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톡 소통방 입장 문의 💜
2️⃣ 비트겟 거래소 링크
4️⃣ OKX 거래소 링크
5️⃣ 어센덱스 거래소 링크
6️⃣ BTCEX 거래소 링크
※ 가입 후 소통방 입장시 거래 수수료 10% 페이백 지원 ( 단독 이벤트 🎁 )
9월 13일 비트코인 뉴스 모음
코스모스 기반 프로젝트 쿠지라, 자체 스테이블코인 USK 발행
코스모스(ATOM) 기반 프로젝트 쿠지라(KUJI)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개발 초과담보형 스테이블코인 USK 및 청산 플랫폼 ORCA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ATOM을 담보로 USK를 발행할 수 있으며, ORCA에서 청산된 ATOM을 입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KUJI는 현재 8.41% 내린 1.6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英 유명 금융사 CEO "BTC, $17,000 내주면 $10,000까지 하락"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핀볼드에 따르면, 영국 소재 글로벌 금융 투자 정보 플랫폼 ADVFN의 클램 체임버스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17,000 달러선을 내준다면 추가 하락이 발생해 10,000 달러 부근까지 내려갈 수 있다. 다만, 해당 지점부터 'W'자를 그리며 강한 반등이 나타날 것이며, 40,000 달러선을 쉽게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그는 지난 7월 "비트코인은 2011년부터 실제로 4년 주기로 움직였으며 현재 하락세로 접어들고 있다. 20,000달러 또는 10,000달러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면서 "장기적인 암호화폐 투자자는 모든 사소한 시장 변동에 반응할 것이 아니라, 가격이 하락하는 동안 장기간에 걸쳐 매입해야 한다. 비트코인은 올해 13,000달러를 기록한 후, 3~5년뒤 12만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55% 오른 22,332.1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일일 활성 주소 수, 최근 3개월來 최다
파이낸스매그네이츠가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글래스노드의 데이터를 인용 "13일 기준 BTC 활성 주소 수(7일 평균)가 55,817 개를 기록, 최근 3개월 중 가장 많은 규모를 나타냈다"고 13일 보도했다. 수치 집계 기간 BTC 가격은 약 12% 상승했다. 또 약 10년 전 마지막으로 이체된 기록이 있는 '장기 휴면' 비트코인 공급량은 13일 약 251만 BTC를 기록하며 사상 최다 규모를 경신했다. 이와 관련 글래스노드는 주간 온체인 보고서를 통해 "BTC는 지난주 2021년 11월 고점 대비 약 72.5%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장은 2018~2019년 약세장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당시 상당한 양의 단기 투자자 보유 BTC 물량이 미실현 수익에서 손실로 전환됐다. 최근 시장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은 단기 보유자들로 추정된다. 거시 리스크가 존재하는 최근 장세에서 단기 투자자들의 민첩함과 확인은 시장 방향성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 요소다. 장기 보유자들은 휴면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몰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11% 오른 22,262.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캐나다 총리 "암호화폐가 인플레 방어 수단? 무책임한 주장"
워처구루(WatcherGuru)에 따르면,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가 "암호화폐에 투자하면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다고 말하는 리더는 무책임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 야당인 보수당 대표로 선출된 피에르 푸알리에는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의 방어책"이라며 "캐나다를 글로벌 블록체인의 중심으로 만들 것"라고 말한 바 있다.
