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귀여리 관두들 원문보기 글쓴이: hakwun
※ 그림의 의미(풍수) 길상화(吉祥畵)
- 호랑이 : 무속인 또는 산신각 등 영험스러운 장소에 기본적으로 어울리는 그림
(집안에 걸어 두려는 분: 험악하거나 무서운 형상보다는 웃거나 해학적 그림, 한마리 보다는 두마리가, 두마리보다는 세마리가 고독, 외로움의 의미를 소멸 하고, 역동적이어야 좋음)
- 제발(題跋) : 그림과 함께 쓰인 시나 글귀
- 활짝 핀 해바라기 꽃, 탐스럽고 잘 익은 사과 그림 : 마음의 풍요와 돈 들어오는 그림
- 용과 호랑이 : 액을 막아 주는 벽사 그림
- 까치와 호랑이(우스꽝스러운 호랑이는 원래 표범) : 호작도, 액운을 막아줌, 기쁜 소식을 알린다.
- 작호도(큰 소나무 위에 까치와 아래에 호랑이 그림): 맹수인 호랑이는 잡귀를 막아주는 영물, 까치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는 길조로 여겨졌기 때문에 조합하여 길상과 벽사를 위한 제작
- 까치 : 소식을 전하는 길조
- 전려도(傳臚圖) : 갈대(전려)밭에 갈대 잡은 참게 그림,
게는 한자로 해(蟹)인데 과거시험 전시(殿試)의 응시 일차 선발을 “발해(發解)”라고
해(解)와 해(蟹)가 발음이 같아서 장원급제의 의미,
합격 운 상승, 딱딱한 등껍데기를 뜻 갑(甲: 거북 등딱지)은 1등,
갈대는 임금이 하사하는 쌀과 음식을 의미
전려(傳臚) : 황제의 조서를 전달하여 알려주는 벼슬
-매화꽃 : 눈썹이 흰 사람 노인을 의미
-매화꽃 위에 달 : 매화가지는 매초 + 달은 상월과 같은 독음 미수상락, 장수와 즐거움을 함께 누린다.
- 흰 매화꽃 : 백미로 해석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에게 즐겁게 살라는 뜻
- 매화나무에 앉은 까치는 봄,
강가의 해오라기는 한여름,
나무 그림자가 진 달밤의 기러기는 가을,
눈 덮인 대나무 사이에서 졸고 있는 꿩은 겨울을 상징
- 물고기 그림과 도자기 : 과거 급제 기운, 등용문의 상스러운 기
- 쏘가리 : 궐어(闕魚)는 궁궐의 궐과 같은 발음, 대궐로 들어 간다. 낚시 바늘에 꿴 쏘가리는 벼슬짜리를 꼭 놓치지 않는다는 의미,
잉어 그림과 같은 의미, 복숭아와 쏘가리 함께 한 그림은 시화일체 사상을 은유
- 오리 : 압(鴨)으로 일등(갑) 즉 장원급제를 뜻함
- 메기 : 대나무에 오르는 재능 있어, 출세를 상징
- 나무의 봉우리가 져 있는 것: 봄날을 의미
- 세마리 물고기는 밤, 겨울, 비 오는 날의 세가지 여가를 의미하여 삼여도라 한다.
- 물고기는 벽사의 의미도 포함. 쌀 뒤주나 장롱, 서람 등의 물고기 모양의 손잡이나 자물통을 단다.
알을 많이 낳아 다산의 상징,
금슬(눈이 하나 밖에 없어 암수 나란히 헤엄칠 수 있는 비목어) 좋은 부부 상징,
해초와 꽃, 나무, 바위 등과 어우러져 평화스러운 정경을 나타내 현실을 벗어난 해탈의 경지를 나타냄
- 갖까지 물고기 백 마리 백어도는 축하, 화합의 독음이 같아 회갑, 진갑 등 잔치의 선물용으로
새우 조개를 그림 화합도가 있다.
