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을유(乙酉)일주

프롤로그
일주분석은 사주 전체의 구성에 따라서 안 맞을수도 있다.
그럼에도 일주분석을 하는 이유는 사주팔자 8글자중 본인에 해당되는 일주를
음양오행, 물상론, 일간,일지분석, 십신분석, 지장간분석,12운성분석, 신살분석으로 장차
사주간명을 하기위한 좋은 트레이닝의 과정이며, 스스로를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알다시피 처음부터 사주를 간명하는것은 쉽지않다.
충실한 일주분석은 추후에 사주전체와 대운을 간명하는 초석이 된다.
100층, 200층 건물을 짓기위해서 기초가 깊고 탄탄해야함은 말할 나위가 없다.
허주명리학의 일주분석은 이런 이치로 시작된다.
60갑자의 첫번째인 갑자(甲子)시작하여 마지막인 계해(癸亥)일주로 마무리된다.
60갑자 일주분석은 청담역학아카데미의 청담선생님의 일주론체계를 기본 바탕으로
맹기옥교수님의 새로운 12운성이론을 첨가하여 쓰여졌음을 알려드립니다.
멋진 일주이미지는 이정순공인중개사 이정순선생님께서 지원해주셨습니다
1.자연물상/동물상
을유(乙酉)일주는 자갈밭에 핀 꽃이다. 곡식을 먹어치우는 닭의 형상이고, 칼로 초목을 전지하는 형상이다. 바위 위에 심은 화초이니 뿌리내리기가 힘들다. 마음이 편하지 않고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단, 천간 지지에 목기운이 왕성하면 위의 현상이 덜하다.)
을목은 목이니 다정하고 순하지만 유금은 칼이니 날카롭다. 겉으로는 다정해 보여도 속으로는 권위적이고 냉정하다. 밝고 끈기가 있으며 생활력도 강하고 의지가 강하여 지도자의 자질도 있다.
을목도 음간이고, 유금도 음간이니 사업보다는 조직이나 직장에서 인정받고 성공한다. 칼로 초목을 전지하는 형상이니 매사에 절제력이 있고 자기관리가 철저하다 화분에 심어진 꽃이니 여자는 외모가 출중하다.
2.일간일지의 음양오행및 관계
을목은 음목이니 실속파이고 현실적이고 용의주도한 면이 있다. 음목이지만 양의 운동속에 있으니 을목도 식재를 추구한다. 우선으로 관인비를 선호하고 차선으로 식재를 추구한다.
을목은 덩쿨처럼 엉켜있으니 조직내에서 화합하고 친화력이 좋지만 반면 변덕이나 변절도 많다.
갑목과 다르게 약하니 강한 세력을 따라가려는 경향이 있다. (등라계갑)
변절로 보기도 하지만 약자의 생존법으로 보는게 맞겠다.
을목도 갑목보다는 덜하지만 토에 집착한다. 여자, 돈, 부동산에 집착한다.
갑목은 가을에 열매를 맺으니 말년이 편안하나, 을목은 화초이니 꽃이 지는 가을에 고독하고 초라해지기 쉽다. (늘 말년을 준비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한다)
을목은 시작하는 기운이고, 유금은 금기운으로 마무리하는 기운이니 시작과 마무리가 좋은 편이다.
3.십신(십성)관계- 10개의 편관
일지 酉금은 편관이라고 할 수 있다. 십신은 천간끼리의 관계로 정해지며 지지와는 상관이 없다.
편관도 10개의 편관이 있는데, 그중에서 금의 편관은 매섭다. 유금은 천간의 辛금과 비슷하니 늦가을 서릿발같은 편관이다. 냉정하고 차갑고, 맺고 끊음이 확실하다. 申금의 기운을 이어받아 더욱 세련되게 가다듬고 정련하니 그 예리함에 한기가 서린다. 편관의 성정에 닭의 쪼아대는 물상이 겹쳐서 예리한 지적질을 잘하고 독설에 능하며 닭이 곡식을 쪼듯이 사람을 떠보는 모사를 꾸미기도 한다. 편관적 성정이 강하게 나와서 자존심과 명예를 빼면 남는 것이 없는 사람이다.
체면과 명분을 중시하는데 특히 눈이 높고 고상한것을 추구해서 잡다한 것에는 관심이 없고
특별해야 관심을 갖는다. 갑신(甲申)도 일지 편관이지만 지장간에 편인이 있어 잔머리를 쓰는데, 을유는 곧이 곧대로이다. 잔머리가 없고 대쪽같은 성격이다.
일지 편관이니 인성은 반겨서 모친의 연은 좋고, 재성을 꺼리니 부친의 연은 나쁘다.
술, 담배같은 기호식품을 좋아하고 주사(酒邪)가 있는 경우도 있다.
4.새로운 12운성(포태법)및 신살
을유(乙酉)일주는 새로운 12운성상 제왕(帝王)에 해당된다. 예전의 12운성 포태법은 절지(絶地)였다. 제왕과 절지는 천지차이니 을유일주인 사람은 어느쪽에 해당되는지 비교해보면 좋겠다.