리플, 법원에 SEC '전문가증언 신원 비공개 신청' 반대 답변 제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리플(XRP)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진행 중인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관련 원고(SEC) 측이 제기한 '전문가증언 신원 비공개'(Daubert motions) 신청에 대한 반대 입장을 법원에 제출했다. 이와 관련 피고(리플랩스 및 리플 공동 창업자 2인) 측은 "SEC는 전문가증언 배제 및 신원 비공개 신청에 대해 충분한 근거와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제안에 대한 피고 측의 답변은 소송의 '약식재판 브리핑' 자료와 함께 제출됐다. 이날 아날리사 토레스 담당 지방판사는 양측이 소송 당사자들이 제안한 재판 일정을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법원이 수용한 일정에 따르면, 소송 양측은 9월 13일까지 약식재판 전 모든 신청 관련 자료를 제출할 것이며, 이들 자료는 일시적으로 비공개 처리된다. 또 오는 9월 15일 양측은 제출 자료의 수정 사항을 상호 확인하기 위해 협의를 갖는다. 최종 수정본은 9월 19일 법원에 제출된다. 앞서 SEC는 해당 '전문가증언 배제신청'을 지난 7월 법원에 제출한 바 있으며, 리플 측은 당시에도 반대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0.49% 내린 0.354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플렛저, NFT 규격화 제안 투표 철회... "이슈 발견"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렛저(XRPL)에 간소화한 NFT 발행 프로세스를 도입하자는 내용의 XLS-20 제안 투표가 철회됐다. 해당 제안이 시행되려면 일부 문제가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리플 소프트웨어 엔니지어 닉 부갈리스(Nik Bougalis)는 "곧 팀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정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 문제가 XRPL에서 발견된 마지막 문제이길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9월 13일까지 진행되는 XLS-20 제안 투표에서 검증자 찬성표 80% 이상을 유지할 경우 리플렛저에 도입 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클라우드, 이더리움 머지 4가지 리스크 지적
코인베이스 클라우드가 12일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에 관한 4가지 위험성에 대해 지적했다. 각각 기술적 위험, 운영 위험, 경제적 위험, 클라이언트 다양성 부족에 따른 위험이다. 코인베이스 클라우드는 "머지는 기술적으로 가장 복잡한 업그레이드이기 때문에 각종 버그와 기술적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세폴리아 테스트넷의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검증자의 25~30%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운영상 리스크다. 클라이언트와 검증자가 제때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면 메인넷에서도 노드 참여율이 하락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엔 PoW 하드포크 버전 ETHW을 얻기 위한 ETH 대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렌딩 마켓에서 ETH 금리가 급상승하는 경제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다양성 부족은 잘못된 블록 제안을 걸러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 요소"라고 지적했다. 이더노드에 따르면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는 9월 15일 14시 32분경 진행될 예정이다.
비욘세 프로듀서, BAYC NFT 밴드 '킹쉽' 음반 제작 나선다
블룸버그가 비욘세와 나스의 프로듀서가 BAYC NFT 락밴드 '킹쉽'(Kingship)의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제임스 폰틀로이(James Fauntleroy)와 힛보이(Hit-Boy)로 알려진 챈시 홀리스 주니어(Chauncey Hollis Jr.)가 앨범 작업을 맡는다. 세계 4대 음반사 중 하나인 유니버설뮤직그룹(UMG)은 작년 11월 4개 BAYC NFT로 구성된 밴드 '킹쉽'을 공개한 바 있다.
분석 "진정한 디파이, 기관에 의해 규제될 수 없다"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프린지 파이낸스(fringe finance) CTO 브라이언 패스필드(Brian Pasfield)가 파이낸스 매그네이츠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규제 기관의 디파이 규제 강화와 관련 "디파이의 핵심 가치는 검열 저항이다. 진정한 디파이는 기관에 의해 규제될 수 없다. 검열이 가능한 이유는 현재 디파이가 중앙 집중식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대표적인 중앙 집중식 디파이 프로젝트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다. 디파이는 규제 강화 영향으로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과 멀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브라이언 패스필드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디파이 업계에 10년 간 몸을 담고,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인물이라고 파이낸스 매그네이츠는 설명했다.