- 새우 : 모여 있는 그림은 다산의 상징, 행복이나 부를 뜻함
- 잉어 태몽 : 아들의 길몽
- 연꽃과 두마리 잉어 : 대과 소과 급제 축수
- 조개는 생식기, 굽은 새우는 노인을 상징, 부부의 백년회로
- 갈대와 기러기는 노안도(노인의 편안함)
- 게 + 갈대 + 등이 굽은 새우 : 봉록과 장수, 부부해로
- 사찰의 종에 용모양 : 용의 아홉 아들 중에 포뢰라는 한 아들이 고래를 보면 무서워 울기를 잘하였다.
종을 치는 나무는 물고기(고래) 모양을 썼다.
- 화조도 : 부귀와 장수, 합격, 승진 소망 등
- 괴석과 모란도 : 모란은 부귀안락, 남여화합, 꽃은 여자, 괴석은 남자 신랑 비유
- 오봉도 : 산봉우리 그림(금강산, 묘향산, 지리산, 백두산, 삼각산), 장수를 상징
- 나비 : 여름, 부부금슬, 기쁨과 사랑, 변신의 상징, 새로운 삶을 상징, 다산의 의미와 부부화합,
날개가 여든여덟 모양으로 장수를 의미
아침에 호랑나비를 보면 좋은 일이 생긴다 하고, 이른 봄에 나비를 보면 신수가 좋아진다.
나비가 불에 뛰어드는 것을 보면 패한다 하며, 나비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면 문이 먼다는 금기
나비 문양은 행복은 추함과 고통 부자유를 포함, 낡개 짓은 쉬지 않고 장난치는 아이들, 호랑나비는 장년을 의미
- 고양이 : 칠순, 고희를 상징, 장수를 의미
모란과 장탉 한 마리
- 수탉(장닭) 한 마리 : 벼슬, 새로 이름을 널리 알림
- 군조도와 닭 그림은 부의 창출에 보적 역할
- 포도, 잉어, 호랑이, 용은 부귀에 좋은 기운의 그림
- 목단화(모란: 최고의 꽃, 꽃의 왕) : 부귀, 재물 - 혼례복 병풍, 민화
- 감 : 좋은 운, 복, 번창, 풍요
- 말 : 건강, 힘, 활력, 목표 달성, 소원성취, 복
- 잉어 : 사업 운, 재물 운, 가족의 건강 기원, 무병장수 출세, 등용
- 바다 : 재물
- 사과 : 재물
- 해바라기 : 안 좋은 기운을 막고, 재물 운, 금전 운, 태양(강력한 재운),
남서 장식은 노란색(여성, 주부에게 좋음), 북쪽에 장식은 여행 운과 자녀운,
서쪽에 장식이 좋다.
- 석류(씨가 많아 자손 번영), 포도, 조롱박 : 다산, 뜰 앞에 심으면 현자(賢者)가 나오는 대길
- 복숭아 : 유방을 상징, 젊은 여자와 젖먹이 육아 상징, 귀신을 쫓는 나무(빗자루 만듬),
천도(삼천 년 만에 열매)는 불로장수
- 연꽃 : 꽃과 열매 생장의 특성, 아들을 얻고 싶은 염원, 연실은 다남 상징
- 소나무 : 장수
- 금붕어 : 금옥만당
- 부엉이 :
서양 : 밤낮 없는 학구열,
동양 : 고양이를 닮은 묘두용이라 하고고양ㅇ이와 같이 70세 노인으로 고희를 축하한다란 의미와 악귀를 쫓고 부귀를 가져다 준다는 의미
- 연잎 있는 못에 해오라기 : 과거(향시, 전시) 시험 연속 급제(사법 행정 국가고시 연속 합격)
연꽃은 진흙 속에서도 더럽혀지지 않는 고고함을 간직한 군자로 칭함
- 버드나무 아래 한 마리 오리 : 승진 출세
- 향나무와 글자 : 장수<목숨 수(壽) 자를 닮았기 때문에 향나무와 함께 1글자, 16글자, 100 글자를 쓴 것>
- 매화꽃 위에 달이 휘영청 걸림 : 장수와 즐거움을 함께 누림
- 코끼리 : 재물(물을 관장하는 동물), 금전운
- 포도 : 포도(자손) + 덩굴(만대) : 자손 만대
- 모란(부귀) + 수탉(벼슬) : 세상에 이름을 알림
- 해당화(집당堂의 의미)
- 닭(출세, 물명 : 알림)
- 모란 + 흰머리 새 세 마리 : 부부백년 해로
- 흰 사슴(온갖 복록, 백록) + 향나무 : 온갖 벼슬(관운)을 누려라, 공무원, 기업체 임원 승진에 도움
- 흰 사슴 : 복록, 거실이나 노인 방에 좋다.
