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어의 뜻풀이를 통한, 영어 문법상의 용어 쉽게 이해하기
※ 영어 전공자가 아닌, 제가(역사 교사) 만든 것이기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 한자어(한자로 쓸 수 있는 우리말)로 모든 과목에 적용이 가능할까 연습해 본 것입니다.
1. 인칭(人稱)
① 한자어 : 사람 인, 일컬을 칭· 부를 칭
② 사람을 일컬음. 사람을 가리킴. 사람을 부름.
③ 구체적인 뜻
어떤 동작의 주체가, 말하는 사람 · 말 듣는 사람 · 제삼자(第三者) 중 누구인가 구별하여 이르는 말.
동작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④ 종류
* 1인칭(말하는 사람) : 나, 우리
* 2인칭(말을 듣는 사람) : 너, 너희
* 3인칭(1· 2인칭이 아닌 사람 = 제 삼자) : 이, 그, 저, 그들, 이이들, 저이들 등.
⑤ 관련된 용어
*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 사람을 대신 일컫는 말(명사)
* 대명사 중에서, 말하는 사람과의 관계 및 개념을 설명하고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 사람(人)이 일컬어지는(稱) 이름을 대신(代身))하는 명사(名詞).
⑥ 격(格) : 자격 격
* 문장 속에서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이 서술어에 대하여 가지는 자격.
* 환경과 사정에 잘 어울리는 분수나 품위.
* 체언(體言)이란, 문장의 몸체(體. 주체)가 되는 자리에 쓰이는 명사`대명사`수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체언 : 조사의 도움을 받아 문장에서 주체(主體)의 구실을 하는 말(단어. 言)
* 주격(主格) : 동사의 주어가 되는 자격. 주인 자격. 주어가 되는 자격.
* 주격 :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주어임을 표시하는 격.(이, 가, 께서, 에서 등)
* 소유격(所有格) : 소유하는 명사 앞에 붙음.
* 소유격 : 소유나 소속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에 붙이는 조사.
* 소유격 : 앞에 있는 체언과 뒤에 오는 체언이 소유나 소속의 관계임을 나타내는 격.(~의) = 관형격(관형어가 되는 자격. 체언 앞에 놓여서, 앞에 오는 체언이 뒤에 오는 체언의 관형어임을 보이는 격)
* 관형(冠形. 갓 관, 모양 형) : 갓(冠)을 쓴 모양(冠)으로 앞에서 꾸며주는 것.
* 목적격(目的格) : 목적어가 되는 자격.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것.
2. 품사(品詞)
① 한자어 : 종류 품 · 가지 품, 말씀 사
② 말의 종류, 말의 가지. 말의 갈래.
③ 구체적인 뜻
*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말의 갈래.
*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의 의미와 구실(기능).
* 낱말을 기능, 형태, 의미를 근거로 나눈 갈래.
*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아홉가지.
3. 명사(名詞)
① 한자어 : 이름 명, 말씀 사
② 이름을 나타내는 말. 이름을 부르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사물(事物)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品詞).
* 사물의 이름(名)을 나타내는 말(詞).
*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의 종류.
* 말의 종류 가운데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
* 사물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말한다.
④ 종류 : 보통명사, 집합명사, 고유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 자립명사, 의존명사 등.
4. 대명사(代名詞)
① 한자어 : 대신할 대, 이름 명, 말씀 사
② 이름을 대신하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사람이나, 장소, 사물의 이름(名)을 대신(代)하여 쓰는 말(詞).
* 사물의(사람 또는 물건) 이름을 나타내는 말을, 대신하는 말.
* 명사를 대신 하는 말.
* 명사의 대신 역할을 하는 말.
* 대명사는 문장에서 체언 구실을 한다.
* 체언 : 조사의 도움을 받아 문장에서 주체(主體)의 구실을 하는 말(단어. 言)
④ 종류
* 인칭(人稱)대명사 : 사람을 대신 일컫는 말(You).
* 인칭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 인칭대명사 : 동작을 하는 사람의 이름을 대신하는 명사.
* 관계(關係)대명사 : 관계를 대신 일컫는 말(Who)
* 관계의 역할과 대명사의 역할을 겸하는 말.
* 사람이나 사물의 관계를 대신 일컫는 말.
* 관계대명사 : 접속사 구실을 하는 대명사.