앱토스 마션월렛, 디앱 탐색 기능 추가
페이스북 블록체인 프로젝트 디엠 개발자들이 창업한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Aptos)의 자체 개발 암호화폐 지갑 마션월렛(MartianWallet)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디앱 탐색 기능 시커(Seeker)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마션월렛은 "시커 기능을 이용하면 월렛과 연동 가능한 디앱들을 탐색할 수 있고, 디앱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살펴볼 수 있다. 이용자들은 해당 기능을 통해 앱토스 생태계(Aptoverse)를 손쉽게 둘러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中 클라우드마이닝 플랫폼, 싱가포르로 본사 이전
중국계 클라우드마이닝 플랫폼 알알마인(RRMine)이 중국 내 사업을 전면 철수하고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할 것이라고 PR뉴스와이어가 전했다. 중국 당국의 고강도 암호화폐 규제로 더 이상의 사업 영위가 힘들다는 판단이다. 파일코인(FIL) 채굴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알마인은 지난해 중국 규제 강화로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관련 사업을 중단했으며 12월에는 당국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에이프스왑-BNB 체인, BAB 토큰 홀더 대상 무료 NFT 제공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에이프스왑(BANANA)이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 BNB 체인과 협업해 BAB(바이낸스 어카운트 바운드) 토큰 보유자를 위한 무료 NFT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용자는 9월 한 달 동안 에이프스왑 홈페이지를 통해 NFT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에이프스왑은 해당 NFT를 생성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내달 NFB(Non Fungible Banana) 추첨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리플 CTO "비트코인, 초과 발행 버그 가능성 있지만 걱정 안해"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 CTO 데이비드 슈와츠(David Schwartz)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소스 코드 구현 단계 중 더 많은 BTC 생성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버그가 적어도 하나는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취약점이 악용될 경우 거래소에 막대한 손실을 입힐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다만 이 버그를 아무도 발견하지 못하거나 악용되기 전 버그가 수정될 수 있다. 나는 이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업비트, 9/21 18시 ADA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에이다(ADA) 하드포크로 인해 오는 21일 18시부터 ADA의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입출금 재개 시점은 에이다 하드포크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뒤 안정성이 확인되면 추후 공지를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금감원장, 바젤은행감독위 참석…디지털자산 규제 논의
뉴시스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복현 금감원장이 전날 스위스 바젤에서 개최된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최고위급 회의(GHOS)'에 참석해 디지털자산 규제 체계를 논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각국 감독기관들은 은행의 디지털자산 익스포져와 관련해 강력하고 건전한 규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차질 없는 바젤III 이행을 지도하는 등 국내 규제의 글로벌 정합성을 제고하고, 기후리스크 및 디지털자산 관련 글로벌 금융규제 논의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자본시장연구원 "기관 투자자, 가상자산 진출 모멘텀 유지될듯"
자본시장연구원이 13일 보고서를 통해 "크립토 윈터로 인해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사업 추진은 속도 조절이 예상되나, 지금까지 많은 자본을 투입하면서 시장 진출에 첫 발을 뗀 만큼 그 모멘텀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앞서 블랙록이 가상자산 현물 신탁을 출시하면서 암호화폐 가격 폭락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의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설명한 점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국내 금융회사가 가상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에 진출하고 있는 점도 기관 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 참여를 위한 환경 조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가상자산 생태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가상자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기술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사업 기회를 놓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진證 "코인베이스, 올해는 수익성보다 성장성"