- 목련 : 구슬 옥
- 부귀옥당 : 모란 + 목련 + 해당화
- 수탉 + 모란 : 부귀출세(이름) 알림
- 구불구불 한 향나무 : 백수(목숨 수 : 장수)
- 목숨 수(壽 ) 자 : 1자, 16자, 100 글자 씀 : 회갑의 장수 기원
- 감 그림 : 일 감, 사업, 장사
- 갈대 밭 기러기 날아 오는 그림(노안도) : 늙어서 편안하게 지내라는 의미, 아들방에는 조심하세요.
- 말 그림 : 말 갈퀴와 꼬리를 휘날림은 놀란 말, 난동을 의미, 성공 기원에는 흉
앞섬, 진행, 탄력, 속도, 증가, 승진 기원, 힘, 건강, 정열을 나타냄
숫자 팔(八)의 발음이 돈을 번다는 의미인 발(發)과 비슷 돈을 불러 들인다는 의미,
가정보다 사업장에 필요한 그림
- 가문의 품격을 떨어지게 하는 그림 : 이발소 그림
- 학과 대나무를 함께 그린 그림의 뜻을 살펴보면
학은 십장생의 하나로 천 년을 산다고 해 학을 그린 그림은 천수도(天壽圖)이다.
대나무는 축(祝)이니 축수도(祝壽圖이므로 연세가 많은 분께 장수하시라는 의미가 된다.
-대나무 + 바위 : 장수 축하, 목련과 바위 또는 바위 그림도 장수를 의미, 노인방에 좋다.
- 재 : 도둑을 막아 주는 의미, 도둑이 잘 드는 곳에 장식하여 도난을 막는다.
- 포도+호리병(박)+석류 : 득남, 사내 아이 출산을 바라는 의미, 손이 귀한 집 선물용에 좋다
- 책걸이(서가)에 책이 그려져 있는 그림은
군의원, 시의원, 도의원, 국회의원 등에 출마하거나
기업체 임원, 군장성, 장관 등을 바라는 분의 방안에 걸어두면 좋다.
- 소나무 위에 학이 앉아 있거나 날아드는 그림의 뜻을 살펴보면
학은 천수(天壽)를 뜻하고,
소나무는 잣나무와 비슷해 백 년을 뜻하니
학수백령도(鶴壽百齡圖)가 되므로
연세가 많은 분께 오래 장수하라는 뜻을 의미한다.
지인에게 그림을 선물하거나 본인이 생활하는 공간에 걸어둘 때에도
우리네 동양화 그림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삶의 내용이 좀 더 아름답고 풍요로워집니다.
<좋은 생기가 있고 집안에 두면 좋은 그림>
십장생(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모란, 해바라기, 가축, 풍성한 물, 웅장한 산
많은 과일, 닭, 호랑이, 말, 양, 잉어, 풍성한 꽃, 용 등
- 12지신 동물, 물고기, 십장생 산그림, 물이 많은 그림, 하늘이 높은 그림은 행운을 불러 온다.
- 침실에 좋은 그림은 큰나무 그림, 역동적인 동물 그림이 좋다.
- 초록의 나무(전나무 소나무, 대나무)는 초록색이 진할 수록 좋다.
- 소나무(부귀, 명예를 준다)
- 매난국죽(춘하추동)의 씨앗이 많은 소나무 식물 그림은 길하다.
