왕이 되다.
697B.C.므낫세가 유다 14대 왕이 되다.
663B.C.-609B.C.나홈 선지자 활동시기이다. 유다 왕 요시야 때이다.
640 B.C. -621B.C.스바냐 선지자의 활동시기이다.
627B.C.-586 B.C. 유다 멸망 후에도 상당기간 예레미야는 예언 활동을 하였다.
예레미야 시대의 유다 왕들은 요시아(640B.C.-609B.C.), 여호아하스(609B.C.),
여호야김(608B.C.-597B.C.), 여호야긴(597B.C.), 시드기야(597B.C.-586B.C.)
유다 총독 그달랴(586B.C.), 그달랴 이후 유다 지도자가 된 요하난(585B.C.),
612B.C.-588B.C. 하박국 선지자 활동시기이다.
605B.C.바빌로니아 1차 침략과 1차 포수 되어가다. 다니엘 포수 되어 가다.
597 B.C.바빌로니아 2차 침략과 2차 포수 되어가다.
593 B.C.에스겔이 사역을 시작하다. 에스겔의 사역 기간(593B.C.-570B.C.)은 23년간이다.
588B.C.* 바빌로니아 3차 침략, 예루살렘 포위(18개월간)되다.
* 바빌로니아에 의한 남조 유다왕국의 멸망(예루살렘 함락)과
3차 포수 되어가다.
* 5월 7일 예루살렘 솔로몬의 성전이 바빌로니아에 의해 불타다.
539B.C.바빌로니아 왕국이 페르시아(바사)에 의해 멸망하다.
538B.C.-515B.C.페르시아가 유다 포로를 제1차 예루살렘으로 귀환시키다.
536B.C.제2 성전(스룹바벨 성전) 건축을 시작하다.
530B.C.제2 성전(스룹바벨 성전) 건축이 중단되다.
520 B.C.* 학개와 스가랴 선지자가 되다. 성전 재건을 촉구하다.
* 제2 성전(스룹바벨 성전) 건축을 재개하다.
516B.C.제2 성전(스룹바벨 성전) 건축이 끝나다.
483B.C.-473B.C.에스더가 페르시아 크세르크세스 1세(아하수에로 왕)의 왕비로
재위하다.
458B.C.에스라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다.
457 B.C. 제2차 포로가 귀환하다.
445B.C.느혜미야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다.
444B.C.-425B.C.제3차 포로 귀환하다.
430 B.C.말라기 선지자가 되다.
320B.C.-198B.C.유다가 이집트에 근거를 둔 프톨레마이오스왕조의 지배를 받다.
198 B.C.-142B.C.유다가 시리아에 근거를 둔 셀레우코스왕조의 지배를 받다.
166B.C.-142B.C.셀레우코스왕조 안티오쿠스 IV에 대항하는 마카비 항전이 있었다.
142B.C.-63B.C.유대 독립왕국 하스몬 왕조가 이스라엘을 통치했다.
63B.C.유대가 로마에 예속된다.
37B.C.-4B.C.(또는 6년) 헤롯대왕(헤롯은 로마가 세운 왕이다.)
헤롯이 스룹바벨의 성전을 완전 개조하는 헤롯 성전을 건축한다.
6B.C.혹은 4년에 예수 탄생하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김정권(2016). 평신도 눈높이의 성경 통독 가이드: 맛있는 1189, 행복한 298. pp.83-177.
* 이스라엘의 역대기는 저자마다 그 연도가 달라서 위의 자료는 다음 자료를 원용하였다.
Chronological Life Application Study Bible(2007): New Living Translation 2ndEd. Carol Stream, Ill:
Tyndale House Pub. Inc. 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고
Rogerson, J(1999). Chronicle of the Old Testament King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of ancient Israel. London: Thames and Hudson, Ltd.
John Bright. History of Israel. 3rd ed의 자료를 Brisco, Thomas V.(1998). A Complete Guide
to the Expansive Geography of Biblical History. Nashville, Te. 102-117에서 재인용하였다.
Bright의 자료는 왕의 역대기에 많이 참고하였다.