이데일리에 따르면 유진투자증권의 김세희 애널리스트가 코인베이스의 실적 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2분기 실적 부진은 코인 가격 하락에 따른 것으로 하반기도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일부 적자 폭이 줄더라도 의미있는 실적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코인베이스 거래대금에서 기관투자자 비중이 늘고 있고, 전체 매출에서 구독·서비스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분기 코인베이스 거래대금 중 기관투자자 비중이 79%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매출 중 구독·서비스 비중도 크게 늘었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는 코인베이스가 코인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플랫폼 확장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ETH 무기한 선물 펀딩비 지난해 7월 이후 최저
블룸버그가 데이터 제공업체 카이코(Kaiko)를 인용 이더리움의 12일(현지시간) 무기한 선물 시장내 펀딩비율이 -0.03%를 하회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펀딩비가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은 ETH 선물 시장에서 숏 세력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는 "머지(Pos 전환)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이더리움 숏 포지션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크립토퀀트를 인용해 이더리움 펀딩비율이 14개월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고 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0.48% 내린 1,717.4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런던 소재 VC 노스존, 1.4조원 규모 웹3 펀드 조성
런던 소재 벤처캐피털 노스존(Northzone)이 10억유로(1.4조원) 규모 웹3 펀드를 조성한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해당 펀드는 암호화폐, 핀테크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노스존 파트너 웬디 샤오 샤덱(Wendy Xiao Schadeck)은 더블록에 "지분투자 및 토큰 세일을 통한 스타트업 투자 인프라를 갖춘 상태이며 과거 토큰 스테이킹에도 참여한 바 있다"며 "추후 탈중앙화자율조직(DAO)에 대한 투자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NFT의 경우 지금은 매수를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노스존의 투자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다고 그는 부연했다. 반면 디파이 투자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 상원 위원회, 9/15 CFTC 암호화폐 거래소 직접 규제 법안 청문회 개최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 상원 농업위원회가 오는 15일 오전 10시(현지시간)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 방식을 대폭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한 '2022년 디지털 상품 소비자 보호법'에 대한 입법 청문회를 진행한다. 청문회에는 로스틴 베넘(Rostin Benham)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증인으로 참석한다. 미디어는 "청문회는 당초 14일에 예정돼 있었으나 막바지 조율 과정에서 하루 뒤로 연기됐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번 청문회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상원에 출석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증언하는 시간대와 겹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양쪽 기관장 모두 상대방의 발언을 미리 듣고 대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또 청문회에는 쉴라 워렌(Sheila Warren) CCI 전무(executive director) 등도 증인으로 참석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제네시스-컴벌랜드 DRW, CME 선물 옵션 첫 블록트레이드
비즈니스와이어에 따르면 제네시스가 컴벌랜드 DRW와 신규 상장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ETH 옵션 계약 첫 블록트레이드(장외 대량매매)를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컴벌랜드 DRW의 고객관계관리 책임자 롭 스트레벨(Rob Strebe)은 "ETH가 지분 증명으로 곧 전환을 앞두고 있어 우리의 네이티브(기본), 전통금융 거래자들은 새로운 ETH 옵션 계약에 대한 높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CME 그룹이 9월 12일 이더리움 선물 기반 상품을 출시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해당 상품은 계약 당 50 ETH 단위로 거래되며, CME에서 매일 업데이트되는 CF Ether-Dollar Reference Rate를 이더리움(ETH) 가격을 추종한다.
바이낸스, DASH·IOST 입출금 일시중단...네트워크 및 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을 위해 대시(DASH) 및 IOST(IOST)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DASH는 한국시간으로 14일 4시, IOST는 18일 12시에 각각 입출금이 중단될 예정이다.
이더리움 해시레이트, 4일 연속 하락세
OKLink에 따르면 9월 15일 머지(PoS 전환) 업그레이드를 앞둔 이더리움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현재 874.31TH/S로, 9월 8일 이후 4일 연속 하락세다. 상위 5개 채굴풀 해시레이트는 538.29TH/S로, 전체의 92.95%를 차지하고 있다.