竹(죽)-지(知), 梅(매)-仁(인), 蘭(난)-禮(예), 菊(국)-儀(의)로 높혀 가르키는것
국화는 절개, 충신, 물러난 선비의 유람을 상징
- 꽃 그림은 크고 풍성해야 하고 모란(좋은 기운과 부귀), 장미, 해바라기(좋은 기운과 부귀)가 좋다.
노란 꽃은 재물 운을 불러 들이고, 붉은 꽃은 학생이나 영업 쪽에 좋다.
- 과일 그림은 크고 풍성할 수록 좋고 다산과 부귀를 준다
- 물그림은 담겨져 있어야 하고, 흐르더라도 고요하게 어딘가에 모여야 합니다.
- 말 그림은 악운을 막아주고 가정의 활기와 건강을 준다.
- 왕죽은 화려한 초록색이 효과가 있고 강력한 부를 창출해 주고 불행을 차단해 행운을 가져다 준다.
검정색 대나무는 풍수적 효과가 없다.
- 자작나무 : 고대 게르만인 사이에서 생명, 성장, 축복의 나무.
금의 색감이 강하면 재물 상승에 도움, 나무 특성상 성장, 화합을 바탕으로 배물을 부른다.
- 플라밍고(홍학) : 사랑과 평화 상징, 기러기의 무병장수 공통 의미, 부부간에 애정운을 상승시키는 그림
선홍색 색감은 정체된 기운을 정화하고 생기를 불러 주는 색감
- 학이 파도치는 바닷가에 있으면 일품당조도 : 당대에 조정에서 벼슬이 일품에 오르기를 바랍니다.
- 석류 다자도(多子圖) : 석류처럼 자손은 많이 낳으라고 하는 축복의 말
- 모란 부귀도(富貴圖) : 부자(富者)되세요.
- 모란(牡丹) + 해당화(堂) + 목련(木蓮, 玉蘭花) = 부귀옥당도(富貴玉堂圖) :
목련(木蓮) : 옥란화(玉蘭花)라고도 하며, 좋은 집에서 부귀영화를 누리세요.라는 의미
옥(玉)자와 해당화의 당(棠)이 집 당(堂)자와 읽는 소리가 같아 이를 취하여 성어(成語)를 만듬,
- 메추라기 : 암순(鹌鹑) '암'자는 '안(安)'자와 발음이 같다.
- 국화(菊花) : '국' '거(居)'자와 같은 발음이다.
- 메추라기(鹌)와 국화(菊)를 그린 그림은 안(安)과 거(居)를 뜻하는 그림이 되는 것이다.
'편안하게 지낸다'는 의미다. 욕심 없이 분수에 맞게 편안히 산다는 의미
- 고양이와 참새 : 일촉즉발 위기의 순간이지만 평화로운 분위기
참새(雀 벼슬 작)는 벼슬, 70세 먹은 노인을 가리키는 모(猷)자와 발음, 참새와 고양이에게 담긴 행복의 의미
오래오래 사시면서 높은 벼슬을 하, 고양이 두 마리는 늙은 두 부부
- 나비 ; 접(蝶) 80세 먹은 노인을 가리키는 말인 질(憎) 자와 발음이 같다. 장수한 노인을 연상
- 黽 맹꽁이 맹, 龜 거북 귀, 萬 일만 만, 전갈(곤충) 의미
- 아홉 마리의 해오라기 그림 : 구사도(九思圖), 아홉 구(九) + 백로(사사) → 사(思)
군자는 항상 아홉 가지의 덕목을 지켜야 한다.
- 천보구여도(天保九如圖) : 임금은 구여(九如)처럼 위대한 분이다.
일월오악도(日月五岳圖) 창덕궁 옥좌 뒤에 있는 병풍,
임금에게만 한정하여 그린 그림, 임금의 덕을 칭송하는그림
고기 어(魚)와 여(如)가 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하여 "구어(九魚)→구여(九如)"가 된 것이다.
