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자동차
D0710: 1979년 서울에 좌석버스 첫 운행시 중소형버스로 운행할 당시에 출고 운행. 1982년에 대형 좌석버스로 조기대차.
코러스 / 카운티: 마을버스에 존재
에어로타운: 1994년 말부터 마을버스에 도입. 1996년부터 전중문형으로 출고했고 일부 도시형 노선에도 운행. 1998년부터 중문 슬라이딩차량도 출고.
HD160 / HD170: 1977~81년에 도입했고 1978년 초중반까지는 중문형으로 도입했다가 이 후로는 전중문형으로 도입. 중문형이 1986년 초까지 생존했고, 전중문형이 1986년 말까지 생존. 서울에 몇몇 업체들이 운행했음.
RB585: 1977~78년에 생산된 HD160 베이스 모델로 11m급 리어엔진 대형 시내버스임. 보성운수, 진아교통 등에서 운행했다가 1980년대 초반에 조기대차.
RB600: 1986~87년에 공항교통에서 좌석버스로 도입했음.
FB485: 1982년부터 도시형 및 좌석버스로 도입했고, 좌석버스로는 같은 시기 BF101 보다 더 많이 볼 수 있었음. 1983년 후반부터 중문 슬라이딩차량 도입 시작. 단 이 후로도 전중문 폴딩차량도 소수 병행 출고. 제일여객이나 구 아륙교통처럼 1983년 후반부터 중문 슬라이딩차량을 도입한 업체들도 있었고, 구 신성교통이나 구 영동교통처럼 1983년 말이나 1984년 초에 전중문 폴딩차량을 도입한 업체들도 있었음. 특히 중부운수는 1985년에 FB485를 출고하여 서울에서 1993년 초까지 마지막으로 운행했는데 1985년 출고시 중문 슬라이딩차량 대다수에 전중문 폴딩차량 극소수도 있었다는 얘기를 예전에 본 적 있었음. 이 외에 구리/남양주 방면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노선에서도 볼 수 있었고, 시외완행 중문형 버스들도 볼 수 있었는데 중문형 버스들은 1980년대 중반에 전문을 추가해서 전중문형으로 개조하기도 함.
FB500: 서울 시내버스 먼허 업체에는 1대도 없었고, 주로 구리/남양주 방면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노선에서 운행했다는데 실제로는 물론 예전 영상으로도 본 적이 없어서 중문 형태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대체로 시외완행버스로 볼 수 있었는데 파주에서 서울로 오는 구 대성여객 노선에 있었고 전문형이었음. 전중문 폴딩차량을 수도권 지역에서는 양평군에서나 원주 시내버스 소속 버스로 볼 수 있었을걸로 보임.
RB520 / RB520L / RB520SL: 서울에 1984년 말부터 처음 출고되어 1985년부터 본격 많이 출고 운행. 이 차종부터 현대버스가 본격적으로 많아지기 시작하고 좌석버스로도 많은 댓수를 운행. 단 RB520L은 1987년까지만 도입하고 이 후로는 도시형에 RB520SL로만 도입. 1991년 초까지 많이 도입하여 도시형은 2000년 도선여객을 마지막으로 좌석버스는 2001년 12월 서울승합을 마지막으로 전멸. 이 외 시외완행버스로는 구 대성여객에서 RB520 전중문 폴딩차량을 운행했던 사항이 있음.
에어로시티520 / 에어로시티520L / 에어로시티520SL: 1991부터 도입하여 도시형은 1993년까지 좌석버스로는 1996년까지 도입. 단 에어로시티520L은 서울에 단 1대도 없었고 고양시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노선에서 볼 수 있었음.
에어로시티540 / 에어로시티540L / 에어로시티540SL: 1991~2000년에 많이 도입했는데 에어로시티540 좌석형은 1996년까지 도입했고, 에어로시티540L은 서울 시내버스로 단 1대도 없었음. 1995년 초까지 출고된 무냉방형은 대부분 1990년대 말에 냉방개조. 좌석형 차량들은 전부 전문형이었는데 1990년대 말 좌석노선이 일부 도시형으로 전환되면서 전문형 차량에 중문을 추가하고 도색도 도시형 도색으로 변경해서 운행한 차량들도 있었음. 서울로 진입하는 경기도 시내버스로 전중문형 좌석버스 및 시외완행버스로 볼 수 있었음.
에어로이코노미: 1993년 서울에 직행좌석 운행 목적으로 출고된 차량.
에어로스페이스LS: 1996년 초기에 전문형으로 출고했다가 동년 말부터 전중문 폴딩형으로 출고.
2. 대우자동차
BL064: 1979년 서울에 좌석버스 첫 운행시 중소형버스로 운행할 당시에 출고 운행. 1982년에 대형 좌석버스로 조기대차.
BM090 로얄미디: 1997년부터 출고한 대우 중형버스. 대부분 중문 슬라이딩차량이고 마을버스에 전중문 폴딩차량도 소수 운행.
BF101(새한):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출고하여 서울 시내버스의 대부분을 차지. 1982년 좌석버스로도 많이 출고. 이 외에 중문형 시외완행버스도 많이 볼 수 있었음.
BU120: 1977~79년 대원여객, 대흥교통, 구 상마운수 등에서 출고했던 새한자동차 12m급 초대형 리어엔진 전중문 시내버스. 1980년대 초중반에 조기대차.
BR101: 1982년 대형 좌석버스 출고 시기에 일부 출고.