분석 "BTC, 2018~2019년 하락장과 유사.. $20,000 지지 여부 주시"
글래스노드가 주간 온체인 보고서를 통해 "지난주 BTC는 지난해 11월 최고점 대비 72% 이상 하락했는데, 이는 2018~2019년 약세장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최근 약세장에서 BTC는 주로 18,500~24,500 사이에서 매도돼 단기 보유자 대부분이 미실현 손실을 기록했다. 현재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플레이어는 바로 이 같은 단기 보유자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변동성이 큰 거시경제 환경 속에서 단기 투자자들의 민감성과 확신은 단기적인 시장 방향의 핵심 요소다. 상당수 장기 보유자들은 이미 솎아졌기 때문에 당분간은 휴면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시장 수요는 매도 압력을 흡수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이제 매수세와 매도세 사이의 중요한 분기점은 20,000 달러 부근이다. 약세장 바닥을 확인하는 데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애널리스트 "이더리움 머지, 기관 투자자 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약 44.4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익명의 암호화폐 전문 유튜버 겸 애널리스트 '인베스트앤서스'가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는 제도권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유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머지 후 ETH 투자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채권을 대체할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동안 금이나 채권 등 자산에 투자했던 기관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되면 엄청난 자금 흐름이 생겨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2.28% 내린 1,716.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 "인도, 웹3 핵심 시장"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인 허이(He Yi)가 인도 현지 미디어 더 이코노믹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인도를 웹3 핵심 시장으로 평가했다. 그는 "인도 내 웹3 창업자와 개발자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바이낸스랩스는 2018년부터 인도의 웹3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NFT 마켓 매직에덴, 저작권 보호 기능 '메타 쉴드' 도입
솔라나(SOL) 기반 NFT 마켓 매직에덴이 NFT 저작권 보호를 위한 새로운 기능 '메타 쉴드(MetaShield)'를 도입한다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발표했다. 메타쉴드는 NFT 창작자의 로열티를 우회해 시장에서 거래되는 NFT를 식별해 주는 기능으로, 식별된 NFT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방식이라고 매직에덴은 설명했다.
스타크웨어, 자체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 카이로 1.0 발표
이더리움(ETH) 레이어2 확장성 네트워크 스타크넷(StarkNet)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자체 개발한 튜링 완전(Turing-complete)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카이로(Cairo) 1.0 버전을 발표했다. 기존 버전보다 사용하기 쉽고 더 안전하며 스타크넷의 무허가형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개발 진행 중이며 조만간 릴리즈할 예정이다. 앞서 2년 전 스타크웨어는 카이로를 개발, 출시한 바 있다.
리플 전 CTO, 우주 정거장 스타트업 설립
온라인 전문 미디어 쿼츠(Quartz)에 따르면 리플 전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제드 맥칼렙(Jed Mccaleb)이 우주 정거장 건설을 목표로 회사를 설립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이 회사의 이름은 배스트(Vast)로 현재 인재 영입에 나선 상황이다. 리플의 주요 개발자인 맥칼렙은 자산만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배스트 설립에 얼마나 투자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아울러 맥칼렙은 '암호화폐의 상승과 하락이 배스트의 미래를 좌우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맥칼렙이 보유하고 있던 XRP를 8년에 걸쳐 전부 매각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올해 ETH 채굴자 수익 110억 달러.. BTC보다 많아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아케인리서치(Arcane Research)에 따르면 올 들어 이더리움(ETH) 채굴자 수익은 110억 달러로 비트코인(BTC) 채굴자 수익 100억 달러에 비해 많았다. 지난해에도 ETH 채굴자 수익이 180억 달러로, BTC(170억 달러)에 비해 많았다. 이번주 ETH 머지(PoS 전환) 이후로는 채굴 수익이 사라진다.
BTC 해시레이트 급등, 반감기 일정 앞당기지 않는다
BTC 해시레이트가 지속적으로 올라도 반감기 일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미디어는 "최근 BTC 해시레이트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일각에서 BTC 반감기가 2024년에서 2023년으로 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해시레이트가 급격히 상승하더라도 반감기 일정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 BTC 알고리즘은 채굴 난이도를 조정하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BTC 반감기는 오는 2024년 4월로 예정돼 있다.
#비트겟 #비트겟거래소 #비트겟거래방법 #비트겟선물거래 #비트겟kyc인증 #비트겟수수료 #비트겟선물거래방법 #비트겟출금 #비트겟입금 #비트겟출금방법 #비트겟입금방법 #비트겟카피트레이드 #비트겟실명인증 #비트겟선물수수료 #비트겟한국어 #비트겟루나 #루나비트겟 #비트겟가입 #비트겟업비트 #업비트비트겟
<출처 : COINNESS KO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