여(如)자가 아홉이 들어 있어 구여(九如)가 되었다
물고기 아홉 마리가 있는 그림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시경에 나오는 산, 땅, 산등성이, 언덕, 강물, 달, 해, 남산, 소나무와 잣나무 등이 그려져 있다.(십장생도 아님)
- 이제현(李薺賢, 1287~1367, 고려의 문신)
“그림은 사람마다 간직하기 어려우나 시는 여러 곳으로 널리 전파할 수 있다.
시를 볼때 마치 그림을 보는 것과 같다면 그 시는 오랜 세월 동안 전해질 것이다
[역옹패설]” → 언어가 환기하는 시각효과가 시의 광범위한 전파와 지속적 계승을 가능케 한다고 인식
- 곽희(郭熙, 1060~1080년경 중국 북송의 화가)
“그림은 소리 없는 시이고 시는 형태 없는 그림이다”
- 왕유(王維, 699~759, 당나라때의 유명한 예술가, 문인, 소동파가)
“ 그림 가운데 시가 있고, 시 가운데 그림이 있다”
- 산거추명(山居秋暝) - 왕유
새 비가 빈산을 적시고 그친 후
저녁이 되자 가을 기운이 가득하구나.
밝은 달빛은 소나무 사이로 빛을 뿌리고
맑은 물이 바위 위로 굴러 흐르는구나.
대숲은 시끄럽게 흔들리고 빨래 하던 아낙은 서둘러 돌아가네.
연잎은 흔들리고 고깃배는 물을 따라 내려가는구나
봄꽃도 이제 다 지고 없음을 아니
왕손은 그대로 머물러도 좋겠네.
<안 좋은 그림 장식>
- 인물화(긴장감, 불안),
- 검, 갑옷, 투구, 귀괴한 느낌의 그림
- 사람을 압도하는 호랑이 : 산신령을 모시는 무속 민간 신앙(무당집), 공포감
- 어미 돼지가 젖을 먹이는 새끼돼지 : 이발소 그림, 안목을 떨어뜨리게 함
- 초가집 옆에 물레방아 풍경(이발소 그림) : 안목을 떨어뜨리게 함
- 무릎 꿇고 어린이가 기도하는 모습 : 안목을 떨어뜨리게 함
- 액자가 똑바로 걸려 있지 못하면 자식이 빗나갈 수 있고, 벽에 너무 많이 걸려 있으면 안 좋다.
- 차가운 물체의 그림은 사랑을 식게 한다.(검은 색, 회색 그림, 설원 그림, 사진, 차가운 색의 패브릭 꾸밈 등)
- 단색 무늬의 그림은 가정운을 무미건조하게 만듬
앞에서 언급한 그림 풍수는 가상(家相·집의 관상)을 보는 데 있어서 중요시되는 한 부분이다.
양택 풍수에서 집의 부지, 구조, 배치, 건축 형상, 조경 등이 사람의 길흉화복에 미치는 영향을
생활 경험에서 얻은 지혜, 즉 집의 관상을 보아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을 가상이라고 한다.
가상의 이론 중.
주택의 5허(虛)
첫째, 집이 크고 사람이 적으면 흉하다.
둘째, 집이 작고 문이 크면 흉하다.
셋째, 담장을 완전히 둘러치지 못하면 흉하다.
넷째, 우물과 부엌이 제 자리에 있지 못하면 흉하다.
다섯째, 대지는 넓은데 집이 너무 작거나 정원이 너무 넓으면 흉하다.
주택의 5실(實)
첫째, 집이 작고 사람이 많으면 길하다.
둘째, 집이 크고 문이 작으면 길하다.
셋째, 담장을 완전히 둘러치면 길하다.
넷째, 집이 작고 가축이 많으면 길하다.
다섯째, 수구(水口·물이 빠져나가는 출구)가 동남방으로 흐르면 길하다.
혜원의 「춘색만원」
봄빛 뜨락에 가득 차니 春色滿園中(춘색만원중)
꽃은 흐드러지게 붉게 피었구나 花開爛漫紅(화개란만홍)
“봄날의 꽃처럼 남녀의 춘정도 흐드러지게 피었다는 뜻입니다.