유대와 이스라엘의 주변 정세
열왕기 상하는 이웃 국가 즉 이집트(Egypt; 애굽), 아시리아(Assyria; 앗수르), 바빌로니아(Babylonia; 바벨론)와 페르시아(Persia; 바사)와 매우 깊은 관계가 있어서 성경을 읽기 전에 이들 나라를 치세한 왕의 역대기를 간단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집트(Egypt; 애굽) 왕조와 왕
이집트 제3 중간기 왕국시대(1069B.C.-664B.C.)
이집트 제3 중간기 왕국시대(1069B.C.-664B.C.)
제 21 왕조(1069B.C.-945B.C.)
* 스멘데스(Smendes: 1069:B.C.-1043B.C.)
* 아메넴니수(Amenemnisu: 1043B.C.-1039B.C.)
* 프수세네스 1세(Psusennes I: 1039B.C.-991B.C.)
* 아메네모페(Amenemope: 993B.C.-984B.C.)
* 오소르콘(Osorkon: 984B.C.-978B.C.)
* 시아문(Siamun: 978B.C.-959B.C.)
* 프수세네스 2세(Psusennes II: 959B.C.-945B.C.)
제 22 왕조(945B.C.-715B.C.)
* 셰숑크 1세(Sheshonq I: 945B.C.-924B.C.)
* 오소르콘 1세(Osorkon I: 924B.C.-889B.C.)
* 셰숑크 2세(Sheshonq II: 890B.C.)
* 타켈롯트 1세(Takelot I: 889B.C.-874B.C.)
* 오소르콘 2세(Osorkon II: 874B.C.-850B.C.)
* 타켈롯트 2세(Takelot II: 850B.C.-825B.C.)
* 셰숑크 3세(Sheshonq III: 825B.C.-773B.C.)
* 피마이(Pimay: 773B.C.-767B.C.)
* 셰숑크 5세(Sheshonq V: 767B.C.-730B.C.)
* 오소르콘 4세(Osorkon IV: 730B.C.-715B.C.)
북방 아시리아(Assyria; 앗수르) 왕
*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Tiglath-pileser III, 744B.C.–727B.C.) 성경에서는 이 사람을
불(왕하15:19)이라고 기술한다.
* 살만에세르 5세(Shalmaneser V, 726B.C.-722B.C.), 사마리아를 3년간 포위(왕하17:5)한
사람이다. 북조 이스라엘이 멸망한다. 성경에서는 살만에셀로 기명된다.
* 센나케립(Sennacherib: 704B.C.–681B.C.) 유대 왕 히스기야를 공격(왕하18:13-16)했다.
성경에서는 산헤립으로 기록된다.
* 612B.C.신바빌로니아 왕 나보폴라살(626 B.C.-605 B.C.)에 의해
아시리아는 멸망한다.
북방의 신바빌로니아(Neo-Babylon; 바벨론)
* 느부갓네살(Nebuchanezzar, 605B.C.-562B.C.) 이집트, 아시리아, 유대를 멸망시킴
586B.C.유대는 멸망하고 예루살렘 성전도 불타 버린다.
539B.C.페르시아(바사) 고레스 왕에 의해 신바빌로니아도 멸망한다.
* 아멜 마르둑(Amel-Marduk: 562B.C.-560B.C.)
* 네르갈-샤레제르(Nergal shar usur: 560B.C.-556B.C.) 또는 ‘네르갈-사르-우수르’
* 라바시-마르둑(Labashi-Marduk: 556B.C.)
* 나보니두스(Nabonidus: 556B.C.-539B.C.) 또는 ‘나부-나이드“
* 벨샤자르(Belshazzar: 550B.C.–539B.C.) 성경에서는 벨사살(다니엘 5장)이다.
신바빌로니아의 마지막 왕이다.
* 539B.C.페르시아(바사) 키루스(고레스) 대왕에 의해 신바빌로니아는 멸망한다.
페르시아(Persia; 바사) 왕
* 키루스(고레스) II세(559B.C.-530B.C.)
* 캄비세스 II세(530B.C.-522B.C.)
* 수메르디스(522B.C.)
* 다리우스(다리오) I세(522B.C.-486B.C.)
* 크세륵세스(아하수에로) I세(486B.C.-465B.C.).