을목은 申월에 건록, 酉월에 제왕으로 된다. 생각해보자, 금왕지절이라고 하는 가을에 을목은
무슨일을 하는것일까? 을목은 가을에 열매와 과일이 익어갈때, 내부를 부드럽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가을에 과실은 겉은 딱딱해도 내부는 부드럽고 달콤하게 익어간다.
봄에 辛금이 나무의 줄기와 가지에 금기를 집어넣어서 딱딱하고 질기게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제왕이니 노력하고 완숙하다. 책임감이 강하며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자존심강하고 뻣뻣하고 신세를 지지 않으려하고 힘들어도 내색하지 않으니
중장년의 시기의 우리의 아버지의 모습을 닮은것 같다.
장생,목욕,관대,건록,제왕,쇠지는 육체적인 역량이 강화되시는 시기 (공성의 시기)
병지,사지,묘지,절지,태지,양지는 정신적인 역량이 강화되는 시기 (재충전및 수성의 시기)
신살로는 유금은 도화인데 편관이니 칠살도화로 호색한다.
을목은 화초인데 일지 도화이니 미모가 있다. 남녀 공히 다른 이성과 인연을 맺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자는 지장간에 경금과 을경합 암합을 하니 더욱 그러하다.
공망은 유(酉)10-을(乙)2= 8 오미(午未) 공망이다.
허주는 공망을 간명에 쓰지않고 참고만 할뿐인데, 회원중에 공망을 구하는 법을 알고 싶어하니
간단히 공식을 기재하고자 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乙酉일주의 경우 유(10) - 을(2) = 8 이므로 그대로 8이 된다.
未는 8이고 未의 짝은 午(7)이므로 오미午未(7,8)가 공망이 된다.
5.새로운 지장간-일간의 라이프스타일 분석
(의학의 발달로 앞으로는 100세 시대가 열리게 된다. 6대운에 월지충을 겪고 나면 인생의
무게중심은 일주과 시주로 넘어간다)
을유일주 유금의 지장간에는 경신신(庚(정관), 辛(편관), 辛(편관))를 가지고 있는데
천간의 머문 시간은 정관(10일), 편관(10일), 편관(10일)이다.
을목은 음간이니 관인비를 선호하니 강한 편관 성향이 나타난다. 명예를 중시하고 체면을 중시한다. 잔머리도 굴리지않고 곧이 곧대로 행동하니 과도함에 늘 구설에 오를 수 있다.
일지는 명주의 사생활과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데, 편관의 환경에서 편관의 활동을 하고 있다.
체면과 자존심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니, 체면치레를 하고 남의 이목에 신경쓰다가
실리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자존심이 꺽이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하니 을유일주를 곁에 둔 사람은 슬슬 자존심을 세워지고 치켜세워주면 오히려 다루기 쉬운 스타일이다.
6.배우자,재물운, 직장분석
일지 편관이니 남녀 공히 배우자의 덕은 없다. 여자에게는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남편이다.
남자는 여자의 눈치를 보면서 위축된다. 그러나 사주내에 목기운이 중중하면 어느정도 해소될수 있다. 사주내 목기운은 비겁인데 일간에 힘을 넣어주어 편관에 대항할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일지 편관이니 늘 건강에 위협을 받는다. 을목은 간, 담,신경이고 유금은 호흡기계통 질환이 있을수 있다.
직업적으로는 유금은 보석이니 그쪽분야에 인연이 있다. 또한 술이나 약물, 기타 기호식품, 발효식품과 관련된 직업과 인연이 있다. 일지 편관이니 편관성 직업이 좋고 조직생활이 잘 맞는다.
사업은 대기업관련 하청, 대리점도는 정부나 기타 공조직(홍익회, 군인공제회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면 성공하기 어렵다.
7.천간지지합및 형충회합원진
천간합: 을경합-금 (乙庚合金)- 합하여 합화가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지지에 금의 세력이 강하면(월지포함-삼합,방합의 경우) 합화가 되어 새로운 금이 나올수 있다.
돈이 많은 사람이 돈을벌고, 공부잘하는 사람이 시험도 잘보고, 승진을 잘하는 계속 승진하는 경우로 보면
지지합: 진유합(辰酉합), 삼합- 사유축(用-금의 역활), 방합- 신유술 (體-금의 역활)
지지충: 묘유충 원진: 인유원진(원진이 강한편이다) 자형: 酉酉
을유일주의 을목일간이 2019년에 병지, 2020년에 사지, 2021년에 묘지이니 세운이
하강운으로 가고 있다고 볼수있다. 음간이 힘을 받지 못하니 부피와 외형이 커지며
밀도가 낮아진다. 을목은 불안 불안할것이다. 음간은 힘을 받으면 작아지고, 단단해진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양간과 차이가 있으니 이를 잘 구분하길 바란다.
일간이 그렇고 재성운이나 관성,인성운은 각각 달리 봐야한다.
육십갑자 일주분석은 청담역학아카데미의 청담선생님의 일주론체계를 기본 바탕으로
맹기옥교수님의 새로운 12운성이론을 첨가하여 쓰여졌음을 알려드립니다.
PS: 無財사주인 허주에게 회원분들의 댓글이 곧 재성(결과물)이 됩니다.
내용에 공감하시면 댓글 하나 부탁드립니다^^
Written by 허주명리학
삭제된 댓글 입니다.
넵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