* 앞에 오는 명사를 대신하는 동시에 뒤에 오는 절을 선행사(先行詞)에 연결하여 주는 대명사. 접속사 구실을 하기도 한다.
* 접속사 : 단어와 단어 또는 구절과 구절 사이을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말.
* 구절 : 구와 절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구절 : 한 토막의 말이나 글.
* 구 : 글귀, 문장이 끊어지는 곳.
* 구 :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의 일부분이 되는 말.
* 절 : 주어와 술어를 갖추었으나, 독립하지 않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마디.
* 절 : 문장의 한 마디.
* 지시(指示)대명사 : 지시를 대신 하는 명사(This)
* 의문(疑問)대명사 : 의문을 대신하는 명사(Who)
* 부정(否定)대명사 : 일정하지 않은(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대신하는 명사(None)
* 일정하지 않다(막연하게 사람 또는 물건을 대신 일컫는 말) (One)
* 소유(所有)대명사 : 소유를 대신하는 명사(Mine)
* 재귀(再歸)대명사 : 다시 재, 돌아갈 귀
* 재귀대명사 : 다시 돌아가 자기자신을 가르키는 대명사.
* 재귀(再歸) : 본디(본래.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돌아옴.
* 선행 체언을 도로 나타내는 삼인칭 대명사(저, 자기, 저희 등)
5. 동사(動詞) : 굉장히 중요하다.
① 한자어 : 움직일 동· 변할 동, 말씀 사.
②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변화를 나타내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문장의 주체가 되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 사람이나 물건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말.
* 사물의(사람이나 물건)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말.
*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말.
* 사람이나 물건의 동작(움직임)과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말.
④ 종류
* 본동사(本, 뿌리, 근본, 기초) = 원형(原形)동사 = 동사원형
* 본동사 : 보조 용언이 도움을 주는 주된(本) 동사(動詞).
* 용언 : 독립한 뜻을 가지고 어미를 활용하여 서술어로 쑤이는 말. = 동사와 형용사의 총칭이다.
* 용언 :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단어로, 어미가 활용하는 말.
* 어미 : 용언 어간 뒤에 붙어,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 《‘먹다’·‘먹고’·‘먹으면’에서 ‘다’·‘고’·‘으면’ 따위》
* 어간 : 동사·형용사 등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먹다’·‘믿다’의 ‘먹’·‘믿’ 따위》
*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의 근본(기초, 뿌리)이 되는 말.
* 원래 모습의 동사(근원 원, 모양 형)
* 보조동사(補助, 도울 보, 도울 조)
*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의 근본이 되는 말을, 돕는 말
* 자동사(自動詞, 스스로, 몸소, 저절로 자)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가 스스로 또는 저절로 되는 말. (목적어를 취하지 않음)
* 자동사 : 움직임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만으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단어)
* 타동사(他動詞, 다를 타)
* 타동사 :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가 다른 것에 의해 되는 말. (목적어를 취함)
* 타동사 : 다른(他) 것을 움직이는(動) 말(詞).
* 타동사 :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먹다. 부르다)
* 규칙동사(規則動詞)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가 규칙적으로 되는 말.
* 불규칙동사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가 불규칙적으로 되는 말.
* 과거분사(過去分詞) : 과거를 나누는 말(分詞)
* 과거분사 : 과거를 만드는 분사.
* 과거시제 : 사건이나 동작이 일어난 시간이 말하는 이가 말한 시간보다 앞서 있는 시제.
* 과거완료 : 과거 어느 때에 이미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시제.
* 시제(時制) : 시간을 정함.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의 위치를 표사하는 문법의 범주. 동사·형용사의 과거·현재·미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
* 동사의 한 변화형. 형용사의 성질을 띠며, 완료형 및 수동형을 만든다.
일정하지 않으며, 형용사의 기능을 가진 동사.
* 완전동사
보어(補語, 도와주는 말)를 취하지 않는 동사(완전한 동사)
* 불완전동사 : 보어를 취하는 동사(불완전한 동사)
* 보어 : 다른 성분을 도와주는 말.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경우, 완전하지 못한 점을 보충하는 수식어.
* '길동이가 되었다'는, 불안전한 문장이므로, '반장이'가 보충됨으로써 완전한 문장이 된다.