*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 I세(465B.C.-424B.C.)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omas V. Brisco(1998). A Complete Guide to the Expansive Geography of Biblical History. Nashville, Te. p. 237
북 이스라엘 왕국 | 열왕과 선지자 요약연표 | 남 유다 왕국 | ||||||||||||
왕(19명) | 선지자 | 선지자 | 왕(20명) | |||||||||||
*1922-901 901-900 | 여로보암I 나 답 | 922 BC900 | 솔로몬 통일왕국의 분열 | 앗 수 르 | 르호보암 | 922-915 | ||||||||
아비야 | 915-913 | |||||||||||||
아 사 | 913-873 | |||||||||||||
900-877 877-876 | 바아사 엘 라 | 아람왕 벤하닷, 사마리아 포위(왕상20) 미가야의 경고,아합전사(왕상22:37) 예후가 조공을 바침 | ||||||||||||
857 855? 841 BC800 | ||||||||||||||
여호사밧 | 873-849 | |||||||||||||
876(6일간) | 시 므 리 | |||||||||||||
876-869 | 오 므 리 | |||||||||||||
869-850 | 아 합 | |||||||||||||
엘리야 | ||||||||||||||
여호람 | 849-842 | |||||||||||||
850-849 | 아하시야 | |||||||||||||
엘리사 | ||||||||||||||
아하시야 | 842 | |||||||||||||
849-842 | 요람(여호람) | |||||||||||||
아댤랴 | 842-837 | |||||||||||||
842-815 | 예 후 | |||||||||||||
요아스 | 837-800 | |||||||||||||
815-801 | 여호아하스 | |||||||||||||
801-786 | 요 아 스 | 베가,유다와 전쟁(사7) 아하스,앗수르에 원조요청(왕하16:5-17) 앗수르군,사마리아침공(왕하17:3) 사마리아함락(왕하17:6) 히스기야,애굽과 결탁 산헤립,유대침입시도(왕하18:17) | ||||||||||||
아마샤 | 800-783 | |||||||||||||
735 724 721 705 701 BC700 | ||||||||||||||
요나 아모스 | ||||||||||||||
786-746 | 여로보암II | |||||||||||||
웃시야 (아사랴) | 783-742 | |||||||||||||
742 | 722 | |||||||||||||
호세아 | ||||||||||||||
미 가 | ||||||||||||||
이 사 야 | ||||||||||||||
746-745 | 스 가 랴 | |||||||||||||
요 담 | *2750-735 | |||||||||||||
745 | 살 룸 | |||||||||||||
745-738 738-737 | 므 나 헴 브가히야 | |||||||||||||
아 하 스 | 735-715 | |||||||||||||
737-732 | 베 가 | |||||||||||||
732-724 | 호 세 아 | |||||||||||||
722 | 북이스라엘멸 망 | |||||||||||||
히스기야 | 715-687 | |||||||||||||
700 | 701 | |||||||||||||
(신)바벨론제국 발흥 신명기 발견, 요아스의 종교개혁(왕하22) 앗수르멸망(니느웨함락) 므깃도에서 요시야 전사 바벨론1차침공(대하36:7) | ||||||||||||||
626 622 612 609 605 BC600 | ||||||||||||||
므낫세 | 687-642 | |||||||||||||
아 몬 | 642-640 | |||||||||||||
요시야 | 640-609 | |||||||||||||
예 레 미 | 스바냐 나훔 하박국 | |||||||||||||
바 벨 론 | ||||||||||||||
여호아하스2세 | 609 | |||||||||||||
여호야김 | 609-598 | |||||||||||||
바벨론2차침공(왕하24:12) 3차침공,예루살렘함락(왕하25:1-) 고레스왕의 해방령(스1:1-2) 제2(스룹바벨)성전 완공 (스6:15) | ||||||||||||||
야 | ||||||||||||||
598-597 589-587 538 516 BC500 | ||||||||||||||
여호야긴 | 598-597 | |||||||||||||
시드기야 | 597 | |||||||||||||
남유대 멸망 | 587 | |||||||||||||
에스겔 | ||||||||||||||
오바댜 | ||||||||||||||
페 르 시 아 | ||||||||||||||
학개 스가랴 | ||||||||||||||
말라기 | ||||||||||||||
출처: 대한 에스라 성서 연구원 글쓴이: 장기용(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