남자의 성희롱을 나무라는 것이 아니라,
계절의 순환처럼 청춘 남녀의 춘희는 당연한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소년전홍(少年剪紅) : 젊은이가 붉은 꽃을 꺾는다는 뜻
密葉濃堆綠(밀엽농퇴록)
繁枝碎剪紅(번지쇄전홍)
빽빽한 잎에 짙은 초록이 쌓여가니
가지가지 붉은 꽃잎 떨어뜨리네
“초록은 청춘의 엽록소를 뜻합니다. 녹음이 짙어지면 꽃도 자연히 떨어지게 되어있죠.
욕정을 자연에 비유하고. 자연의 순리며 남자의 욕정을 옹호하고 있는 시
국화꽃 쌓인 집은 도연명이 사는가 秋叢繞舍似陶家빙 두른 울타리에 해가 기우네 遍繞籬邊日漸斜꽃 중에 국화를 편애해서가 아니라 不是花中偏愛菊
이 꽃 지면 다른 꽃이 없다네 此花開盡更無花
가슴속에 서린 만 가지 춘정 盤迫胸中萬化春(반박흉중만화춘)붓끝이 능히 그려 내었네 筆端能與物傳神(필단능여만전신)
- 반박 : 서렸다, 가득하다, 장자의 고사인 ‘해의반박’에서 유래(옷을 벗고 다리를 쭉 뻗은 형상, 옷을 벗는다’는 숨은 의미)
월하정인 : 달빛 아래 정든 연인달은 기울어 삼경인데 月下沈 夜三更(월하침 야삼경)두 사람의 마음이야 그들만이 알겠지 兩人心事 兩人知
깊은 밤중 창밖에서 이슬비가 내릴 때 窓外三更細雨時두 사람의 마음은 둘만이 안다 兩人心事兩人知깊은 정 아직 모자란데 하늘이 밝아오려 하매 歡情未洽天將曉
다시 적삼을 부여잡고 훗날의 기약을 묻노라 更把羅衫問後期
그림 중에 게 두 마리가 갈대꽃을 물고 있는 그림,
두 마리이면 게딱지가 둘이기 때문에 이갑(二甲)이 된다.
즉 "이갑전려(二甲傳臚)"가 되는 것이다. 이 말을 풀이하면 "두 번의 과거(소과, 대과)에 모두 장원급제하여
임금이 내리는 음식을 받다"의 뜻이 된다. 과거 급제에 이만한 영광이 또 어디 있겠는가?
그래서 과거를 보러 길 떠나는 사람에게 주었던 그림, 그림과 글씨를 동일시했기 때문
곧 "二甲傳臚"를 나타내고 있는데 구태여 중복해서 쓸 필요가 없었다.
바다 용왕이 있는 곳에서도 옆으로 걸어간다(海龍王處也橫行)".
게는 앞으로 걷지 못하고 옆으로 기어가는 버릇이 있어서,
무엄하게도 수생(水生)동물의 왕인 용왕 앞에서도 가로로 걸어간다는 말이다.
조정에 불려가더라도 “그럽죠, 그럽죠” 하지 말고 아닌 것은 아니라고 똑 부러지게 행세하라는 주문이다. 게의 별명이 ‘횡행개사(橫行介士)’다. ‘옆걸음 치면서 기개 있는 선비’란 말이다.
咏蟹 (영해) 게를 노래함
未遊滄海早知名 (미유창해조지명) 푸른 바다 건너지 않아도 이름을 알고 있네
有骨還從肉上生 (유골환종육상생) 도리어 살 밖의 살을 따라 뼈가 생겨나니莫道無心畏雷電 (막도무심외뢰전) 생각 없이 우레와 번개를 두려워 하지 않고
海龍王處也橫行 (해룡왕처야횡행) 바다용왕 있는 곳에서도 옆으로 걸어간다오*
첫댓글 재미있는 글 감사히 잘 봅니다
감사!!! 요즈음에 초현실파?야수파? ... ... 귀신 해골?바가치?그림들 - 수 십억? 간다는 흉악한 그림! 조각!들의 의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