* 수여동사(受與動詞, 받을 수, 줄 여) : 직접· 간접 목적어 모두 필요.
6. 형용사(形容詞)
① 한자어 : 모양 형, 모양 용· 모습 용, 말씀 사.
② 형용 : 모양이나 모습을 나타내는 말. 모양과 얼굴 생김새.
말이나 글, 몸짓 따위로 사물이나 사람의 모양을 나타냄.
③ 구체적인 뜻
* 사람이나 물건(사물)의 모양이나 모습을 나타내는 말.
* 사람이나 물건(사물)의 성질이나 형태(모양) ․ 상태를 나타내는 말.
* 형용사 :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形容)이나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말. 詞).
* 형용사구 : 문장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는 구.
④ 종류
* 성상 형용사(性狀, 성품 성, 모양 상) : 사물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냄.
* 고유· 분사· 소유· 의문· 수량 형용사 등
⑤ 수사(數詞, 숫자를 나타내는 말)는 형용사의 일종이다.
* 수사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세어 나타내는 품사.
* 기수(基數, 기초 기) : 숫자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One)
* 서수(序數, 차례 서) : 사물의 차례를 나타내는 수(First)
* 양수사 :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 하나, 둘, 셋 등 = 기수사.
* 서수사 : 수량을 셀 때 기본적으로 쓰는 수사.
7. 부사(副詞)
① 한자어 : 도울 부· 버금 부· 보좌할 부· 곁따를 부. 말씀 사
② 곁따르며 보좌하는 말. 두 번째에서 돕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동사와 형용사 앞에서 그들의 얼굴을 빛내는 말.
* 동사 또는 형용사를 돕는(副) 역할을 하는 낱말(詞)
* 용언(用言,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품사.
* 매우 뜨겁다에서, '매우'는 부사이다.
④ 종류 : 기능상, 의미상
* 단순부사
* 의문부사
* 관계부사 : 관계(關係, 접속사) + 부사의 기능을 하는 부사.
* 의미상 부사(때· 장소· 이유· 방법· 상태· 정도· 분량· 긍정· 부정)
* 성상부사, 지시부사, 부정부사, 의성부사, 의태부사 등이 있다.
* 부사격 : 부사어가 되는 자격.
* 부사구 :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구.
* 부사어 :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 부사절 : 문장에서 부사어 역할을 하는 절.
8. 전치사(前置詞)
① 한자어 : 앞 전, 둘 치· 세울 치· 베풀 치, 말씀 사.
② 앞세우는 말. 앞에 두는 말. 앞에 놓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앞세워서 앞에 있는 말과 뒤에 있는 말의 관계(접속)를 나타내는 말.
* 명사와 대명사 앞(前)에 놓여(置), 다른 품사와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詞).
* 앞세워서 앞말과 뒷말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
* 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여 다른 명사나 대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
* 명사 또는 대명사 앞에 놓고,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
9. 접속사(接續詞)
① 한자어 : 붙을 접 · 사귈 접 · 교제할 접, 이을 속, 말씀 사.
② 붙어서 이어주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 사이에 붙어서 서로를 이어주는 말.
* 단어와 단어, 구절과 구절 사이를 맞닿도록(接) 이어(續)주는 구실(역할)을 하는 말.
* 문장 속의 두 부분을 붙어서 서로 이어주는 말.
* 접속어 : 단어와 단어, 구절과 구절,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말.
* 접속부사 : 앞의 체언이나 문장의 뜻을 뒤어 체언이나 문장에 이어 주면서(접속) 뒤의 말을 꾸며 주는 부사.
* 접속조사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10. 감탄사(感歎詞)
① 한자어 : 느낄 감, 읊을 탄· 노래할 탄· 탄식할 탄, 말씀 사.
② 감탄해서 하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말하는 사람이 놀라거나 고맙거나 대답할 때, 하는 말.
*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품사.
* 감탄을 표현하는 말.
* 감탄 : 느끼어 한숨을 지음. 크게 감동하여 찬탄함.
* 탄식하며 하는 말.
*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말의 부류이다.
* 감탄형 : 감탄을 표현하는 형태.
11. 조동사(助動詞)
① 한자어 : 도울 조, 움직일 동, 말씀 사.
② 사물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말을, 도와주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동사(動詞)를 도와주는 말. 본동사를 도와주는 말.
