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기 황진이에 대하여 요즘 나의 역사이야기가 나의 글을 쓸 수있는 유일한 공간인데 이거 자주 못 들어오니 죄를 지은 사람 같으며 대화의 소통도 못하니 미안합니다 나이 먹은 늙은이가 주책없이 그 어려운 고전문학과 시 문학에 열심히 하느라고 못 들어오고 있습니다.이제 1개월이 남았습니다 어려우며 갈수록 재미 있고 보람도 느낌니다. 깊은 양지를 하여 주시기를 ...
그 죄책감으로 힘들게 하고 있는 고전문학의 이야기를 하여 볼 까 합니다. 황진이는 우리 국문학사에 고산 윤선도 ,송강 정철, 면앙정 송순에 어깨를 겨루는 조선의 당대의 여류 시인이며 문장가입니다. 황진이는 조선중기 개성의 명기 본명은 진량(眞娘)이며 개성출신 아버지는 황진사이며 그녀의 어머니가 기녀여서 기녀의 몸을 빌려 태어 났다는 이유로 신 분이 그녀의 명월(明月)이이다.
당대의 최고의 기녀의 미모로 태어나 사뭇남성들의 사대부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한여 성으로 기녀가 아니였다면 아마도 당대의 불세출의 명분장가로 문학계에서 주름을 잡았 을 것이다. 그와 동거를 같이 했다는 이야기로는 유학자 지족선사 서경덕, 담양의 면안정 송순, 이언방,소세양이며 백호임제는 평안도 어느 산골에서 그녀의묘소에서 시조 한 수로 남기 고 있다.
청산리(靑山里) 벽계수(碧溪水)이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一到滄海)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明月)이 만공산(萬空山)하니 쉬어 간들 어쩌리
이 시조에서 벽계수는 청산과 푸른 시내물이라는 뜻도 있지만 벽계수(碧溪守)하면 왕가의 친척 으로 관직명으로 정4품이며 실제 이름은 이창곤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님과 아름다운 벽계수 계곡의 물이라는 중의법으로 글을 지은 것이다. 여기서 이창곤의 호이기도 하며 경관이 아름다운 경치 좋은 계곡이기도 한다. 벽개수라는 근엄하여 다른 여자를 절대로 가까히 하지 않는다 하여 개성의 만월대를 산책하는데 이것을 알고 황진이가 이 노래로 벽계수의 마음을 떠 보았다 한다. 당대의 맑은 청산인 벽계와 미모의 여인 기생의 명월이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읊었으며 벽계수를 유혹하는수단으로 읊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유한성과 인생 무상을 자연의 이치에 비유함으로 깊은 의미를 다해주고 있다.
내 언제 무신(無信)하여 님을 언제 속였관디 월침(月枕)삼경에 온뜻이 전혀 없네 추풍(秋風)에 지는잎 소리야 낸들 어이 하리오
이 시조는 만중운산(萬中雲山)에 '어느님오리오마는/지는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귄가하노라'라고 화답한 것이다. 스승과 제자의 사이이지만 이성으로 은근히 대하는것은 서경덕이나 황진이나 다름이 없다. 당대의고매한 서경덕과 총명한 황진이의 연정히 그리면서도 화답한 것은 체념하면서도 속으로 더욱 간 절한 애정이 담고 있다. ☎ 이 글의 자료는 '시조가사 '류인석'교수님의 순천대학교 교수님의 책에서 참고 하였으며 통신대 고전시가 강독을 참고 하였슴을 알려드림니다 조금이라도 고전문학과 역사에 관심이 있는 분이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
첫댓글 선배님의 만학을 알고 있는지라
이해합니다 시간되실때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시대를 잘 타고 났으면
문단에서 명성을 떨쳤을텐데.....