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변 으 로 건 강 지 키 기
노란색 소변은 물 마시라는 신호!
노화(老化)는 건조해가는 과정일까?
주름 접힌 바싹 마른 할머니 손과 오동통한 손자의 손...
마치 고목(古木)과 새순을 비교하는 듯 하다.
실제 아기는 체중(體重)의 80%가 물이다.
반면 노인(老人)이 되면 수분은 50% 이하로 떨어진다.
성인 남성은 60%, 여성은 피하 지방(脂肪) 이 많아 55%가 수분이다.
물은 우리 몸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첫째는 씻어주는 역할을 한다.
하천(河川)의 풍부한 물이 오염(汚染)물질과 쓰레기를 쓸어버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둘째는 혈액 순환을 도와준다.
물이 고갈(枯渴)되면 혈액이 걸쭉해진다. 물을 많이 마시면 피가
맑아져 동맥경화를 줄인다. 나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脂肪)이
혈관에 끼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셋째는 땀을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땀은 피부를 건강하게도 한다. 이밖에도 배변(排便)을 촉진시키고,
침을 만들고 세포를 싱싱하게 보전해 젊어지게 만든다.
+++++++++++++++++++++++++++++
문제는 나이가 들수록 갈증(渴症)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목이 마르다고 느낄 때 물을 마신다.
뇌간(腦幹) 시상하부에 있는 Senser가 혈액의 농축도를 감지해
급수를 요구한다.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혈액이 농축돼 혈액 순환이 느려지고
몸 세포에는 영양소와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세포 기능은 떨어지고 생명 활동도 위험해 진다. 이른바 탈수(脫水)
상태다.
땅에서 자라던 식물을 화분에 옮겼다고 생각해 보자.
화분에 갇힌 식물은 사람이 정기적으로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든다.
중년 이후의 인체(人體)는 마치 화분에 심은 식물과 같다.
Senser가 노화(老化)했으니 의식적으로 물을 마셔주지 않으면
만성적인 수분 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얼마나 마셔야 할까?
하루에 몸에서 빠져나가는 수분은 3.1ℓ정도 된다. 소변으로 1.5ℓ,
땀 0.5ℓ, 호흡으로 0.5ℓ정도 사라진다.
설사가 아닌 변에도 하루 0.1ℓ전 의 수분이 들어 있다.
이밖에도 눈물, 체액(體液), 침 등 느끼지 못하는 수분 배출이
0.5ℓ나 된다. 이중 우리는 식사를 통해 1.5ℓ를 흡수한다.
또 체내(體內)에서 0.2ℓ를 재흡수한다. 따라서 최소 1.4ℓ를 의식적
으로 마셔줘야 한다는 얘기다.
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은 당분간 습관이 들 때까지
다음과 같이 계획을 세워보자.
180㎖짜리 컵을 준비해 하루 7~8잔을 마시는 것이다.
시간은 아침에 일어나서 1잔, 오전 10시쯤 2잔, 오후 2시쯤 2잔,
저녁 무렵 1잔, 샤워 전 1잔, 잠자기 전 1잔(하루 6회 합계 8잔)을
마신다.
밤에 화장실에 가고 싶지 않아 물 마시는 것을 피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 동맥경화가 걱정되는 사람은 물 마시고 화장실
한번 가는 쪽을 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체내(體內) 수분량이 부족한지는 소변 색을 관찰하면 알 수 있다.
소변 색깔은 '우로크롬'이라는 황색 색소로 좌우되는데 하루 양이
75㎎정도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소변량이 많아지면 '우로크롬'이 옅어 무색에 가까우며,
소변량이 적으면 농축돼 소변이 황색으로 짙어진다. 소변은 무색
투명한 색이 건강한 징표다.
소변량이 적다는 것도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다. 신장(腎臟)이
수분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도록 열심히 재흡수하고 있다는 증거다.
식사 중에 물을 마시면 위액(胃液)이 엷어져 염산에 의한 살균효과나
소화를 방해한다.
물은 가능하면 식사하기 30분이나 1시간 전까지 마신다.
신장병이나 심장병이 있는 사람은 수분제한이 필요하므로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좋다.
물을 많이 마시지 않았는데, 소변량이 많을 때는 당뇨병(糖尿病)이나
요붕증(尿崩症) 같은 질환이 의심되므로 역시 의사의 진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