* 홀로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지 못하고, 본용언 뒤에 놓여 그 뜻을 돕는 동사.
* 조동사는 '보조동사'의 줄임말이다.
* 본동사(주된 동사) 뒤에서 그 풀이를 보조(補助)하는 동사(動詞).
12. 부정사(不定詞)
① 한자어 : 아니 불, 아니 부, 정할 정, 말씀 사.
* 아니 불은, 아니 불 다음에, ㄷ과 ㅈ이 오면, '불'을 '부'로 읽는다
② 일정하지 않은 말.
③ 구체적인 뜻
* 주어의 수와 인칭의 제한 을 받지 않는 말.
* 품사가 고정되지(定) 않은(不) 낱말.
* 영어 등에서 인칭, 수, 시제에 대하여 일정한 제약을 받지 않는 동사형.
으로, 동사 원형(본디 바탕) 앞에 'to'가 붙기도 하고, 동사 원형이 홀로 쓰이기도 한다.
* 원형(原型) : 같거나 비슷한 여러 개가 만들어져 나온 본디 바탕.
13. 동명사(動名詞)
① 한자어 : 움직일 동, 이름 명, 말씀 사.
② 동사와 명사의 기능을 하는 말.
③ 구체적인 뜻
*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과 그 움직임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말의 기능을 하는 말.
* 동사와 명사의 성질을 함께 가진 말.
* 동사와 명사의 기능을 겸한 품사.
14. 분사(分詞)
① 한자어 : 나룰 분· 구별할 분· 나누어줄 분, 말씀 사.
② 나누어 가지는 말. 다른 품사로 나뉘어지는 낱말.
③ 구체적인 뜻
* 다른 품사로 나뉘어지(分)는 말.
* 형용사의 기능을 가지는 동사의 부정형(不定形. 일정하지 않은 모양이나 형식).
* 시제(時制)와 태(態)를 나타낸다.
* 시제 : 시간을 정함. 시간을 정하는 것.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선의 위)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의 범주(일정한 범위나 경계. 동일한 성질을 가진 부류나 범위). 과거, 현재, 미래 등.
* 형용사의 기능을 나누어 가지고 있는, 성질이 일정하지 않은 동사.
* 동사의 성질과 형용사의 성질을 갖고 있는 말.
④ 구(句) : 문장이 끊어지는 곳.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문장의 일부분을 이루는 토막.
<문장이 끊어질 句>
⑤ 절(節) : 문장의 한 단락. 글의 내용을 여러 단락으로 서술할 때의 한 단락.
⑥ 구문(句文) : 구(句)로 이루어진 문장의 토막.
* 부사구 : 부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의 토막.
* 분사구 : 분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의 토막.
* 명사구 : 명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의 토막.
* 형용사구 : 형용사구로 이루어진 문장의 토막.
* 분사구문 : 부사의 역할을 하면서,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내는 문자의 토막.
* 단락 : 하나하나의 이야기 토막.
15. 시제(時制)
① 한자어 : 때 시· 때맞출 시, 만들 제· 누를 제· 마를 제· 억제할 제.
② 때를 맞추다. 때를 규정하다.
③ 구체적인 뜻
* 때맞추기
*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때를 규칙에 맞게 하는 것 (시제일치)
* 종속절(從屬節)의 서술어 동사가, 주절(主節)의 서술어 동사의 영향을 받아, 때를 같이 맞추는 것 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
* 주절 : 한 문장을 이루는 두 개의 절 중에서, 주(主, 주인)가 되는 마디(節. 마디 절)
* 종속절 : 이어진 문장에서, 주절에 딸려(종속) 이를 한정하는 절.
* 종속관계 : 상위 개념에 딸려있는(종속) 하위 개념의 관계.
*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線上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
* 시제에는 과거· 현재· 미래가 있다.
16. 태(態. 매무새. 맵시)
① 한자어 : 모양 태 · 몸짓 태· 형상 태· 형편 태· 형상 태.
② 동사의 형태
③ 구체적인 뜻
* 사람이나 물건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말의(동사) 변화 모습.
* 동사에 관여하는 동작의 모습.
* 동사에 관여하는 동작의 방향성에 관한 문법 형태.
