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0일 오전 청주시청을 찾은 새박사 윤무부(경희대) 교수가 백로서식지 보호 필요성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201 야산에서 중부내륙권 최대의 백로서식지가 발견되면서 4대강 정비사업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백로 서식지가 청주 테크노폴리스 예정지 내여서 사업계획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을공동체연구소와 청주삼백리, 미래정책연구원 등 10여개 충북지역 환경단체로 구성된 무심천 백로 집단서식지 보호 대책위원회는 10일 오전 청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쇠백로와 중대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황로 등 습지 조류 1000여마리가 서식하는 이 지역에 대한 보존대책을 요구했다.
|
 |
|
▲ 청주 송절동 201번지 야산에는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황로 등 5종 1000여마리의 개체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 이들은 "녹색도시 청주가 백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정밀조사와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즉각적인 보호장치를 강구해야 한다"며 "특히 먹이사슬 보호를 위한 4대강 공사와 수상레저타운 건립 등 무심천 및 미호천 주변 개발행위를 유보하고 국가보호 지정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 청주 송절동 201번지 야산에는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황로 등 5종 1000여마리의 개체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 이번에 공개된 백로 집단서식지는 청주삼백리 답사대가 지난 3일 무심천지류인 문암천 답사도중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백로 서식지는 10여년 동안 꾸준히 조성되어 온 것 같다"며 "다만 인근 백로 서식지였던 소나무 숲이 문암생태공원이 조성되면서 파괴되고 까치내 버드나무가 잘려 나가면서 이 곳으로 옮겨 오면서 자연스럽게 개체수가 늘어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한편 딱새 서식지를 확인하러 내려온 새박사 윤무부(경희대) 교수가 이날 기자회견이후 현장을 찾아 중부권 최대 서식지임을 확인해 줬다. 윤 교수는 "동산이 시야가 넓고 먹이가 풍부한 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백로 서식지가 된 것 같다"며 "지방에 문화적 가치가 높은 만큼 잘 보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 벌써부터 백로서식지에는 해오라기 등이 오염된 먹이를 먹고 숨진 사체가 발견되고 있다. | 청주시 박재일 건설교통국장은 "4대강 정비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으로 대전국토유역환경청의 사전 환경영향평가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도가 참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 답변은 부적절한 것 같다. 부서간 협의사항이 필요하면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청주시 이동주 도시관리국장은 "환경과가 현장조사를 하고 있는 듯 하다"며 "오랫동안 백로서식지로 유지되어 왔고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계획에도 근린공원시설로 잡혀 있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환경단체의 요구가 있으면 환경영향평가 등 적극 협조 하겠다"고 밝혔다.
|
첫댓글 늘 고생이 많으시네요...건강하세요.
좋은 정보 잘보았어요...감사요..^^
4대강 사업이 자연 생태계 을 전국으로 몰살시키고 있습니다..
하얀백로가 MB 눈에 잘 보일런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