BF101(대우): 1982년 말부터 도시형 및 좌석버스로 도입했고, 1984년부터 중문 슬라이딩차량을 많이 출고. 선진운수나 신촌교통 김포교통처럼 1983년 후반부터 중문 슬라이딩으로 출고한 업체들도 있었고, 한서교통, 구 영동교통처럼 1985년에도 전중문 폴딩차량을 출고한 업체들도 있었음. 1984년 후반부터는 후술할 리어엔진버스 BV101을 대부분 출고하여 비교적 소수만 출고. 1993년 중후반까지 운행. 이 외에 경기 외곽 지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노선에서 볼 수 있었고, 시외완행버스로 중문형과 전중문형(1985년 이후)도 볼 수 있었는데 중문형은 1980년대 중반 또는 후반에 전문을 추가해서 전중문형으로 개조하기도 함. 대체로 중문형에 분리형 전문을 추가한 차량은 1986년 이전에 개조된 차량이고 이 후로 개조된 차량들이 중문형에 일체형 전문이 달렸던 차량들임.
BV101: 1983년 후반 공항버스에서 첫 출고. 1986년 초까지 많이 출고되어 서울 시내버스의 상당수를 차지. 1996년 초 구 풍양운수에서 마지막으로 운행.
BF101Q: 서울 시내버스 면허 업체에는 1대도 없었고 외곽지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노선에서 볼 수 있었음. 대부분 중문 슬라이딩차량이나 부천시에서 오는 차량들 중에 전중문 폴딩차량도 있었음. 시외완행버스로는 대체로 중문 슬라이딩차량이었고 중문형도 극소수 있었음.
BS105 / BS105L: 1986년부터 도시형 및 좌석버스로 많이 도입. 도시형에 BS105는 1987년까지 도입했고, BS105L을 1987년부터 도입하기 시작. 이 후 년식의 BS105 도시형은 경기도 시내버스로 볼 수 있었음. 1991~93년에는 한서교통에서 도입. 2001년까지 생존. 이 외에 시외완행버스로 비스듬한 전문에 중문이 달린 차량들도 볼 수 있었음.
BF105: 서울 시내버스로는 1대도 없었고 동두천 시내버스로 볼 수 있었음. 모두 중문 슬라이딩차량이고 전중문 폴딩차량을 수도권에서는 평택시나 안성시에서나 천안시 시내버스 소속차량으로 볼 수 있었을걸로 보임.
BS106 하이파워 / BS106L 하이파워: 1991~98년 초에 많이 도입했는데 좌석버스로는 1996년까지 출고. 1995년 초까지 출고된 무냉방형은 대부분 1990년대 말에 냉방개조. 좌석형 차량들은 저부 전문형이었는데 1990년대 말 좌석노선이 일부 도시형으로 전환되면서 전문형 차량에 중문을 추가하고 도색도 도시형 도색으로 변경해서 운행한 차량들도 있었음. 서울로 진입하는 경기도 시내버스로 전중문형 좌석버스 및 시외완행버스로 볼 수 있었음.
BS106 로얄시티 / BS106L 로얄시티: 1998년부터 도입했는데 서울에는 도시형 BS106L 로만 볼 수 있었고, 경기도 시내버스로 일반 도시형 및 좌석버스와 시외완행버스로 볼 수 있었음.
BV113: 1990년대 초반에 좌석버스로 일부 출고.
BH115H: 1993년과 1996년 초기에 전문형으로 출고했다가 1996년 후반부터 전중문형으로 출고.
BH116 로얄럭셔리: 1997년부터 전중문형으로 출고.
3. 기아자동차
AM807: 1979년 서울에 좌석버스 첫 운행시 중소형버스로 운행할 당시에 출고 운행. 1982년에 대형 좌석버스로 조기대차.
AM805 / AM815 / AM825콤비: 마을버스의 상당수를 차지.
AM808: 마을버스로 많이 도입했고 일부 중소형 좌석버스로도 도입.
AM818 코스모스 / AM828 뉴 코스모스: 1990년대에 마을버스 및 순환노선에 많이 운행. 1995년부터 전중문형으로 출고.
AB185: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후반까지 운행.
AM907: 1982~84년에 도시형 및 좌석버스로 도입. 대표적으로 송파상운에서 1990년 초까지 운행. 이 외 시외완행버스로 중문형도 볼 수 있었음.
AM927 / AM927L: 1987년부터 도시형 및 좌석버스로 도입. 한남운수, 상진운수 등에서 운행했고 1999년까지 운행. 시외완행버스로도 볼 수 있었고 고양시나 부천시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완행노선에서 많이 볼 수 있었음.
AM937 / AM937E / AM937L: 1992~93년 한남운수에서 도입. 1994년에 상진운수에서 도입. 1997~98년에 구 신진운수, 구 광명운수에서 도입했는데 상진운수 소속 차량만이 냉방개조하여 2003년까지 생존. AM937E는 경기도 시내버스로만 볼 수 있었음.
AM928: 일부 좌석버스로 출고.
AM938AT: 1993년 서울에 직행좌석 운행 목적으로 출고된 차량.
AM948 그랜버드 시티: 1996년 한남운수에서만 출고. 현대 대우 고급좌석버스와는 달리 전문 스윙형만 있었음.
4. 쌍용자동차
HA20: 1979~82년 동아자동차 시절에 출고. 서울에서는 서부운수와 삼화상운에서 운행했고 1989년까지 생존. 이 외에 수도권 시외완행버스로 중문형을 볼 수 있었음. 대표적으로 구 삼용버스.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