* 근본적으로 동사에 관련되고 그 문장의 의미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어떤 동사의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능동태· 피동태· 사동태 따위가 있다.
* 수동태(受動態, 받을 수) : 동작을 받는 상태의 동사.
* 수동 : 다른 것의 움직임(動)이나 영향을 받음(受).
* 수동 : 남 또는 다른 것의 힘을 받아 움직이는 일.
* 수동태 : 문장의 주체가 다른 것으로부터 작용(動. 움직일 동)을 받을(受. 받을 수) 때,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態. 태도 태, 모양 태). = 피동태
* 피동태(被動態, 입을 피) : 동작을 입는 상태의 동사. 수동태 = 피동태.
* 능동태(能動態, 미칠 능) : 동작을 미치는 상태의 동사. 반대말 수동태.
* 능동태 : 문자의 주체가 스스로(能. 능할 능) 어떤 동작(動)을 했을 때,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態. 태도 태)
* 능동 : 능히(능력이 있어서 쉽게) 스스로 움직임. 다른 것에 동작을 미치게 하는 동사의 성질.
17. 문장(文章)
① 한자어 : 글월 문, 글 장· 문장 장.
② 구체적인 뜻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글자로 적을 글.
* 문장법 : 문장을 짓는 방법. 문장의 구조, 형식, 방법, 종류 등에 관한 법칙.
18. 관사(冠詞)
① 한자어 : 갓 관, 말씀 사.
② 갓을 쓴 말.
③ 구체적인 뜻
* 명사 앞에 갓이나 관을 쓰듯 덧붙여 사용하는 말.
* 머리 위의 갓처럼 쓰이는 낱말.
*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에서 명사 앞에 놓여 단수, 복수, 성, 격 따위를 나타내는 품사.
④ 종류
* 정관사(定冠詞) : 특별히 지정되어 있는 관사. (定 = 정할 정)
* 명사 앞에 붙어서 지시나 한정의 뜻을 나타내는 관사. The.
* 정(定, 일정하다. 특별히 지정되어 있다는 뜻. = 특정 = 특별히 정함 = 특별히 지정함)
* 지정(指定. 손가락 지) : 가리키어 확실하게 정함.
* 명사 앞에 붙어서 지시나 특정한 뜻을 나타내는 관사.
* 부정관사(不定冠詞) : 특별히 지정되어 있지 않은 관사.
명사가 불특정 사물을 나타내는 경우 앞에 덧붙여지는 관사(冠詞). A, An.
부정(不定, 일정하지 않음, 특별히 지정되어 있지 않다는 뜻)
* 명사가 불특정(특별히 정하지 않음) 사물을 나타내는 경우, 앞에 덧붙여지는 관사. 하나의, 어느, 어떤 등
19. 화법(話法)
① 한자어 : 말씀 화, 법 법.
② 구체적인 뜻.
* 말하는 방법.
* 문장이나 담화에서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재현하는 방법.
* 다른 사람에게 말을 전하는 형식, 방법. 말하는 방법.
* 문장이나 담화에서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남의 글이나 말 가운데서 필요한 부분만 끌어다 씀. 引用. 인용. 끌 인, 쓸 용)하여 재현하는 방법.
* 담화 : 서로 주고 받는 이야기. 어떤 일에 관한 견해나 취할 태도 따위를 공적으로 밝히는 말.
* 담화문 : 어떤 문제에 대한 견해나 태도를 밝힌 글.
* 남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는 직접 화법과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하는 사람의 발화(입을 열어 말을 함)로 고쳐서 전하는 간접 화법이 있다.
③ 종류
* 간접화법(間接話法) : 다른 사람의 말을 의미만 전하는 형식의 전달 방법.
- 남의 말을 인용할 때, 현재 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인칭이나 시제 따위를 고쳐서 말하는 화법
* 직접화법(直接話法) :다른 사람의 말을 그대로 전하는 형식의 전달 방법.
-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그 사람의 말을 그대로 직접 되풀이하는 화법.
20. 가정법(假定法)
① 한자어 : 임시 가, 정할 정.
② 어떤 조건을 임시로 정해서 하는 말.
* 가정 : 임시로 정함. 어떤 조건을 임시로 내세움
* 가정법 : 문장 내용에 가정이 담겨 있는 서법(글 쓰는 사람의 심적 태도가 드러나도록 글을 쓰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